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

 1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
 2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2
 3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3
 4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4
 5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5
 6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6
 7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7
 8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8
 9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9
 10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0
 11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1
 12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2
 13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3
 14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4
 15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5
 16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6
 17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7
 18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8
 19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19
 20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0.1. 시조가 이어지는 모습
10.2. 시조부흥운동의 배경
10.3. 시조 부흥 찬반론
10.4. 최남선 · 이은상 · 이병기
10.5. 시조 창작의 다양한 모습
10.6. 조운 · 권구현 · 신불출

* 참고문헌
본문내용
4. 최남선 ∙ 이은상 ∙ 이병기
4.1. 최남선 (百八煩惱), 1926년
최남선은 (조선문단.1926. 5)에서 조선심을 운율로 표현한 양식이 시조이며 민족정신을 되살리려면 시조를 부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주장하고 있는 시조부흥은 '조선적인 것'의 시적 형상화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를 의미하며 '조선적인 시'의 형태가 시조임을 강조한다.
時調는 朝鮮人의 손으로 人類의 韻律界에 提出된 된 一詩形이다. 朝鮮의 風土와 朝鮮人의 性情이 音調를 빌려 그 運動의 한 形象을 具現한 것이다. 音波의 위에 던진 朝鮮我의 그림자이다. 어떠케 自己 그대로를 가락 잇는 말로 그려낼가 하야 朝鮮人이 오랜오랫동안 여러 가지로 애를 쓰고서 이때까지 도달한 막다란 골이다. 朝鮮心의 放射性과 朝鮮語의 纖維組織이 가장 壓縮된 狀態에서 表現된 공든 塔이다. 남으로 우리를 알려 할 때에 그 가장 要緊한 材料일 것도 무론이지마는 우리를 觀照하고 味驗하는 것으로도 時調는 아직까지 唯一最高의 準的일 것이다. 다른 것으로도 그러치마는 더욱 藝術上으로 더욱 詩로 그러치지 안흘 수 업는 것이다. 웨 그러냐 하면 朝鮮은 文學의 素材에 잇어서는 아모만도 못하지 아니하고 또 그것이 胞胎로 어느 程度만콤의 發育을 遂한 것도 事實이지만 대체로는 文學的 成立, 乃至 完成文學의 國又國民이라기는 어렵다. (중략) 오직 詩에 잇어서는 形式으로 內容으로 用法으로 相當한 發達과 成立을 가진 一物이 잇스니 이것이 時調다. 時調가 朝鮮에 잇서서 唯一한 성립문학成立文學임을 생각할 때에 時調에 對한 우리의 親愛는 一段의 深厚를 더함이 잇지 아니치 못한다.
최남선, 「조선국민문학으로의 시조」,《조선문단》제16호(1926.5), 4쪽

그의 시조집 는 인쇄 문화가 시작된 지 최초로 출간된 개인 창작 시조집으로, 서문에서 “시조를 한 문자유희의 구렁에서 건져내서 엄숙한 사상의 일용기(一容器)를 만들겠다”는 의도를 밝힌 시조집이다. 시조를 융성하게 하겠다는 데 그치지 않고, 시조의 사상성을 높이는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겠다고 자부했다.

가. 특징
라는 표제는 내용을 총괄하는 의미로써, 번뇌에 사로잡힌 독자를 깨우치는 사상의 빛을 주려고 했음을 보여준다. 수록한 작품은 모두 108수이고, 36수씩 3부로 나누어져 있다. 치밀한 계획을 세워 작품집 전편이 일관된 주제를 지니게 한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그러나 엄격한 정형시를 만들어야 시조의 가치를 드높인다고 여겼기 때문에 창작 태도가 자연스럽지 않아 표현이 경색되었고, 형식은 거의 다 글자 수를 고정시키고 변형은 되도록 허용하지 않으려 했다. 말을 글자 수에 맞추므로 자연히 어법이나 표현이 어색해졌다.

나. 제1부 : 조국에 대한 사랑을 노래함.
찾는 듯 뷔인 가슴
바다라도 담으리다

우리 님 크신 사랑
그지 어이 잇으리만

솟는 채 대시옵소서
벅차 아니 하리다.
其三
님께야 차저 보아
못 어들 것 업것마는

내게야 뒤지기로
그 무엇이 나오리까

그대로 거두시기야
바란다나 하리까.
其一
가르친 님의 손은
한갈가티 곳건마는

아수운 이 내 마음
휘여서만 보려햇네

당긜 듯 퉁그러짐을
뉘 탓할가 하노라.
其四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이정자, 시조 문학 연구론, 200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8
강명혜, 시조의 변이 양상, 한국시조학회, 2006
임종찬, 시조에 담긴 주제와 시각, 국학자료원, 2010, 金瑢龜는 그의 논문(「 ‘國民文學‘에 대한 考察」, 서울대 석사논문, 1980)
홍흥구, 1920년대 시조부흥론 재검토, 국어국문학 112, 국어국문학회, 1994
白華生, “時調論”, , 1925. 7. 27.
이정자, , 국학자료원, 2010
홍흥구, 「1920년대 시조부흥론 재검토」, 『국어국문학』, 1994.
최남선, 「조선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 『조선문단』16호, 1926.5.
최남선, 『시조유취』, 한성도서, 1928.
이혜순, 「시조부흥론」, 『조선문학사의 정점』, 집문당, 1986.
김종호, 『조운 시조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1996년
조연화, 『조운 시조 연구』, 경기대 교육대학원, 2004년
강혜진, 『권구현 시 연구 : 아나키즘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영남대 대학원, 2010년
조운, 『병인년과 시조』, 조선문단, 19호, 1927년
권구현, 『계급문학과 그 비판적 요소―김기진 군 대 박영희 군의 논전을 읽고』,『동 광』,1927년
염상섭, 『시조에 대하야』, 조선일보, 1926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