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

 1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1
 2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2
 3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3
 4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4
 5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5
 6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6
 7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7
 8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8
 9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9
 10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10
 11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사근대기점론] 우리 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기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는 글
2. 근대, 혹은 근대문학에 대한 이해
2. 1. 근대란 무엇인가?
2. 2. 서구적 관점에서의 근대, 근대문학
3. 근대기점을 둘러싼 제논의
3. 1. 내재적 발전론
3. 2. 서구영향론
3. 3. 절충론
4. 근대기점에 대한 인식의 전환
5. 맺는 글
본문내용
1. 여는 글

한국사에 있어서의 시대구분에 대한 논의 한국역사연구회편, 『한국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1986, p58~59
분단 이후 문헌고증사학의 바탕위에서 각종의 구미 부르조아역사학이 결합되어 전개되고 있었던 당시 학계 상황이 반영되어, 시대구분 부재의 한국사인식이 보편화되었다고 비판하고 있음
를 보면, 북한에서는 이미 50년대 말의 논쟁과 1962년 간행된 『조선통사』를 통해서 그 공식 입장을 정리하여, 고조선시기를 고대노예제사회, 삼국시기에서 조선시기 1866년까지를 중세봉건제사회, 1866년부터 1945년까지를 자본주의사회에 상응하는 식민지반봉건사회, 그 이후를 현대사회주의사회의 발전기로 규정하고 있다. 반면 남한에서는 1968년에 들어서야 시대구분에 관한 토론과 『한국사 시대구분론』(1970)의 간행으로 일차 정리가 되었는데, 근대의 기점에 대해서는 18세기 후반, 1860년대, 개항, 갑신정변, 갑오개혁 등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다. 이는 전근대, 근대를 불문하고 시대를 구분해야 하는 역사인식상의 과제와 의의에 대한 올바른 입장을 공유한 가운데 시대구분의 과학적 기준 설정이나 그것의 실증성 여부를 검증하는 형태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이와는 거리가 먼 각종의 시대구분의 기준을 내세워 그 다양화, 개성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문학사에 있어서도 근대기점은 일제강점기라고 하는 우리의 역사적 특수성으로 인해 근대문학을 서구의 기준에 맞추어 재단할 것인가 아니면 우리의 내부적 발전을 통해 근대문학을 규정할 것인가 하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근대문학의 기점을 설정한다 하더라도 근대문학의 기점과 성립사이의 기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 김명호, 「근대문학론의 기본쟁점」, 『근대문학의 형성과정』, 1983, p98
가 발생되고, 여기에 분단으로 인한 ‘남한 문학’과 ‘북조선 문학’으로 대립문제의 근본 원인 역시 ‘근대’에 있다고 하는 지적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 비평사, 2002, p4~5
한국문학사가 ‘문학사적 통합’을 이룩해 내지 못한 근본 원인을 이 땅의 근대에 있다고 보고, 전통 단절은 민족국가의 수립이라는 근대기획에 실패함으로써 심화․왜곡된 양상이며, 문학사의 대립은 남북의 분단국가 성립으로 늦어진 근대기획이 또 차질을 빚음으로써 초래한 양상으로 봄.
처럼, ‘근대’라고 시기구분은 역사와 문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며 나아가 통일된 하나의 우리 문학을 수립하느냐 하는 중요한 문제로서 자리 잡고 있다. 여기서는 시대구분 부재의 한국사라는 역사 인식 속에서 근대의 개념, 그리고 근대와 근대구분을 둘러싼 문학의 쟁점들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근대기점 ‘이 갖는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2. 근대, 혹은 근대문학에 대한 이해

2. 1. 근대란 무엇인가?
근대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 즉 근대와 근대성에 대한 탐구만으로도 또 하나의 주제가 될 만한 것이다. 그래서, 여기서는 근대에 대한 개념정립을 중심으로, 근대라는 것이 서구의, 특히 유
참고문헌
○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과 근대성』, 문학과지성사, 1995
○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한국문학과 근대성의 형성』, 아세아문화사, 2001
○「문학과 예술에서의 근대성 문제」, 창작과비평사, 1993, 겨울호
○ 임형택,『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창작과비평사, 2002
○ 김용직, 『한국현대문학의 사적 탐색』, 서울대출판부, 1997
○ 김재용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 고전문학연구회편, 『근대문학의 형성과정』, 문학과지성사, 1983
○ 황패강외,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개관』, 정음사, 1987
○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성사, 1979
○ 조동일,『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1994
○ 서강대 국어국문과,『한국문학사의 현실과 이상』, 새문사, 1996
○ 민족문학사연구회,『북한의 우리문학사 인식』, 창작과비평사, 1991
○ 김윤식, 『북한문학사론』, 새미, 1996
○ 철학연구회, 「근대성과 한국 문화의 정체성」, 1996 (봄 발표회)
○ 민족문학사연구소, 『민족문학사 강좌 하』, 창작과비평사, 1995
○ 한국역사연구회편, 『한국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1986
○ 한국사연구회편, 『한국사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 정두희, 『하나의 역사, 두 개의 역사학』, 소나무, 2002
○ R. 로버트슨외, 『근대성, 탈근대성 그리고 세계화』, 윤민재 편역, 사회문화연구소,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