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

 1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
 2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2
 3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3
 4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4
 5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5
 6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6
 7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7
 8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8
 9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9
 10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0
 11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1
 12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2
 13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3
 14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4
 15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5
 16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6
 17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7
 18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문학 비평과 감상-기호학 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기호학이란
1) 기호학의 정의
2) 기호학의 특징
3) 기호학의 전개과정
2. 대표 이론들
1) 퍼스의 기호론
2) 바르트의 신화 기호학
3) 그레마스의 기호학
4) 유리 도트만의 이론
5) 미하일 바흐친의 이론
3. 기호학 비평의 실제
1) 정지용 시의 기호론적 연구
2) 질마재 신화에 나타난 기호학적 의미

Ⅲ. 결론
본문내용
㈁ 의미작용의 기호학
의미작용의 기호론이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기본원리로 삼되, 그 발신자는 반드시 인간이 아닐 수도 있다. 즉, 그 발신자의 범위를 자연현상의 징후까지 포함시키는 것이다. 또한 기호표현과 기호내용의 관계를 매우 주관적으로 보려는 것이다. 대표적인 이론가들로는 바르트, 그레마스, 퍼스 등이 있다. 소쉬르는 기호를 기호표현, 기호내용으로 표시하며 기호에 있어 표현면과 내용면이 불가분리의 두 측면임을 말했다.
인간이 무엇을 인지한다는 것은 반드시 우리의 감각기관을 통하여 얻어진 지각상과 그 사상의 개념의 연합작용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의미작용이라 한다. 의미작용은 행위와 상태를 가리키는 수도 있는데 이때에 전자를 기호작용, 후자를 의미 또는 의의로 이해할 수 있다.
퍼스는 의미작용을 공시라고 하였고, 통용 의미인 개념을 외시라고 칭하였다. 외시는 어휘적 단어가 지니고 있는 의의가 안정된 요소로서 언어공동체의 합의로 이루어지는 의미이므로 비주관적이며 언설 밖에서도 분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공시는 문학작품 속에 있는 언어기호처럼 주관적인 의의로서 문맥에 따라 바뀔 수 있는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다. 외시는 기초적 언어 혹은 제1차 언어라 하고 공시는 수시적 언어 혹은 제2차 언어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듯 제1차 언어인 외시는 제2차 표의작용과의 관련에서 한 덩어리가 되어 새로운 기호표현을 형성하고, 그 제2차 표의작용은 다시 공시의 수준에 자리하게 된다. 예를 들면, ‘달’이라는 언어 기호는 /dal/이라는 음성적, 시각적 기호표현과 지구를 도는 별의 하나라는 객관적 기호 내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것이 1차 언어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저 달이 그렇게 설움인 줄을 예전엔 미처 몰았어요”라는 소월 시 속에서의 ‘달’은 ‘설움’을 내포하는 기호표현의 기능을 하고 있다.
한편 자연언어의 기능을 관찰하면 자연언어는 사상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언어 그 자체에 대해서도 언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과 언어에도 상위적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라는 말과 ‘날짐승’이라는 말을 보면 ‘새’는 대상언어이고 ‘날짐승’은 상위언어이다. 그러나 ‘날짐승’보다 ‘동물’은 더욱 상위언어이고 ‘새’보다 ‘참새’나 ‘학’등은 더욱 구체적인 언어이다. 대상언어란 연구의 대상이 되는 일상언어이다. 이런 일상언어를 연구하거나 그에 대해 언급하는 언어는 일상언어보다 고차원으로, 일상적인 자연언어에 대해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인위적 언어를 상위언어metal langage라고 한다. 대상언어는 언어 외의 지향대상이 되는 사상을 직접 가리키는 일상언어로 이루어져있는데, 상위언어는 그러한 대상언어에 대해 이를 설명, 정의, 해석하거나 가치판단을 한다.
상위 언어활동을 명시할 수 있는 도식은 공시를 명시한 도식과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참고문헌
*별첨

[참고문헌]

송효섭, 『질마재 신화의 서사구조 유형』
최현무 편『한국문학과 기호학』
김석환,『정지용시의 기호론적 연구』
홍문표, 『문학비평론』, 양문각, 1993.
홍문표, 『현대문학비평이론』, 창조문학사, 2003
전동열, 『기호학』, 연세대학교 출판사, 2005
움베르토 에코 『기호, 개념과 역사』, 김광현 역, 열린책들, 2000
이명섭, 『세계문학비평용어사전』, 을유문화사, 1998
이정민, 배영남, 『언어학사전』박영사, 1993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민음사, 1994
페르디낭 드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최승언 역, 민음사, 1997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3
움베르토 에코, 『기호와 현대 예술』김광현 역. 도서출판 열린책들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