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

 1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1
 2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2
 3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3
 4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4
 5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5
 6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6
 7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7
 8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작품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시대적 배경
2-2. 시인의 역할
2-3. 작품에 나타난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식민지 시대는 한국문학에 있어서 가장 활발한 활동이 있었던 시기였다. 근대화 이후 문학작품 내에서 모국어 중심의 사용이 두드러졌으며, 이는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한국어 즉, 모국어가 작품 내에서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으며 그 모국어 사용이 의미하고 있는 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시대적인 배경 측면에서 모국어의 사용 양상을 생각해보고, 문학사에서의 시인의 역할, 그리고 ꡐ한국어의 훈련ꡑ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ꡐ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ꡑ의 측면에서, 언어의 사용이 가장 두드러지고 극대화된 문학 장르인 시를 중심으로 다룰 것이며, 그 시대에 가장 모국어의 사용이 많이 드러났던 시인들인 김소월, 백석, 김영랑의 시를 중심으로 전개해 나갈 것이다. 또한 작가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작품 속에 나타난 ꡐ한국어의 훈련양상ꡑ에 더 주목할 것이다.

2. 본론

2-1. 시대적 배경

우리 나라의 근대화는 식민지 시대에 서구 열강과 일본에 의해 비주체적이고 무분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로 인해 서구 열강의 문화적 충격이 가해졌으며 이런 사태 속에서 우리 사회는 국어국자(國語國字) 문제, 또는 어문정책에 손을 쓰지 않을 수 없었다. 서구 열강의 침략 의도에 맞서 우리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낡은 허울을 벗어야 했다. 이른바 반봉건, 근대화의 성취를 위해서 우리 사회의 문화적 개혁이 뒤따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문화적 개혁의 중요한 항목 중 하나가 언어 문자상의 개혁이었다. 이기문․이상규 외, 『문학과 방언』, 역락출판사, 2001, 26-7쪽
그 무렵까지 우리 사회의 지배 계층은 한자 ․ 한문 중심의 생활을 하고 있었으므로, 이것을 타파하여 모국어 중심의 문자 생활을 하지 않고는 주체적 문화가 구축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 노력으로 나타난 것이 바로 표준어 사정(査定), 맞춤법의 정리와 체계화였다.
근대로의 전환기에서의 민족적 과제는 반제와 반봉건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근대화를 일본에 의해 강압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봤을 때, 당시의 사회적인 입장에서는 반제와 반봉건이라는 두 가지의 명제를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그러나 문학적으로는 모국어 중심의 사용으로 반제와 반봉건의 명제를 성립하였다. 기존의 한자와 한문 문화를 타파하였고, 그 영향이 자국의 문학 작품에 나타난 것이 반봉건의 입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모국어의 중심적 사용은 민족 정서와 공동체 의식의
참고문헌
1.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2003
2. 박혜숙 저, 『백석 - 우리 문화의 원형탐구와 떠돌이 삶』,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3. 오세영, 『한국 현대시 분석적 읽기』,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4. 이기문․이상규 외, 『문학과 방언』, 역락출판사, 2001
5. 유종호, 『다시 읽는 한국시인』, 문학동네, 2002
6. 백석, 『白石詩全集』, 창작과 비평사, 1987
7. 상허문학회 지음, 『1930년대 후반문학의 근대성과 자기성찰』, 깊은샘, 1998
8. 김흥규, 『문학과 역사적 인간』, 창작과 비평사, 1980
9.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10. 김학동 편, 『김영랑』, 문학세계사, 1993
11. 고형진 편, 『백석』, 새미, 1996
12. 김형필, 「식민지시대의 시정신 연구 : 백석」, 『우리 어문학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91
13. 김형필, 「식민지시대의 시정신 연구 : 김영랑」, 『우리 어문학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