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

 1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
 2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2
 3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3
 4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4
 5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5
 6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6
 7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7
 8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8
 9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9
 10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0
 11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1
 12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2
 13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3
 14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4
 15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5
 16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6
 17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7
 18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8
 19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19
 20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 구비문학의 이해와 지도-교과서 학습활동 정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설화
1.교과서 수록 현황
2.학습활동 분석
(1) 설화의 구비문학적 형식과 특징
(2) 설화의 유형(신화, 전설, 민담)과 성격
(3) 작품의 내용과 구성
(4) 설화의 사회·역사적 의의

Ⅱ. 민요
1.교과서 수록 현황
2.학습활동 분석
(1) 민요 감상하기
(2) 민요의 특징 알기
(3) 다른 작품과 비교하기
(4) 일상생활에 적용하기

Ⅲ. 무가
1.교과서 수록 현황
2.학습활동 분석
(1) 무가 작품 내용 이해하기
(2) 주제에 관련한 이해활동
(3) 무가 언어표현 이해하기
(4) 무가의 특징 및 구성 알아보기

Ⅳ. 판소리
1.교과서 수록 현황
2.학습활동 분석
(1) 표현상의 특징
(2) 판소리 이론 (갈래적 특징)
(3) 판소리의 전승 양상
(4) 주제와 관련한 활동
(5) 이야기 구조나 갈등과 관련한 활동
(6) 기타ㆍ심화문제

Ⅴ. 민속극
1.교과서 수록 현황
2.학습활동 분석
(1) 민속극에 가치에 대해 알기
(2) 인물의 성격 파악하기
(3) 언어(대사)표현 이해하기
(4) 장면의 흐름 파악하기
(5) 전통 공연 예술의 특징 파악하기

본문내용
● 다음의 표현이 나타나는 부분을 찾아 적어 보자.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표현한 부분
매명하에 한 섬 밥 못 먹것느냐?
같은 말을 반복하여
표현한 부분
흥부가 밥 먹는다. 흥부가 밥을 먹는다. 뚝, 딱, 뚝, 딱, 뚝딱, 뚝딱, 뚝딱, 뚝딱, 뭉쳐 가지고, 올라가거라. 딱. 흥부가 밥 먹는다. 뚝딱, 뚝딱, 뚝딱, 뚝딱, 뭉쳐 가지고, 올라가거라. 딱, 딱. 던져 놓고 받아 먹고, 던져 놓고 받아 먹고, 던져 놓고 받아 먹고.
행동을 우스꽝스럽게 묘사하여 표현한 부분
아주 밥 속에 드러누워 먹을라는고만.
말의 꼬리를 무는
표현이 나타난 부분
"이놈아, 강아지가 들어가서 어쩐다냐?"
"아, 밥을 팍팍 팍 먹을 게 아니오?"
"밥은 파 먹는다 하고, 강아지는 어디로 나온다냐?"
"그럼 호랑이를 몰아넣지요."
"호랑이가 들어가서 어쩐다냐?"
"강아지를 콱 잡아먹을 게 아니오?"
"강아지를 잡아먹는다 하고, 호랑이는 어디로 나오게야?"
"그러기에 또 포수를 몰아넣지요."
"포수가 들어가 어쩐다냐?"
"총으로 꿍 놓으면 호랑이 죽지 않겠소?"
"아이고, 이놈아. 호랑이는 죽는다 하고, 그럼 포수는 어디로 나올 것이냐?"
"그러기에 나라님 거동령을 아버지 볼기짝에다가 때려 붙여 보시오. 나오나 안 나오나."
끝말이 같은 말을
늘어놓는 표현이
나타난 부분
"초장화? 아니다. 장화초? 아니다. 화장초? 아니다. 이것이 무엇인고? 간장, 고추장, 구들장, 방장, 송장? 아니다. 이것이 무엇이냐? 천장, 방장, 구들장? 아니다. 어따, 이것이 뭣이여?"


나는 '흥부가 밥 먹는다. 흥부가 밥을 먹는다. 뚝, 딱, 뚝, 딱, 뚝딱, 뚝딱...' 부분이 가장 마음에 든다. 작가는 밥을 빨리 먹어 치우는 모양을 '뚝딱'이라는 말로 표현함으로써 밥 먹는 모습을 현장감 있고, 사실감 있게 보여 주려 한 듯하다.
● 1에서 찾은 부분 중 마음에 드는 부분을 와 같이 골라 작가가 재미있게 표현한 이유를 적어 보자.

- 나는 '이놈아, 강아지가.......' 부분이 마음이 든다. 판소리가 민중들이 즐겼던 문화이니만큼 격이 없고 재미있는 표현이 많은 것 같다.
● 다음에 제시한 부분을 통해 판소리 사설인 ‘박타령’의 표현상 특징을 지적해 보자. 그리고 이 부분에서 느껴지는 정서에 대해서도 말해 보자.
흥보가 하릴없어 형의 집에 건너갈 제 의관을 한참 차려, 모자 터진 헌 갓에다 철대를 술로 감아 노갓끈 달아 쓰고, 편자는 좀이 먹고, 앞춤에 구멍이 중중, 관자 뙨 헌 망건을 물렛줄로 얽어 쓰고, 깃만 남은 베 중치막을 열두 도막 이은 술띠로 시장찮게 눌러 매고, 헐고 헌 고의 적삼에 살점이 울긋불긋. 목만 남은 길버선에 짚대님이 별자로다. 구멍 뚫린 나막신을 두 발에 잘잘 끌고, 똑 얻어 올 걸로 큼직한 오쟁이를 평양 가는 어떤 이 모양으로 관(髖) 뼈 위에 짊어지고 벌벌 떨며 지나갈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