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

 1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1
 2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2
 3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3
 4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4
 5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5
 6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6
 7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7
 8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8
 9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9
 10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10
 11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술] Uncanny Valley와 3D 애니메이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Uncanny Valley란 무엇일까?
Ⅱ. Uncanny Valley의 기원
1. Uncanny Valley의 어원

2.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적 기원
Ⅲ. Uncanny Valley에 관련한 3D 애니메이션 및 로봇 사례들
1. 극사실주의 애니메이션의 딜레마, Uncanny Valley
(1)_애니메이션에서의 최초의 Uncanny Valley 논란

(2) , _실제 배우에 근거, 관객의 몰입으로 이어지는데 실패
(3) 소결론
2. 로봇 디자인의 난점, Uncanny Valley
(1) _ 왜곡과 과장 없는 인간의 재현에 대한 낯설음
(2) _Uncanny Valley에 빠질 수도, 극복할 수도 있는 분야
Ⅳ. 극복 사례 - 영화 ‘아바타’를 통해서
Ⅴ. 결론
본문내용
2.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적 기원
프로이트는 기존의 미학이 “혐오스럽거나 고통스러운 감정들 보다는” “그와는 반대되는 아름답고 위대하고 매력적인 감정들만 연구해왔음을 지적하며, 때문에 그가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은 기존의 미학에서 경시되어 온 것 중의 하나인 ‘두려운 낯설음’이라고 밝힌다. 프로이트는 새롭고 친숙하지 않은 것 뿐만 아니라, 친숙한 것으로부터도 동일한 감정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지적한다. 그는 “이상하게 불안감을 주는 것은 친숙하기 못한 것이라는” 지금까지의 등식을 넘어서려는 것이 자신의 의도임을 밝히고 있다.
프로이트는 두 가지 방법을 취하며 대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나는 heimlich라는 단어의 어원을 살피는 것이다. 그 단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의미들 중에는 그 말의 반대말인 unheimlich한 것이기도 하다. 서로 반대되는 이 두 의미는 이 단어에서만큼은 “서로 대립되는 것도, 또 서로 무관한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즉, 두려운 낯설음이란 양가적인 감정은 이미 우리가 이전에 경험했던, 그래서 ‘친숙했던 무언가’가 다시 돌아오는 것이며, 이것이 낯설고 두렵게 느껴지는 이유는 오랜 시간 자아가 그것을 ‘억압’해 왔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독일어에서 반대를 뜻하는 접두사 ‘un’은 이제 한 때 친숙한 것이었으나 그 동안 억압 되어져 감정적으로 거부하거나 부인하는 것에 대한 표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려운 낯설음’에 대한 논문을 작성한 옌치는 Uncanny의 개념과 가장 부합하는 정의를 다음과 같이 내리고 있다. “어떤 한 존재가 겉으로 보아서는 꼭 살아 있는 것만 같아 혹시 영혼을 갖고 있지 않나 의심이 드는 경우, 혹은 반대로 어떤 사물이 결코 살아 있는 생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우연히 영혼을 잃어버려서 영혼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드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에 대한 예로는 “밀랍인형, 마네킹, 자동인형”이 언급된다.
Uncanny의 출발이 된 프로이트의 ‘두려운 낯설음’이라는 개념을 ‘억압된 거의 회귀’라는 관점에서 고찰했을 때 현재 Uncanny를 둘러싼 논의가 대부분 이에 대한 극복을 위한 노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가장 심층적인 무의식을 구성하는 공포감을 다시 불러내는 프로이트적 Uncanny Concept의 강렬한 미학적 효과는 재고될 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