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

 1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
 2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2
 3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3
 4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4
 5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5
 6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6
 7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7
 8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8
 9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9
 10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0
 11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1
 12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2
 13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3
 14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4
 15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5
 16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6
 17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7
 18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8
 19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19
 20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외교사] 거문도사건과 한반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1880년대 조선
Ⅲ. 거문도 사건의 전개
1. 거문도의 전략상위치
(1) 영 국
(2) 러시아
(3) 미 국
(4) 청
2. 영국의 무단점령
(1) 점령배경
(2) 거문도 점령
3. 조선의 대응과 영국의 철수
1. 조선의 외교적 대응
(1) 각국에 사건중재 촉구
(2) 영국의 반응
2. 영국의 철수
Ⅳ. 거문도 사건의 전후 국제관계
1. 열강과의 수교와
2. 거문도사건에 따른 역학구도의 변경
3. 거문도사건이후 국제관계
(1) 일본의 확장
(2) 러시아의 압박
(3) 러일전쟁과 한국
Ⅴ. 거문도 사건과 조선
1. 열국의 조선중립화 제안
(1) 일 본
(2) 러시아
(3) 독 일
(4) 영 국
2. 조선정부의 중립화론
Ⅵ.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EH. 카[Carr, Edward Hallett]는 그의 저서 에서 '역사는 현재와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일갈하였다. 즉 과거의 역사는 현재의 거울이며, 곧 미래의 모습일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 한반도의 모습은 어떠한가? 과연 현재 한반도와 '대화'할 수 있는 '과거'의 대상은 무엇이며 아울러 미래의 모습은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21세기초의 한반도의 모습은 19세기 구(舊)한말과 닮았다고 말한다. 개화를 둘러싸고 사회가 분열하고 주변 열강간에 한반도 지배권을 얻기 위한 각축전이 벌어졌던 19세기말의 한반도나 세계화를 둘러싸고 사회세력이 대립하고 북한 및 국제문제로 한국 사회가 반미와 친미세력으로 분열상이 나타나고 있다는데 그 동질성이 있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19세기의 미래는 한일합방이라는 역사의 단절의 비극적 결과가 있었다. 그렇다면 21세기의 한반도 역시 비극적 운명으로 전락할 것인가?
본 글에서는 1880년대 동북아 국제정치와 한국외교사에 중대한 의미를 지니는 거문도사건과 주변열강의 역학관계 및 조선의 국가전략을 중심으로 한반도의 현재를 가늠해보려 한다. 거문도 사건은 1895년 4월 15일부터 1897년 2월 27일까지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하고 장기간의 다국적 철수외교를 통해 해소된 국제정치적 사건이었다.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을 겪으면서 자주적 근대국가 형성이 지체되던 조선은 이 사건을 계기로 제국주의 열강의 복잡한 대결구도에 본격적으로 놓이게 되었던 반면, 일종의 상호견제 체제 속에서 능동적으로 새로운 국제질서를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거문도 사건의 의미는 19세기 후반 세계적 차원에서 대결하던 영국과 러시아가 한반도에서 충돌함으로써 전통적 동북아 국제질서의 와해를 심화시키고, 조선을 본격적인 국제정치의 틀로 편입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청과 일본과의 대립은 물론 거문도 사건이후 미국, 독일 등의 서구열강의 동아시아 이권쟁탈과 맞물리면서 조선의 근대국가 발전에 외압으로서 작용한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22권 (고종 22년 3월 10일, 20일, 4월 3일, 6일, 7일, 8일, 10일)
구한국외교문서 제13권, 제15권
靑李中日韓關係史, 제4권, 1147편, 1189편
李文忠功全集, 제18권(광서 12년 8월 28일)
승정원일기, 고종24년 3월 17일, 18일
유길준전서, 4권 중립론.
정교, 대한계년사 상편 (1958, 한국 사학회)
어윤중, 음청사 (1958, 한국사학회)
이기백, 한국사강좌5 (일조각, 1961)
김경창, 청국의 대한종주권강화 (1975, 한국정치학회보) 제9집
김우현, P. G, von Mllendorff의 조선 중립화 구상 (1983 경북대 평화문제 연구소)
원유한,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사건, (1983,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노계현, 한국외교사론 (1984, 대왕사)
주영하, 19세기 후반의 한·영·러 관계: 거문도 사건 (1987, 세종대학교출판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