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

 1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1
 2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2
 3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3
 4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4
 5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5
 6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6
 7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7
 8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8
 9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9
 10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연구] 대북 경제제재와 남북경협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장 남∙북 경협 :남ㆍ북 경협의 필요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
Ⅰ.서론
Ⅱ. 경협의 과정과 평가.
1. 남북 경제협력사업 개황.
2. 남북 경협의 실체.
Ⅲ. 적극적 남북경협의 필요성.
1. 개혁 및 개방 유도.
2. 통일비용 절감.
3. 한반도 평화와 안보유지.
4. 중국 견제 및 북한에 대한 주도권 확보.
Ⅳ.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한 독일의 시사점 및 정책제안.
Ⅴ.결론.

2장 북∙중 경협 : 대북제재 속 북∙중 경제협력 심화 확대와 시사점.
Ⅰ.서론.
Ⅱ. 북중 경제협력의 전개과정.
1. 한국전쟁 종결과 중국의 개혁, 개방 정책.
2. 냉전종결과 한중수교.
3. 2000년 이후의 북중 경협.
Ⅲ. 북중경제 협력 현황과 사례분석.
1. 북중 경제협력 현황.
2. 최근 북중경제협력 사례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3장 북∙중 경제협력:
대북제재 속 북∙중 경제협력 심화 확대와 시사점


Ⅰ. 서론
북•중 경제 협력은 1978년 개혁 개방정책과 사회주의 시장 경제제도를 도입 하면서 과거 혈맹관계를 벋어나 점점 국가이익을 기반으로 하는 양상을 보인다. 2000년 이후에는 중국이 북핵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기대와 불신이 공존하는 협력관계가 진행 되고 있음에도 북핵문제로 인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는 북한의 대중경제 의존심화를 가져온다. 이에 더해 남북관계의 경색국면과 함께 북•중 경제협력 관계의 심화는‘동북4성론’, ‘위성국가론’, ‘경제예속론’ 등과 같은 경계와 우려의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양국 경제관계의 성격을 파악하고 중국의 대북한 경제협력을 분석하여 경제협력의 의도나 전개정도를 살피는 것은 남•북경협의 앞으로의 시사점과 대응을 생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보고서는 먼저 북•중 경제협력의 전개과정에 대해서 살피고 2000년 이후의 북•중 경제협력의 현황을 경협 심화양상과 자원개발과 국경협력의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북•중 경제협력을 통해 남•북경협 가질 수 있는 시사점을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으로 제시할 것이다.

Ⅱ. 북•중 경제협력의 전개과정

1. 한국전쟁 종결과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도입기
한국전쟁 이후 전후 복구를 지원하면서 북한과 중국 양국의 경제협력은 특유의 혈맹관계라는 특수 관계 속에서 발전한다. 이런 북중관계는 1978년 12월에 개최된 중국 공산당 11기 3중 전회에서 덩샤오핑이 사회주의 시장경제 도입을 위한 개방 정책을 선택한 이후 전환을 가져오게 되는데 이는 사회주의라는 이데올로기의 제약을 벗어나 국가의 현대화를 최우선 국정 목표로 설정하면서 서방국가에 대한 대외 개방정책을 추진이다. 이와 같은 중국의 대외정책의 전환은 북•중 관계를 소원하게 만들지만 중국은 러시아의 대북한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안보환경 유지차원에서 대북 정치동맹을 유지하고 대북지원을 지속하는 등 양상을 보이며 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 관계는 이전의 ‘혈맹관계’에서 변화를 맡게 된다.

2. 냉전종결과 한•중 수교.
소련이 붕괴하면서 냉전이 종결되자 미•소 관계는 급진전 하게 되고 1989년 천안문 사건으로 중국의 국제적 입지는 위축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1992년 덩사오핑이 노선투쟁을 종결하고 더욱 적극적인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 1992년 10월 한•중수교가 이루어진다. 중국의 이러한 처사에 대해서 북한은 “제국주의에 굴복한 일부 혁명의 변절자들의 배신행위” 라며 중국을 비난 한다. 이에 더하여 1993년에는 중국정부가 북한과의 국제시세의 절반에도 미치지
참고문헌
참고 자료

서적

강인수, 『한국경제의 이해』, (서울: 교보문고, 2005), pp314~335.

김상기, 『대북경제제재의 유효성 분석 : 실태와 효과』(한국개발연구원, 2007)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편,『현단계 남북경협의 쟁점과 과제』(마산: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2004)

심의섭 공저,『남북경협 포커스』(서울:연암사,2003)

이태욱 공저,『(경협을 통한)납북관계 발전의 길』(서울:오름,1996)

이상만 저,『남북한 경제 공동체 형성전략: 남북한 경제협력 통합방향과 재원조달방안』 (서울:집문당,2003)

여인곤,「2.13북핵 합의 이후 북한정세와 남북관계 전망」(서울:통일연구원, 2007)

외교통상부외교안보연구원 편,『남북경제 협력의 현황 및 평가』(서울: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2004)

정우진,「북한 CDM사업 잠재력 분석 및 남북협력방안 연구」(의왕:에너지원구원,2009)

조동호,『북한 경제정책의 변화 전망과 남북경협의 역할』(서울:한국개발연구원,2003)

통일부,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대북정책 추진현황』(통일부, 2011)

한국정치학회 편,『독일의 통일경험과, 북한 교류협력방안』(서울:한국정치학회,1999)

허문영,『북한의 경제정책 변화와 남북경협 활성화 방안』(서울:민족통-연구원,1996)

논문

김재형 “미국의 핵비확산 정책과 한반도:클린턴과 부시 행정부를 중심으로” (국방대 안전보장대학원, 2004)

고일동외 5명, “최근 북한경제와 남북경협,” 「KDI북한경제리뷰」, 제12권 제7호(2010년7월)pp. 3-22.

박창권, "남북 경협사업에 대한 군사적 조치와 대북정책 추진방향", 「국방정책연구」 제24권 제1호 , 2008, p.86.

안두순, “남북협력기금에 대한 구 동서독 사례의 시사점”,「통일경제」, 1999년 4월호 (현대경제연구원), p.26~28.

이종석, “냉전기 북한, 중국관계 : 밀월과 갈등의 변주곡(2)”, 『전략연구』제7권 1호(2000)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편,『북한-중국 간 사회 경제적 연결망의 형성과 구조』(서울:서울대학교 통일평화 연구소, 2008)


조민, "평화경제론의 의의,"통일연구원, 「남북공동체형성의 이론적 틀」, 2006, p.1.

제성호, “유엔의 대북 제재와 바람직한 대북 지원 방향” 『자유민주연구학회』, 자유민주연구, 제4권 제2호 2009년 12월, pp.49-81.

최용환외, “경기도의 남북경제협력사업 추진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정책연구」, 통권 2009-04호, 2009년 4월, pp13~15.

최수영,”북한의 대중경제의존 현황과 전망,” 한국수출입은행, 『학술논문』, 수은북한경제 제6권 제3호 통권 제22호 2009년 가을호, p.5.

홍성국, “남북경협 10년 반성적 평가와 과제,”「수은북한경제 제6권 제2호」 통권 제21호 (2009년 여름) pp.1-19.

신문
김정은, "北, SOC 개발 인식 부족…韓•中•日 손잡고 시범사업 해볼만," 『한국경제신문』, 2011년 04월 07일.

인터넷

김영윤(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 “남북경제협력 어떻게 할 것인가?”, http://blog.naver.com/kimyyn (검색일: 2011.4.27)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