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

 1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
 2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2
 3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3
 4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4
 5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5
 6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6
 7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7
 8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8
 9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9
 10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0
 11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1
 12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2
 13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3
 14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4
 15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5
 16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6
 17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7
 18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8
 19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19
 20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과 교육] 실증주의와 민족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역사교육에 대한 고찰
1. 역사교육이란
2. 역사교육의 목적
3. 그렇다면 초등교사가 가르쳐야할 역사란? - 사실로서의 역사, 기록으로서의 역사

Ⅱ. 실증주의 사관
1. 실증주의와 실증주의 사관
가. 실증주의
나. 실증주의 사관
2. 실증주의 사관의 학자들
가. 콩트
나. 랑케
3. 실증주의 사관의 한계

Ⅲ. 상대주의 사관
1. 상대주의와 상대주의 사관
2. 상대주의 사관의 학자들
가. E.H. 카
나. R.G 콜링우드
다. 베네데토 크로체

Ⅳ. 민족주의 사관
1. 민족주의와 민족주의 사관
가. 민족주의
나. 민족주의 사관
다. 상대주의사관과 민족주의사관
2. 민족주의 사관의 학자들
가. 박은식
나. 신채호
3. 민족주의 사관 한계

Ⅴ. 결론
1. 우리조의 생각
2. 조원들의 생각

Ⅵ. 지도의 실제
1. 전체적 차시구성
2. 1차시
3. 2차시
4. 3차시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증주의와 실증주의 사관

가. 실증주의
실증주의(實證主義)는 감각 경험과 실증적 검증에 기반을 둔 것만이 확실한 지식이라고 보는 인식론적 관점이자 과학 철학이다. 실증주의적 관점은 '과학주의'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과학주의'란 자연 과학의 탐구 방법이 철학과 사회 과학과 같은 모든 탐구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는 관점이다. 실증주의 속에서 우리는 과학적 지식이 가장 타당한 지식이며 과학작 사실만이 지식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증주의는 사실과 과학에 의해 확인된 법칙을 넘어서는 어떠한 힘이나 실체의 존재 및 그에 대한 인식을 거부하며 어떠한 형이상학이나 과학적 방법으로 환원되지 않는 연구 방법을 배격한다. "먼저 사실을 확인하고 그 다음에 법칙을 발견하라", "예견하기 위하여 알고 대비하기 위하여 예견한다."라는 말은 모두 실증주의를 반영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
실증주의의 사상적 근원은 18세기 계몽사상과 영국의 경험철학에서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을 가능하게 만든 지적 풍토는 당시의 산업혁명과 산업기술의 성공이 초래한 낙관주의의 거대한 물결이다. 그러므로 실증주의보다 시기적으로 조금 앞섰던 낭만주의가 계몽사상에 대한 직접적인 반항의 소산이었다면, 실증주의는 산업혁명을 배경으로 하여 계몽사상에 내포된 과학주의를 보다 철저하게 확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실증주의는 모든 학문의 과학화, 즉 인간과 사회에 대한 연구까지도 자연과학화 할 수 있다는 신념의 표현이며, 이러한 면에서 실증주의자들은 윤리, 정치, 역사는 물론 심지어 종교까지도 과학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실증주의에 비추어 봤을 때 우리가 실증주의 사학 또는 실증주의 사관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곧 역사학을 하나의 자연 과학으로 보려는 학문적 연구 태도와 관점, 즉 역사의 과정과 자연의 과정을 동일한 종류의 것으로 보고 자연과학의 방법을 역사의 해석에 적용하려는 입장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 실증주의 사관
실증주의 역사학은 자연과학자가 실험이나 관찰을 통해 자연계의 현상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 현상 속에서 작용하는 법칙을 발견하여 그것을 자연의 개발 및 이용에 적용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역사적 사실을 인식하고자 하는 역사관을 뜻한다. 즉, 실증주의 사관은 역사적 해석을 사실(유물과 사서)에 근거를 두어 그 실체를 증명하는 역사관이다. 역사를 움직이는 인간보다는, 그 역사 사실을 확실한 근거에 의하여 실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실증주의 사관에서는 역사 사실의 발견과 그 사실들의 집합이 곧 역사의 목적으로 파악된다.
일본의 역사철학자인 류우다 겐쥬로는 '역사주의는 역사를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연구하는 태도를 말한다. 과학적 역사학은 정치, 경제적 이해나 도덕적 관심이라든가 하는 것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이와 같은 현실의 관심에서 탈피해야만 참된 과학적 객관성을 갖게 때문이다.'라고 실증주의적 사관을 설명했다. 실증주의 사관에 따라 실증주의 사관을
참고문헌
Ⅶ. 참고문헌
․ 배향미, 2011.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정체성 문제와 목적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덕진, 2009. 초등 역사교육의 이해. 선인
․ 최용규 외, 2009. (초등교사를 위한 사회과 역사 수업 가이드) 살아있는 역사 수업. 교육과학사
․ 조지형, 2006. 랑케&카 : 역사의 진실을 찾아서. 김영사
․ 이민호, 1988. 역사주의-랑케에서 마이네케. 민음사
․ 심재윤, 1985. Ranke사관의 재고찰 동국21. pp.113-121.
․ 이규하, 1981. 역사주의를 중심으로 한 랑케 사관 : Ranke Hegel 학파간의 논쟁과 함께. 전북인문 1. pp.32-38.
․ 한영우, 2003. 역사학의 역사 지식산업사
․ 이만열, 1985. 단재 신채호의 역사연구방법론. 산운사학
․ 탁선산, 2004. 한국의 민족주의를 말한다.
․ E.H. 카/김승일 옮김, 1998.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범우사.
․ 콜링우드/이상현, 1993. The Idea of History. 박문각.
․ 이동휘, 2004. 발해의 종족구성과 신라의 발해관.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 강현주, 2009. 발해의 주민구성에 관한 연구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 전종익, 2002. 고등학교『국사』교과서의 민족주의적 경향에 대한 분석,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강현주, 2009. 발해의 주민구성에 관한 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