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

 1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
 2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2
 3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3
 4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4
 5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5
 6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6
 7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7
 8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8
 9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9
 10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0
 11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1
 12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2
 13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3
 14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4
 15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5
 16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6
 17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7
 18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8
 19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19
 20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미학] 앙드레 바쟁(Andre Bazin)의 리얼리즘 영화이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앙드레 바쟁이라는 인물에 대하여
2.바쟁 리얼리티 영화이론
3.바쟁의 영화 평론
4.바쟁과 타 영화 이론가
5.바쟁의 한계 비판
6.바쟁 영화 이론의 영향, 누벨바그 등
본문내용
전후 영화 미학사에 있어 프랑스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이론가

현학적인 이론과 치밀한 영화 분석을 호소력 있게 풀어내 비평 대중화에 크게 공헌

1951년에 자크 도누아발크로즈, 로 뒤카 등과 를 창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화 전문지로 성장 시킴

1954년, 40세의 나이로 일찍 세상을 떠남

1959년 프랑소아 트뤼포를 시작으로 누벨바그(Nouvelle Vague)의 흐름이 본격적으로 대두하면서 누벨바그 영화 감독들의 정신적인 지주로서 바쟁의 영화 이론이 주목

바쟁에게 리얼리티란?


본래 인간과 인식 대상과의 자유롭고 끊임없는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

하나의 본질로 규정될 수 없는 복잡다단한 양상을 지니고 있음

무한한 가변성과 모호성을 선험적으로 지니고 있는 것

현실은 그 자체로 의미와 가치를 지닌 것
영상이 지니는 의미는 영화 창작자가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담고 있는 현실 자체가 지니는 의미에서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현실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훼손시키지 않고 재현해내는
방식을 선택해야 한다고 보았음

능동적인 역할을 관객에게 부여

- 관객의 자율적인 감상이 중요
- 영화 관객에게는 그들의 꿈과 욕망을 스크린에 투사하려는 욕구가 있음
cf) 무대 위에서 연출된 드라마를 보러가는 연극 관객들의 심리와 비교 : 연극의 관객들은 희곡에 담긴 추상적이고 절대적인 가치에 시선과 정신을 집중시키기 위한 장치들의 기능에 따라 이미 정해진 연극의 주제를 발견하고 그것을 통해 감동을 느끼게 됨

리얼리즘 영화를 제작하는 감독의 역할
- 영화의 소재인 리얼리티가 본래 지닌 애매모호함과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복잡다단한 의미를 오롯이 담아낼 수 있는 연출법을 구사해야 함
- 바쟁이 요구한 영화 속 리얼리티는 내용적인 미학적 개념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내용과 기법의 문제를 넘어서서 공간의 미학과 관련된 것
바쟁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영화 연출 역시 서사나 논리적 전개보다 공간을 드러내는 미장센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
Ex) 오손 웰즈와 장 르누아르의 딥 포커스, 시퀀스 숏 등
『올뎃』은 의사(擬似:실제와 비슷함) 자연주의나 미학을 구현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가혹한 극적 소재는 극단적 사실주의에서 파생된 것 같다. 이러한 이미지는 드레이어의 조명 사용방식에 의해 바쟁은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평했다. 바쟁은 드레이어가 사용한 극한 사실주의로 인해 관객들이 현실 그 이상의 것을 만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바쟁은 드레이어가 『올뎃』에서 보여준 사실주의가 “논쟁의 여지가 없을 만큼 확실한 진리”라는 표현으로 우리에게 적용된다고 말하며 라는 영화 속에서 명실공히 죽음에 이토록 가까이 다가간 예가 없으며 다른 형식의 예술에서도 이런 경우는 극히 드물 것이라는 말로 『올뎃』을 높이 평가한다.


『오손 웰즈』에서 바쟁은 웰즈 영화에 공통적으로 깔려 있는 자전적 요소와 한 인간의 성장과 연관된 도덕성에 각별히 주목했다. 동시에 웰즈 영화 특유의 스타일의 확립을 가져온 미장센의 미학과 그 미학이 함유하고 있는 ‘종합성’이 기계적 몽타주가 보여주는 분석상보다 훨씬 우월한 것임을 여기서 설득력 있게 증명해 보여주었다.

바쟁의 저서 『오손 웰즈』에서는 웰즈의 영화를 시퀀스 숏, 광각 기법, 전심도구성, 데코파주, 딥 포커스를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바쟁이 영화감독 루이 부뉘엘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영화이론 관점


”영화보는 것을 즐기지 않는 대신 나는 표현수단으로서의 영화를 좋아합니다. 우리의 현실을 보여주는 데 있어 영화보다 더 좋은 매개체는 없습니다. 영화가 아니고서는 손끝으로 만지듯 현실을 표현할 수가 없어요. 책이나 신문 그리고 경험을 통해 우리가 알게 되는 것은 외면적이고 객관화된 현실일 뿐이에요. 영화는 현실의 연장이며, 영화기술은 그 속으로 들어가는 작은 창문을 내주는 것과 같습니다. (후략)”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