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

 1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
 2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2
 3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3
 4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4
 5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5
 6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6
 7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7
 8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8
 9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9
 10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0
 11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1
 12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2
 13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3
 14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4
 15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5
 16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6
 17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7
 18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8
 19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19
 20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연구] 노인의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윤리적 고려점


4. 연구도구


5.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6. 분석방법


7. 연구의 제한점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2.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


3. 일반적 특성(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기능저하 및 우울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동의서
2. 인지 기능 평가 도구 = MMSE-K (한국판 조기 치매 검사)
3. 신체기능저하 지각 설문지
4. 우울 측정 도구 = GDSSF-K (한국판 단축형 노인 우울 측정 도구)


표목록



본문내용

6. 분석방법

본 조사 실시 결과 총 132명이 응답하였고, 그 중 인지 기능 검사(MMSE-K)에서 29명이 24점 이하인 점수를 획득했다. 이 29명이 응답한 설문결과는 연구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총 103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SPSS를 사용하여 지각된 신체기능저하와 우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모든 항목에 대해 단순빈도와 백분율, 평균치를 구하여 비교하였고, 지각된 신체기능저하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기 위해 관련변인에 대해 피어슨의 단순상관계수(Pearson's Simple Correlation)를 적용하여 상관분석 하였다.

7.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모집단으로 하고, 종로노인종합복지관을 방문하는 노인을 표본으로 하였으나 종로노인종합복지관의 이용자가 현재 종로구에 거주하는 노인이므로 표본이 편중될 수 있다. 또한 대상자들이 종합복지관에 다니는 점을 감안할 때 신체기능저하 정도가 비교적 심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 또한 신체기능저하 지각 설문지의 경우 노인의 주관적인 느낌과 생각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설문조사 결과의 일관성이 높지 않을 수 있다.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성비는 여자가 62%, 남자가 38%였고, 평균 연령은 73세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03)
항목
응답 수
백분율
성별
남성
39
37.86

여성
64
62.14
연령
65세 이상 - 70세 미만
32
31.06

70세 이상 - 75세 미만
41
39.81

75세 이상 -
30
29.13

참고문헌
참고문헌

국가통계포털 (2010).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신경림, 강윤희, 정덕유, 최경애(2007).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우울. 주관적 신체증상 일상생 활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7), 1131-1138.
오병훈 (2006). 노인자살문제와 예방,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서울.
이금재·박혜숙 (2006). 재가 도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2권, 제3호, 221-230.
이현주, 강상경, 이준영 (2008). 노인우울증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요인과 건강행태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8(4), 1129-1145. 정영미, 이성은, 정길수 (2006). 재가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2), 291-303.
정영미(2007).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1), 71-86.
최희정 (2008). 농어촌지역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주관적 신체증상, 우울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11(2), 74-80.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자료.
Alexopoulos, G. S. (2005).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Lancet, 365, 1961-1970.
Kaplan, H. I. Sadock. B. J. (2007). Synopsis of psychiatry (10th ed.)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Mills,T.L. (2001). Comorbid depressive symptomatology: Isolating the effects of chronic medical conditions on self-reporte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Social Science & Medicine, 53, 569-57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