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

 1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
 2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2
 3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3
 4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4
 5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5
 6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6
 7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7
 8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8
 9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9
 10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0
 11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1
 12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2
 13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3
 14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4
 15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5
 16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6
 17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7
 18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8
 19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19
 20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제정치] 탈냉전이후 한국외교 사례연구-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전두환, 노태우 정권기 한미동맹과 북방정책

Ⅲ. 김영삼, 김대중 정권기 북핵위기와 햇볕정책

Ⅳ.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 남북관계와 한미관계

Ⅴ. 국제 정치 환경변화와 글로벌 외교

Ⅵ. 결 론
본문내용
1980년대 소련의 해체와 붕괴가 시작되면서 세계는 양극체제이던 냉전체제에서 탈냉전체제로 그 질서가 변화하게 되었다. 탈냉전기의 국제질서는 미국의 일극체제로 대표되며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의 가치의 확산으로 요약된다. 동북아에서도 이러한 탈냉전기의 국제질서로 인해 지역 이슈에서의 국가 간 역학관계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시기상 전두환 정권기에 탈냉전의 새로운 국제질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민주화 이후의 정권들은 그 외교정책 수립에 있어 탈냉전의 논리를 본격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반도가 냉전이 종식된 이후에도 분단 상태로 남아있고 냉전시기의 이념간 대립상황이 계속되고 있다는 특수성 또한 탈냉전기 한국 외교정책을 둘러싼 동북아 국제관계라 할 수 있다. 한국의 탈냉전 이후의 외교정책은 이러한 두 가지 상반된 국제정세 속에서 끊임없이 긴장상태와 이완상태를 반복해온 역사로 요약된다. 전두환 정권기의 동반자적 관계로서의 한미동맹의 강화, 노태우 정권기의 북방정책, 북핵위기와 김영상 정권의 대응 및 김대중 정권의 대북 햇볕정책, 노무현, 이명박 정권기의 2차 남북정상회담과 천암함, 연평도 사건, 이라크 파병과 한미동맹의 변화는 딜레마(dilemma)적인 탈냉전기 동북아 국제정세 속에서 한국이 취해온 외교적 입장 및 결과물을 보여줄 수 있는 대표적 사례들이다.
참고문헌
강태호. 2004. “이라크 파병과 한-미관계-핵, 파병, 주한미군의 삼각함수,” 󰡔기억과 전망󰡕 Vol. 8, No. 0. 98-100.
고경민 외. 2010. “공적개발원조(ODA)와 국익: 한국 ODA 정책의 발전을 위한 함의” 한국과 국제정치. 제26권 제3호. 108.
국가기록원. 2011. “북방정책 선언,”. http://contents.archives.go.kr/next/content/listSubjectDescription.do?id=002824&pageFlag=A(검색일: 2011년 12월 3일).
국방신문. “천안함 조사 결과” 󰡔국방신문󰡕 2010년 5월 10일.
국방부. 2010. “정책포커스: 해외파병.” http://www.mnd.go.kr(검색일: 2011년 11월 27일).
김강녕. 2003. “노무현 정부의 외교정책의 방향과 과제.” 통일전략. 한국통일전략학회. 45.
김강녕. 2009. “G20 정상회의와 한국외교의 과제”, 서석사회과학논총. 제2집 2호. 61-65.
김병섭. 2011. “우리나라의 FTA 정책 평가 및 한・미 FTA 비준 추진 방안.” 외교안보연구원. 31.
김병조. 2011. “‘사회안보’ 이론의 한국적 적용.” 국방연구. 제54권 제1호. 2-20.
김영호. 2009. “스마트 파워 전략과 한국군의 국제평화활동.” 국제정치연구 제12집 2호. 64.
