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

 1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1
 2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2
 3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3
 4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4
 5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5
 6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6
 7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7
 8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8
 9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9
 10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주거]중국의 주거문화, 한국의 전통주거, 북한의 주거현황, 로마의 주거형태, 홍콩의 공공주거, 프랑스의 주거환경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중국의 주거문화
1. 전통적 공간개념과 주거공간의 구성
1) 고대철학에 있어서의 공간개념
2) 중국건축의 다섯 가지 공간개념
2. 민간신앙과 주거공간의 구성
3. 풍수사상과 주거공간의 구성
4. 가족제도와 주거공간의 구성

Ⅱ. 한국의 전통주거
1. 주택-외부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
2. 주거지 선정이 역시 주택과 주택 외부공간 즉 자연과 좋은 연결을 시켜주었다
3. 생태건축/향토건축으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었다

Ⅲ. 북한의 주거현황
1. 지역별 주거현황
2. 계층별 주거배정
3. 주거밀도 및 주거이동

Ⅳ. 로마의 주거형태
1. 로마시대의 단독주택(도무스)
2. 로마시대의 집합주택(인슐라)

Ⅴ. 홍콩의 공공주거

Ⅵ. 프랑스의 주거환경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중국의 주거문화

1. 전통적 공간개념과 주거공간의 구성

1) 고대철학에 있어서의 공간개념

중국인들이 가진 공간개념은 중국 공간철학의 원리들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중국의 고대철학은 중국인의 가치관과 세계관, 그리고 그들 고유의 생활양식을 형성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동시에 중국 고유의 공간개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대 중국의 공간개념은 우주, 세계, 자연,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라는 추상적인 개념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중국에서의 공간개념은 물질적 존재와 비물질적 존재라는 양자의 관계에서 이해되며, 양자의 상호의존과 변화라는 개념과 관련되어있다. 이러한 관념의 근원은 음양의 원리에 있다.
노자는 도가사상을 통해서 음양의 원리에 입각한 중국적 공간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했다. 노자의 사상에 따르면 공간은 두 가지의 실체가 결합되어 만들어지는데, 하나는 무(無)이고 하나는 유(有)이다. 이 두 실체는 시간의 흐름에 통해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고 서로 의존하면서 변환하며, 서로 작용하여 합일되는 것이 자연의 이치라고 해석했다. 즉, 노자는 유와 무의 상호관계를 강조하고자 하였고, ‘무와 유는 같은 곳에서 나와 이름이 다를 뿐’이라고 말한다. 이것이 노자의 공간개념이자 중국적 공간개념의 기본적 바탕이 된다.
공자도 음양의 원리를 받아들여서 이론화하였으며, 공자에게 있어서 도는 중용으로 함축된다. 여기에는 질서와 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공간적 개념이 함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불교에서의 ‘공(空)은 색이며 색은 공이다’라는 개념으로 응축된다. 불교에 있어서 공이란 비물질적 자아이며, 색이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물질적 존재를 의미한다. 결국 불교에서 의미하는 공간의 개념 또한 연속성과 변화, 그리고 상호작용과 상호의존의 관념을 지닌다는 데서 여타의 중국 고대철학과 그 맥을 같이한다.
이렇게 고대철학의 공간개념에 대한 유사성은 중국철학의 긴 역사를 통해 상이한 개념들이 서로 통합되고 조정되게 했다. 즉, 여러 개념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통해서 그 요소들은 서로 화합하고 보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상이성(相異性)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공간개념에서의 상이성은 유가사상과 도가사상이 갖는 대조적인 경향으로 나타난다.
참고문헌
김영태, 프랑스 주거복지정책 100년의 교훈, 삼성경제연구소, 2006
박헌주, 북한의 주거실태와 통일 후 주택배분방안 연구, 국토연구, 국토개발연구원, 1995
박범준·장길연,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정신셰계원, 2005
손세관,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열화당, 2002
이영재, 주거와 문화, 서우, 2004
주거문화연구회, 주거․문화․디자인, 서울 : 신광출판사, 199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