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

 1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1
 2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2
 3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3
 4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4
 5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5
 6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6
 7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7
 8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8
 9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9
 10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10
 11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11
 12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12
 13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분자생물학] HCA와 CLA 기직과 사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개요

2. HCA

1. HCA 란?

2. HCA의 기작

3. HCA 관련 연구 논문


4. 결론

3. CLA
1. CLA 란?

- CLA의 생성 방법

2. CLA의 기작

3. CLA 관련 연구 논문

4. 실험결과

5. 결론

4. 논의 후 최종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한 식이는 탄수화물 급원으로 옥수수전분, 과당, 설탕을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식이 내 탄수화물의 100%를 옥수수전분으로 공급하였고 실험군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과당과 설탕의 섭취가 혈당 및 지질대사에 유해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수준으로 설정 하여 옥수수전분의 25%를 각각 과당이나 설탕으로 대체하여 공급하였다. HCA 첨가군 의 경우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독성이 나타나지 않고 일반적으로 사용된 수준으로
무게의 1%에 상응하는 HCA의 양이 식이에 포함되도록 공급하였고, HCA 첨가 유무에 따른 식이무게 차이는 옥수수 전분으로 조절하였다.

②실험기간 동안에 실험동물의 일일 평균 식이 섭취량과 열량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열량 효율은 아래 표와 같다.

-일일 평균 식이 섭취량과 열량 섭취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증가량 및 열량 효율은 과당군이 대조군과 설탕군 보다 다소 높았고, 과당 HCA군 과 설탕 HCA 군은 각각 과당군과 설탕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③실험 동물의 체중 100g당 신장주변 지방과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는 아래 표와 같다.


참고문헌

5. 참고문헌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verview 2006;2)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손영애, 정혜진). 2007 탄수화물 급원에 따른 HCA의 공급이 흰쥐의 체중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3) 김경수. HCA((-)-Hydroxy Citric Acid) 의 생리기능 및 비만개선 효과. 2003년 대한임상건강증지학회 춘계학술대회
4)한국영양학회지 38(8) : 626~636, 2005.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에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껍질추출물, 대두펩타이드 및 L-카르니틴 조성물 섭취와 규칙적인 트레드밀운동이 체중감량에 미치는 영향
5)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인하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CJ식품연구소 김민선외 6명. 체중조절에 사용되는 건강기능식품의 근거중심처방 가정의학회지 2003; 24 : 409-415
6)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박영우. 장기간의 가르시니아 추출물 섭취가 운동능력 및 체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효과. 운동영양학회지 vol. 8. No. 1, pp. 43~48 (2004)
7)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축산학과. 정정수 김혜림 강지나 김내수. Conjugated Linoleic Acid (CLA)가 돼지 지방세포와 근육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8) Hurley, M. S., Flux, C., Salter, A. M. and Brameld, J. M. 2006. Effects of fatty acids on skeletal muscle cell differentiation in vitro. Br. J.
Nutr. 95:623-630.
9) Park, Y., Jayne, M. S., Karen, J. A., Wei, L. and Michael, W. P. 1999. Evidence that the trans-10,cis-12 isomer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nduces body composition changes in mice. Lipids. 34:235-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