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

 1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
 2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2
 3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3
 4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4
 5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5
 6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6
 7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7
 8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8
 9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9
 10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0
 11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1
 12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2
 13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3
 14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4
 15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5
 16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6
 17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7
 18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8
 19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19
 20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조경학] 한국 정원(궁궐)의 특징 조사-중국, 일본과의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한국 정원의 특성
1. 환경적 배경
2. 사상적 배경
(1) 자연숭배사상
(2) 유교사상
(3) 성리학사상
(4) 도가사상
(5) 풍수사상
3. 한국 정원의 역사적 흐름
(1)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한국 정원의 특징

II. 조선의 도성 계획
1. 도성계획의 중심 사상
2. 도성의 입지
3. 도성 계획
(1) 주요 건물의 배치
(2) 성곽, 사대문, 길의 배치
(3) 거주지역의 배치
(4) 비보풍수

III. 조선 5대 궁의 특징
1. 경복궁
2. 창덕궁
3. 창경궁
4. 덕수궁
5. 경희궁
6. 한국 궁궐 경관의 특징

IV. 화계
1. 화계의 의미와 그 사용
2. 화계의 현대적 활용 방안
V. 중국, 일본 정원과의 비교
1. 한국․중국․일본 정원의 공통점
2. 한국․중국․일본 정원에의 결정적 요소
(1) 자연 환경적 특징
(2) 사상적 배경
3. 한국․중국․일본 정원의 차이점
(1) 정원의 조성 방식
(2) 정원의 공간 구성
(3) 정원의 시각구성: 차경의 이용방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I. 한국 정원의 특성
1. 환경적 배경

한반도는 동부아시아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반도의 형태로 국가의 삼면이 바다와 맞닿아있다. 내륙의 65%가 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중 높은 산은 주로 북쪽에 분포되어 있고, 남쪽과 서쪽에는 평야가 집중되어 있어 남저북고형의 지세를 이루고 있다. 산이 많은 만큼 강도 많으며, 물이 맑아 어디서나 식수를 구하기 쉽다. 난대에서 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고 있고, 사계절이 분명하며 자연경관이 수려해 예로부터 ‘신선이 사는 금수강산’이라 불렸다.


2. 사상적 배경

(1)자연숭배사상
자연숭배사상은 선사시대부터 나타난 사상으로 선사시대의 우리 조상들은 해, 달, 별, 바위, 나무 등에 신령이 깃들어 있다고 믿었다. 당시 사람들이 숭배하던 주 대상물은 태양이었는데, 이러한 태양숭배는 곧 하늘을 받드는 것으로 이어져 하늘과 가까운 높은 산꼭대기에 돌로 제단을 꾸미게 하였으며, 우리 고유의 제천의식이 생겨났다.
한민족의 자연숭배사상은 아름다운 자연환경에 둘러싸인 풍토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한 것으로 우리의 조상들은 자연숭배사상에 의거, 자연에 순응하면서 자연계의 섭리를 따라 하늘과 땅과 사람이 일체가 되어 질서 정연하게 공존하여 살아왔다. 이러한 자연숭배사상은 우리나라 정원이 중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순수한 자연풍경식 정원양식으로 발전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즉, 예로부터 한국인이 지니고 있던 자연숭배와 경천(敬天) 사상이 소박하고 꾸밈없는 정원관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한국 특유의 자연순응적 정원양식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참고문헌
윤장섭, 한국건축사, 동명사, 1998
조용현 외, 한국인의 사상과 예술, 서경, 2003.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2, 1998
윤장섭, 한국의 건축,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8.
임석재, 한국 전통건축과 동양사상, 북하우스, 2005.
김봉렬,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1999
허균,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 서울: 도서출판 다른세상, 1992.
홍광표 ․ 이상윤, 『한국의 전통조경』,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1.
자크 브누아 메샹, 『정원의 역사』, 서울: 도서출판 르네상스, 2005.
한국역사경관연구회, 『한국정원답사수첩』, 경기도: 도서출판 동녘, 2008.
최기수 외,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경기도: 도서출판 조경, 2007.
윤 돌, 『우리 궁궐 산책』, 서울: 도서출판 이비컴, 2008.
이상해, 『궁궐․유교 건축』, 서울: 솔출판사, 2004.
한영우,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경기도: 효형출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