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

 1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
 2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2
 3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3
 4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4
 5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5
 6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6
 7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7
 8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8
 9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9
 10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0
 11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1
 12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2
 13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3
 14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4
 15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5
 16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인사회의 특징과 분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1. 한인이란?
1.1 한인의 정의
1.2 재외동포에 대한 법률적 정의
1.3 재외동포 분포 현황
본론
2. 각 나라별 특징과 겪고 있는 문제
2.1 일본
2.2 중국
2.3 러시아
2.4 미국
3. 한인들의 공통적 의식
3.1 귀소 의식
3.2 공동체주의
3.3 교육열과 성실성
3.4 정체성
결론
4.1 한인사회의 저력
4.2 한인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1.1 다양한 용어
재일동포를 일컫는 용어에는 ‘재일한국인’, ‘재일조선인’, ‘올드/뉴 커머’가 있다
재일한국인: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 국적의 한국사람을 말한다. ‘자이니치(在日)’이라고도 불린다.
재일조선인: 일본에서는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북한 국적을 선택한 사람은 정부 수립이전의 명칭인 ‘조선’을 유지하고 있다.
올드커머, 뉴커머: 재일한국인 중에서 1965년 한일국교 정상화를 기점으로 올드커머, 뉴커머로 구분되어 불린다. 올드커머는 주로 일제강점기에 건너온 ‘특별영주권’ 대상자이며 뉴커머는 국교정상화와 해외여행 자유화 이후 넘어온 일반 영주자이다.
1.2 재일사회의 역사
1910년대: 국권 피탈 이후, 대한제국인(조선인)의 국적이 대한제국에서 일본으로 바뀌었다. 취업이나 유학을 목적으로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0년대: 간토 대지진(關東) 당시 6천여명의 조선인이 유언비어로 인해 ‘자경단’에 살해되었다.
1930년대: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노동력이 부족해지자 조선인들을 강제징용, 주로 탄광에 노동자로 강제 노동시켰다. 이 당시 재일동포 수가 200만에 달했다. 이 당시정치깡패이자 친일파인 ‘박춘금’이 일본 중의원에 당선돼 일본제국을 홍보하였다.
광복~6.25전쟁: 광복이 되면서 140만 명이 고국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의민태자(영왕 이은)는 입국하지 못했다. 이후 제주 4.3사건과 6.25 전쟁 당시 일부 한국인이 일본으로 밀입국하기도 했다.
전쟁 이후: 1959년부터 1962년까지 3년 남짓한 기간 사이에 일본 정부는 북한과 협의하여 자국에 있는 다수의 재일동포, 특히 조총련을 배에 태워 북으로 돌려보낸다. (이 당시에는 북한이 남한보다 일본과 관계가 더 좋았다)
현재: 재일 동포들은 지문날인 제도, 외국인등록증 상시 휴대, 재 입국허가 제도, 강제퇴거 제도 등의 폐지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채용 및 국•공립학교 교원 채용 시 국적조항 철폐, 지방자치단체 참정권 보장, 민족교육 육성 등을 요구해왔다. 1991년 1월 10일 〈재일한국인 법적 지위 향상 및 처우개선에 대한 합의사항〉에서 재일 한국인 3세의 영주권 허가, 지문날인 제도 철폐, 국•공립학교 교원 임용기회 획득,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임용기회 확대 등에 합의를 보게 되었다. 그러나 재일동포에 대한 차별, 북한계인 조총련과 한국의 민단 사이의 갈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1.3 경제활동
해방 전에는 평균적으로 약 85%가 노동직에 종사했고 나머지는 농업이나 공업에 종사했다. 2004년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재일동포의 정규직 비율이 남녀 모두 49% 정도인데 비해 일본인 남성의 경우에는 70% 여성의 경우에도 60%가 넘어 재일동포와 일본인 사이에 커다란 격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자영업의 비율은 타인을 고용할 경우와 타인을 고용하지 않는 경우 모두 재일동포의 비율이 일본인보다 높다 결국 고용직의 경우에 재일동포는 정규직보다 임시직 비율이 남녀 모두 일본인보다 높고 자영업에 종사하는 비율도 재일동포가 많아 일본사회에서 재일동포의 취업은 제도적인 규제와 사회적 차별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4 정체성
재일동포 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정체성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일본은 단일민족의식이 강해서 일본문화로부터 동화를 강요 받고 오랜 식민지 지배로 한국을 일본보다 열등한 존재로 의식하는 경향이 강했다. 하지만 이주 1세대들은 식민통치와 강제징용으로 인해 일본에 대한 반감이 심하였다. 그래
참고문헌
5. 출처
웹사이트
코리안 넷: www.korean.net (통계자료 및 다수)
경향신문: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2121817131&code=990303 (2007년 설동훈 교수 칼럼)
한국민족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8760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1302&docId=48631670&qb=66+47KO8IOydtOuvvOyCrA==&enc=utf8§ion=kin&rank=10&search_sort=0&spq=0&sp=1&pid=gW3JlF5Y7Z4ssZCBiyRssc--523977&sid=Tt2OhpqH3U4AAEN4EXA. jsy3160. “네이버 지식iN::지식과 내가 함께 커가는 곳”. 2011.12.7. Web
http://jeromibackup.tistory.com/877. 로렌스’s Blog. “아틀란타 한인 이민사 연재 모음(AND 미국 이민사)”. 2011.12.7. Web
http://kousa.tistory.com/1046. “미국 이민 사회와 종교 그리고 한인 교회들”. 2011.12.7. Web
도서
코리안 디아스포라: 윤인진, 고려대학교 출판부
재일 강상중: 강상중, 고정애 역, 삶과 꿈
발표문
600만 해외동포, 그들은 누구인가(해외교포문제연구소장 이구홍)
한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문제(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영훈)
해방60년, 재외한인학의 현재와 과제(재외한인학회, 재외동포신문, 국회 재외동포문제연구회 주최)
“재미동포의 정체성과 통일과정에서의 역할”. 이병희. 공주대학교. 2011.12.7
미국 속의 한국인. 이현주.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1998. 학술저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