김종석. 2009. 『21세기 한-미 관계의 재정립: 글로벌 동맹관계를 위한 로드맵』. 한국경제연구원. 3-195.
김창훈. 2002. 『한국외교, 어제와 오늘』. 서울: 다락원. 224-304.
네이버 지식사전. 2011. “소프트파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27784(검색일: 2011년 11월 27일)
네이버 지식사전. 2011. “북방정책.”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2047(검색일: 2011년 12월 5일).
대한민국 정책포럼. 2007. “한미 정상 6차례 회담, 무슨 얘기 나눴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078&aid=0000029542 (검색일: 2011년 12월 3일).
문정인 외. 2009.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통일연구(KOREAN UNIFICATION STUDIES)󰡕. Vol. 13. No. 2.
문화일보. “ 한미관계 큰 폭 진전 전망 7년 만에 대북 일치된 생각” 󰡔문화일보󰡕 2008년 2월 25일.
문화체육관광부. 2011. 『문화외교 매뉴얼』. 10.
박승윤. 2003. “이라크 추가파병 동의안 국무회의 의결,” 󰡔머니투데이󰡕 (12월 23일). http://news.nate.com/view/20031223n04599(검색일: 2011년 12월 5일).
서울신문. “정권교체 정국 (3)대북정책” 󰡔서울신문󰡕 2007년 12월 24일.
송호균. 2008. “李대통령 ‘지난 한미동맹, 이념과 정치에 의해 왜곡’” 󰡔프레시안󰡕 (4월 16일)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20080416112430&Section=(검색일: 2011년 12월 2일).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2010. 『갈등하는 동맹 한미관계 60년』. 서울: 한국커뮤니케이션. 95-103.
유웅조. 2011. “한국 공적개발원조(ODA)정책의 성격에 대한 실증분석.” 세계지역연구논총 29집 1호. 35.
윤성욱 외. 2010. “한-중 FTA: 한국의 대응 방향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제29집. 232-233.
월드 프렌즈 코리아. 2011. "월드 프렌즈 코리아 설명." http://www.worldfriendskorea.or.kr(검색일: 2011년 11월 27일).
외교통상부. 1999. 『한국외교 50년』. 서울: 외교통상부. 141.
외교통상용어사전, 외교통상부, 대한민국정부. http://mofaweb.mofat.go.kr/MofaDic.nsf/webview01search/824504395A85298492567040023631A?opendocument (검색일: 2011년 12월 4일).
이기택. 2005. 『국제정치사』. 서울: 일신사. 524.
이성구. 2004. “김대중 정부의 햇볕 정책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HUMANITIES) 제12권. 117.
이시영 외. 2004. “한·일 FTA: 정치경제적 접근.” 국제통상연구 제9 권 제1호. 161.
이신화. 2006. “동아시아 인간안보와 글로벌 거버넌스.” 세계정치. 제27권 제1호. 106-107.
이원형. 2008. 『이명박 정권의 외교전략(한국의 국가전략)』. 서울: 박영사. 245.
이창헌. 2003. “북한 핵문제에 대한 한국정부의 접근전략과 평가,” 『정치정보연구』. 제6권 제2호. 110-118.
이천우. 2011. “국제 공적개발원조의 신조류와 한국의 ODA정책.” 산업경제연구 제24권 제2호. 798.
조선일보. “북 해안포에 맞사격 못했다” 󰡔조선일보󰡕 2010년 11월 25일.
조윤영. 2009. “북핵 위기와 비핵 개방 3000의 대북정책.” 한국정치학회보. 259.
진영. 2009. 『6자회담 합의문과 이행과정 재조명』. 서울: 진영의원실. 7-31.
차상철. 2004. 『한미동맹50년』. 서울: (주)생각의 나무. 185-217.
최강. 2010. “천안함 사건 이후의 한반도 주변 안보정세와 주요 도전”. 한국전략문제연구소. 78-96.
최용제. 2010. “한-칠레 FTA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국제지역연구 제13권 제4호. 541-556.
통일부. 2010. “정책자료집” http://www.unikorea.go.kr/CmsWeb/viewPage.req?idx=PG0000000392(검색일: 2011. 12. 4).
하영선 편. 2006. 『한미동맹의 비전과 과제』. 동아시아연구원. 88.
하용출. 2003. 『북방정책: 기원, 전개, 영향』.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6-31.
함택영,남궁곤. 2010. 『한국외교정책(역사와 쟁점)』. 서울: 사회평론. 412-620.
홍기원. 2011. “문화정책의 관점에서 문화외교의 논쟁적 요소들에 대한 고찰.” 예술경영연구. 89.
Bary Buzan. 2007. People, States, and Fear. New York: LynneRiennerPub. 37.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2010. “G20 정상회의 취지.” http://www.koreabrand.net/gokr/kr/index.do(검색일: 2011년 11월 27일).
MBC뉴스. “연평도 포격 당시 북한군 5명 사망”. 󰡔MBC뉴스󰡕 2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