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

 1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
 2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2
 3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3
 4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4
 5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5
 6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6
 7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7
 8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8
 9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9
 10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0
 11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1
 12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2
 13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3
 14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4
 15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5
 16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6
 17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7
 18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8
 19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19
 20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김정은 체제 북한의 정치 행태 및 핵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북한이 핵을 갖게 된 요인

2 북한 핵문제와 6자 회담

3 6자회담 참여국들의 입장

4 김정일 사망에 따른 김정은 후계작업과 향후 전망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7) 5차 6자회담

제5차 회담은 2005년 11월부터 2007년 2월까지 3단계에 걸쳐 열렸다. 2007년 2월13일 6자회담 5차 회의에서 참가국들은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조처'로 명명된 합의문서(2·13 합의)가 채택되었다. 이 합의는 북한 핵을 폐기하는 세 과정 중 폐쇄와 불 능화 단계를 합의한 데 의미가 있었다. 그 핵심 합의 사항은 북한 내 핵 시설을 폐쇄, 봉인하며 모든 핵 프로그램 목록을 60일 이내 작성하고, 참가 5국은 60일 이내 북한에 중유 5만 톤을 긴급 지원하며, 미국과 북한, 북한과 일본은 관계 정상화를 위한 대화를 60일 이내 개시하고, 6자회담 내 5개실 무 그룹(한반도 비핵화, 북미 관계 정상화, 북일 관계 정상화, 경제 에너지 협력 및 동북아 평화 안보 체제)을 구성하며, 향후 단계로서 북한의 현재 핵 시설 불 능화 하고 모든 핵 계획을 완전 신고하면 중유 95만 톤을 지원하는 것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8) 6차 6자회담

제6차 1단계 회담은 '2·13합의'의 이행조치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하여 2007년 3월 베이징에서 열렸다. 같은 해 9월에 열린 2단계 회담에서는 2007년 말까지 북한이 핵시설을 불 능화 하고 핵 프로그램을 알리는 대신 미국 측은 북한에 대한 테러지원국 명단 삭제와 적성국무역법에 따른 제재 해제, 5개국의 중유 100만t에 해당하는 경제적 보상 완료 등을 틀로 하는 이른바 '10·3합의'가 채택되었다.

9) 교착상태에 빠진 6자회담

2003년 8월 제1차 6자회담이 개최된 이래 2004년 2월 제 2차 회담, 같은 해 6월 제3차 회담이 개최되었다. 비록 이렇다 할 진전은 없었으나 약 6개월마다 회담이 지속되었고, 북한 핵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한다는 국제적인 공감대도 형성되어 한반도 상황은 보다 안정을 찾아가고 있었다.
제 1차 6자회담에서 참가국들은 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상황악화 조치를 자제하기로 합의했고, 제 2차 회담에서는 회담 정례화와 실무그룹 구성이 합의되는 등 표면적으로는 회담이 잘 진행되고 있는 듯 보였다. 그러나 주요 쟁점들에 관한 실질적인 문제 협의에서는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거의 모든
참고문헌
■ 참고문헌 ■

1. 서 적

김용준, 『게임의 종말 북핵 협상 20년의 허상과 진실, 그리고 그 이후』, 한울아카데미, 2010.
곽태환,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의 평화적해결 : 평가와 전망』, 현대사회연구소, 2004.
전경만, 임수호, 방태섭, 이한희, 『북한 핵과 DIME 구상』, 삼성경제연구소, 2010.
백학순, 『북한 권력의 역사 : 사상·정체성·구조』, 한울, 2010.
강석승, 『북핵 판도라 X파일 : 김정일, 서울 핵공격하면 미국, 북한 말살공격한다』, 동서문화사, 2008.
이성구, 『(21세기) 북한정치학』, 大經, 2011.
이용준, 『게임의 종말 : 북핵 협상 20년의 허상과 진실 그리고 그 이후 = (The) end of the game 』, 한울, 2010.
배정호, 『전환기의 북한과 통일담론』, 늘품플러스, 2011.
김진만, 『북한학 : 북한 체제의 운영 원리와 메커니즘』, 良書閣, 2011.
김응수, 『(21세기) 북한의 이해』, 북코리아, 2011.
강성윤, 『김정일과 북한의 정치 :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선인, 2010.

2. 학술지

이명수, “북핵문제와 우리 정부의 대응 -노무현, 이명박 정부의 북핵정책 비교연구”, 한국동북아학회, 2008.
권오윤, “협력안보로서의 동북아 평화협정 체제를 만들기 위한 조건들”, 평화연구, 제15권 1호, 2007.
김정남, “북핵문제에 대한 한반도 주변 4강의 대응 연구”, 대진대학교, 2010.

3. 기사 및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사이버통일안보연구소: http://www.cyberhmw.org/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