[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

 1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
 2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2
 3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3
 4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4
 5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5
 6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6
 7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7
 8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8
 9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9
 10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0
 11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1
 12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2
 13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3
 14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4
 15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5
 16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6
 17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7
 18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8
 19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19
 20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학과 전통문화] 현대건축문화의 문제점과 조선건축문화의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목차


1. 현대건축문화 - 아파트의 특성
2. 문제점
① 이웃과의 소통부재 ex.높은 담벼락 / 여유로움의 부재
② 자연과의 부조화 ex. 새집증후군
③ 집에 대한 인식 변화


1. 사상정리 (성리학 - 훈구+사림/실학)
2. 시대흐름
① 초기(훈구)
② 중기(사림)
③ 실학
- 대표적인 건축물 특징 소개 ex.수원화성
- 실학 사상의 반영
④ 말기 ex. 경복궁,덕수궁
3. 조선의 건축
① 자연과 인간의 조화
ex. 무량수전의 걸쇠, 병산서원의 만대루, 중국과의 비교, 창덕궁 연경당 안채(통)
② 인간과 인간의 소통
ex. 제주도 정낭, 경주 최부자, 양반집 낮은담
③ 사람 그 자체
ex. 자연친화적 재료, 한옥의 댓돌, 북촌 한옥 마을


현대 건축 문제에 대한 대안제시
1. 자연과 인간의 조화 - 천일합일,물아일체
=> 자연중심의 삶, 온고지신
2. 인간과 인간의 소통
ex)김수근 선생의 공간사옥, 승효상의 수졸당
3. 인간 중심의 건축 - 느림의 미학

본문내용
*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1574년(선조 7)에 지어진 서원으로 경북 안동시 도산면(陶山面) 토계리(土溪里)에 위치하고 있다. 서원의 건축물들은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졌으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반영하고 있다. 도산서원은 건축물 구성면으로 볼 때 크게 도산서당과 이를 아우르는 도산서원으로 구분된다. 도산서당은 퇴계선생이 몸소 거처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고, 도산서원은 퇴계선생 사후 건립되어 추증된 사당과 서원으로 1561년(명종 16)에 설립되었다. 퇴계선생이 낙향 후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을 위해 지었으며 서원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퇴계선생이 직접 설계하였다고 전해진다.


도산서원은 주교육시설을 중심으로 배향공간과 부속건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교육시설은 출입문인 진도문(進道門)과 중앙의 전교당(典敎堂)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다. 동.서로 나누어진 광명실(光明室)은 책을 보관하는 서고로서 오늘날의 도서관에 해당한다. 동.서재는 유생들이 거처하면서 공부하는 건물이다. 도산서원은 간결하고 검소하게 꾸며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가 잘 반영되었고, 당대 서원과는 다른 배치로 실용적 변용의 퇴계 정신이 반영된 것을 느낄 수 있다.

*도산서원 - “퇴계 이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