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

 1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
 2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2
 3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3
 4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4
 5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5
 6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6
 7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7
 8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8
 9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9
 10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0
 11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1
 12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2
 13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3
 14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4
 15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5
 16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6
 17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7
 18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8
 19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19
 20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신흥종교 통일교의 성장과 사회적 조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I. 한국 신흥종교의 생성과 소멸
1. 한국 신흥종교의 생성과 소멸 과정
2. 한국 신흥종교의 범례로서의 통일교

Ⅲ. 통일교 성장의 역사적 조건
1. 해방- 종교 전국시대 : 통일교 발생기
2. 기독교의 성장과 반공주의 : 통일교 정착기
3. 근대화 : 통일교 확장기

IV. 통일교의 성장 원인
1. 통일교의 성장 전략
2. 통일교의 현황

V. 통일교의 사회에로의 통합노력
1. 사회적 통합화를 위한 통일교의 노력
2. 통일교의 사회적 통합화 과정에 관한 비판

VI. 결론

본문내용
2. 한국 신흥종교의 범례로서의 통일교

우리는 연구 대상으로 통일교를 선정하였다. 통일교는 기독교계통의 신흥종교 중에서 대표적이라고 할 만큼 그 교세가 상당한 정도이다. 그리고 특히 다른 신흥종교들과 달리 경제활동에 대한 관여라는 측면과, 또한 한국에서 발생했지만 해외에서도 상당한 교세가 있다는 점 등이 특히 흥미를 끌었다. 또한 기독교라는 종교에서 생겨난 신흥종파 중 대부분의 종파들이 한번 이단으로 규정되면 그 판단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사회적으로도 배척되며 통합되지 못하는 반면, 통일교의 경우는 그것이 개신교에 기반을 두고 생겨나서 지금의 모습을 갖게 되기까지 사이비 시비가 끊이지 않았고, 아직까지도 개신교로부터 비판과 비난을 받고 있으나 그 교세가 내부의 노력과 외부의 상황에 의해 꾸준히 성장해 왔음을 생각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의 통일교가 기독교 외부적 입장에서는 하나의 신흥종교로 인정받고 있다고 판단이 되었고, 사이비 및 이단에 대해 가장 적극적으로 비판 및 연구를 해온 것으로 보이는 개신교 측 자료들을 비교적 많이 얻을 수 있었다는 이유도 있었다. 그렇다면 통일교는 무엇이며 통일교의 창립자 그리고 창립과정은 어떠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통일교’는 ‘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협회’(이하 통일교)의 속칭이다. 이 명칭의 의미는 세계의 모든 사상, 정치, 그리고 종교를 하나의 길로 완전히 통일시킨다는 것이다. 지난 97년 통일교는 창립 43주년 만에 이름을 ‘세계평화 통일 가정연합’으로 바꾸고 전통과 문화를 중시한 신앙운동에서 가정 중심의 예배를 통한 평화 통일가정 문화운동으로 전환할 것을 주창했다. 이러한 통일교는 1920년 평안북도 정주군 덕언면 상사리 2221번지에서 출생한 문선명을 교주로 삼고 있다. 그는 16세가 되던 해 4월 17일 부활절에 하늘로부터 그 섭리 완성을 위한 특별한 계시를 받고 그 이후 '하느님의 뜻'의 성사에 진력하게 되어 현재의 통일교로 발전시켰다고 한다. 박정화,『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 협회사』, (큰샘 출판사, 1991), 124쪽.

다음으로 통일교의 창시자에 대해 살펴보면 '문선명'이라는 이름을 떠올리게 된다. 통일교에 있어서 '문선명' 이라는 존재는 과연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가톨릭의 교황과 같은 존재일까? 아니면 기독교의 예수와 같은 존재일까? 그것도 아니면 그 이상일까? 통일교의 교리와 연관시켜 그의 존재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자. 통일교에서는 무엇이든지 그 본연의 위치와 상태를 상실하게 되었을 경우 그것을 본래의 위치와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기에 필요한 어떤 조건들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을 통일교에서는 '탕감(蕩減)'이라고 부른다. 통일 원리에 따르자면 창조본연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해서
참고문헌
참고문헌


강만길, 『고쳐 쓴 한국 현대사』, 창작과 비평사, 1994.
노길명, 이제민, 『통일교 그 실상과 오해』, 만나서적, 1991.
노치준, 강인철, 「해방 후 한국 종교의 특성과 변화」, 『한국 현대사와 사회 변동』, 문학과 지성사, 1997.
로버트 엘우드,『신비주의와 종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4.
박정화,『세계 기독교 통일 신령 협회사』, 큰샘 출판사, 1991, 124쪽.
에릭 호스봅,『극단의 시대』, 까치, 1997.
윤승응, 『현대 한국종교문화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1997.
윤이흠, 『한국 종교 연구 2』, 집문당, 1991.
이대복, 통일교 원리 비판과 문선명의 정체, 기독교 이단문제 연구소. 1997.
이원규, 『종교 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1997.
최장집,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탁명환, 『기독교 이단 연구』, 국제 종교 문제 연구소, 1986.




심창섭, 김도빈, 오영호, 박영관, 「기독교의 이단들」(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0).
이종순,「한국 신흥종교에 관한 연구」, 2004.
장경영, 성준규, 임주혁,「신흥종교로서의 통일교에 대한 연구」, 2006.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57598
「하늘의 비밀」 , http://blog.daum.net/uncoverasecret8726/8727157
「our family under GOD」, http://blog.naver.com/tpmanse?Redirect=Log&logNo=70004023291
통일교의 홈페이지(www.tongil.or.kr
「정교분리」,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C%A0%95%EA%B5%90_%EB%B6%84%EB%A6%AC
「리틀앤젤스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57598.
「유니버설 발레단」,『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63980
「(통일교)여수 프로젝트 - 女총재사업설명회 어떤 말 오갔나」, 『one family under GOD』, http://blog.naver.com/tpmanse?Redirect=Log&logNo=70004023291.



그림 1, 임준선 기자, , 2011.05.27.
그림 2, 이철현 기자, , 201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