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

 1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1
 2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2
 3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3
 4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4
 5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5
 6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6
 7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7
 8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8
 9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9
 10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10
 11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11
 12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12
 13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국외교정책]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각 행정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미국의 세계전략과 동북아전략


Ⅲ 행정부에 따른 미국의 한반도안보정책


1. 1945~한국전쟁 이전까지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


2. 냉전시기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


3. 탈냉전시기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


4. 오바마 행정부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


Ⅳ 결론





본문내용

미군정이 실시될 당시 미국의 대통령은 루즈벨트가 사망하고 트루먼행정부가 들어서고,
당시 트루먼은 ‘트루먼 독트린’을 선포한다. 트루먼 독트린은 ‘세계 자유국민이 위협받을 경우 미국이 이를 도울 것’ 인데, 이는 국제적 개입주의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먼로 독트린에서 벗어난 트루먼 독트린은 막대한 국력과 자원이 필요했다. 이때 트루먼은 한국과 같은 지역이 소련의 영향력 하에 있어도 미국의 안보에 직접적 위협은 없을 것이라 생각하고 일본에 대한 정치적 군사적 개입만을 강화하며 다른 아시아 대륙에서는 점차 철수해 나간다. 다만 한반도 주둔은 전략적 중요성보다는 상대방을 견제하려는 목적이 강했기 때문에 쉽게 철수를 못했지만 이처럼 미국의 봉쇄정책의 실시가 아시아 보다는 유럽이나 중동과 같은 중요한 나라에 대해 치우쳐 있었고 마샬플랜, 나토 등 경제력과 군사력이 그쪽에 집중되며 한국에 투입하기는 부족하였다. 때문에 미군정 점령 초기 남한 내에서의 미국의 정책을 살펴보면 한국의 독립과 민주화를 위한 선의의 정책이 실시되기 보다는 좌익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정책을 강력히 펼쳤고 준비 부족으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일본의 총독부나 관료들을 잠정적으로 활용하였다.
1947년에 한국 문제에 대한 새로운 방침을 수립한다. 이 내용은 NSC68에 잘 나타나 있다. NSC68에서 세 가지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데 그 중 남한에 인력과 예산지원이라는 미국의 부담을 정리하는 수단으로 남한 정부를 지지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는 추후 미군의 철수 이전에 남한이 북한의 침략에 대비할 수 있도록 장비와 훈련을 제공 할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미국 경제원조의 시작이라 볼 수 있다. 1947년 미국은 한국 문제를 유엔에 회부하고 민주 통일된 한국을 건설하기 위한 유엔 감시의 선거를 요청한다. 이처럼 유엔을 개입시킨 것은 미국이 소련과 2년 동안 협상을 하였으나 한반도 전역에 실시될 선거에 관한 합의를 도출하는 데 실패하자 미국이 지지하는 방식으로 남한에 단독선거를 실시하기 위하여 유엔의 동의를 얻으려 한 것이었고, 이와 같은 유엔의 개입으로 미국은 유엔이라는 커튼 뒤에 숨어 불개입의 모양새를 취함으로써 미국의 직접적 개입이라는 부담을 줄이게 된다.

참고문헌

- 강경태 외, 『오바마시대, 변화하는 미국과 한반도』, 2009, 시대의 창.
- 권용림 저, 『미국외교의 역사』, 도서출판 삼인, 2010년
- 김재천. 『오바마 행정부의 출범과 미국의 대 한반도 안보정책함의』,2009,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연구논문
- 신복룡,『군정기 미국의 대한반도 외교정책』
- 이대우, 『오바마행정부의 외교안보전략과 한국』, 2009, 세종정책연구 제5권 2호
- 이범준 외. 『미국외교정책』,2009, 박영사
- 정경영 외,『오바마 행정부와 한미전략동맹』, 2009, 한반도평화연구원
총서4, 한울아카데미
- 정욱식,『오바마의 미국과 한반도』, 2009, 레디앙 미디어.
- 중국 북경대 셴딩창 교수 저,『중국적 관점과 전망 한국외교와 미국관계, 2006, 소학사
- 진태정, 『오바마 행정부의 핵정책에 나타난 미국 핵정책의 변화와 지속성』 , 2010,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우권 저, 『미국을 다시본다 한미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이진출판사, 2000년


- 고재남, “미러 핵군축 추진 동향과 전망: START 후속 조약을 중심으로”, 2010, 『주요국제문제분석』, 외교안보연구원
- 김영호. “미국의 중장기 국력변화와 대한반도 정책 전망”,2006,『미ㆍ일ㆍ중ㆍ러의 중장기 국력변화와 동북아 안보협력』,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 김일수, “한미군사동맹의 초기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2003,미국학논집
- 장준갑, “해방직후 미국의 한국정책”,전북사학제29호
- 전성훈, “오바마 행정부에서의 미·북 대화 분석과 전망”, 2010, 『전략연구』(한국전략문제연구소), 통권 제48
- 정은숙, “제1차 핵안보정상회의: 배경, 성과, 시사점”, 2010, 『정세와 정책』(세종연구소), 5월호
- 홍현익,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 방한 결과에 대한 평가와 한국의 대외전략방향", 2009, 『KNSI 현안진단』 제135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