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

 1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
 2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2
 3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3
 4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4
 5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5
 6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6
 7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7
 8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8
 9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9
 10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0
 11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1
 12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2
 13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3
 14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4
 15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5
 16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6
 17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7
 18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8
 19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19
 20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답사보고서]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경북 영주, 봉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답사 일정표/ 2. 답사지역 지도∙∙∙∙∙∙∙∙∙∙∙∙∙∙2
2. 영주시의 역사∙∙∙∙∙∙∙∙∙∙∙∙∙∙∙∙∙∙∙∙∙3
3. 봉화군 (유물∙유적)∙∙∙∙∙∙∙∙∙∙∙∙∙∙∙∙∙∙5
4. 부석사∙∙∙∙∙∙∙∙∙∙∙∙∙∙∙∙∙∙∙∙∙∙∙∙∙7
5. 의상∙∙∙∙∙∙∙∙∙∙∙∙∙∙∙∙∙∙∙∙∙∙∙∙∙10
6. 부석사 당간지주∙∙∙∙∙∙∙∙∙∙∙∙∙∙∙∙∙∙∙∙13
7.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15
8. 부석사 무량수전 ∙∙∙∙∙∙∙∙∙∙∙∙∙∙∙∙∙∙∙16
9. 부석사 삼층석탑∙∙∙∙∙∙∙∙∙∙∙∙∙∙∙∙∙∙∙∙17
10. 부석사 삼층석탑∙∙∙∙∙∙∙∙∙∙∙∙∙∙∙∙∙∙∙18
11. 부석사 소조 여래좌상∙∙∙∙∙∙∙∙∙∙∙∙∙∙∙∙∙19
12. 부석사 안양루∙∙∙∙∙∙∙∙∙∙∙∙∙∙∙∙∙∙∙∙20
13. 부석사 조사당벽화∙∙∙∙∙∙∙∙∙∙∙∙∙∙∙∙∙∙22
14. 부석사 화엄경각판∙∙∙∙∙∙∙∙∙∙∙∙∙∙∙∙∙∙23
15. 부석사 승도의 난∙∙∙∙∙∙∙∙∙∙∙∙∙∙∙∙∙∙∙25
16. 소수서원∙∙∙∙∙∙∙∙∙∙∙∙∙∙∙∙∙∙∙∙∙∙∙26
17. 소수서원 등록∙∙∙∙∙∙∙∙∙∙∙∙∙∙∙∙∙∙∙∙29
18. 숙수사지∙∙∙∙∙∙∙∙∙∙∙∙∙∙∙∙∙∙∙∙∙∙∙29
19. 안향∙∙∙∙∙∙∙∙∙∙∙∙∙∙∙∙∙∙∙∙∙∙∙∙∙30
20. 주세붕∙∙∙∙∙∙∙∙∙∙∙∙∙∙∙∙∙∙∙∙∙∙∙∙33
21. 봉화 가평리 계서당∙∙∙∙∙∙∙∙∙∙∙∙∙∙∙∙∙∙35
22. 봉화 북지리 마애 여래좌상∙∙∙∙∙∙∙∙∙∙∙∙∙∙37
본문내용
1. 답사 일정표 / 답사지 지도


주제 : 조선최초의 서원과 통일기 부석사 창건의 의미
일시 : 2004년 10월 10일(일)
장소 : 경북 영주, 봉와

07:00 사당역 출발

10:30 소수서원 도착

11:30 중식

12:30 부석사

14:30 봉화 계서당

15:20 북지리 마애불

16:00 서울행

20:00 사당역 도착


2. 영주시의 역사

〔고 대〕 이 군의 선사유적은 많이 조사되지 않아 사람이 언제부터 살았는지 알 수 없다. 청동기시대의 유물․유적이 휴천동․가흥동, 안정면 안심리와 풍기읍 등에서 발견되어 이 시기에 이미 사람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인의 활발한 활동에 의해 이 지역에서도 일찍부터 소국(小國 : 城邑國家)이 형성되었는데, 진한 12국의 하나인 기저국(己沙國)이 풍기읍에 비정되고 있다. 1세기 말에서 2세기 초에 신라 파사이사금에 의해 이 지역이 공략되었다고 하는데, 이는 신라지배집단의 이동과정에서 있었던 일로 짐작된다.
그 뒤 이 지역은 고구려의 영역에 들어가 내이군(奈已郡 : 지금의 영주시)․급벌산군(及伐山郡 : 지금의 풍기읍)이 되었다가 신라에 병합되어 내이군․급벌산군은 그대로 유지되고, 기목진(基木鎭 : 지금의 풍기읍)이 새로 설치되었다.
500년(소지마립간 22) 왕이 이 곳에 행차해 벽화(碧花)와의 전설을 남기기도 했고, 676년(문무왕 16)에는 의상(義湘)이 왕명을 받아 부석사(浮石寺)를 창건하였다. 757년(경덕왕 16) 지방제도 개편 때 내이군은 내령군(奈靈郡)으로, 급벌산군은 급산군(及山郡)으로 개명되어 삭주(朔州 : 지금의 춘천)에 포함되었다.

〔고 려〕 후삼국의 쟁패기에 이 곳은 후고구려의 세력권에 들어가 궁예(弓裔)가 부석사에 행차한 설화가 전해진다. 고려 통일 이후 안동부의 관할지역이 되었는데 내령군은 강주(剛州)로, 급산군은 흥주(興州)로, 기목진은 기주현(基州縣)으로 개명되었다.
강주에는 995년(성종 14)에 도단련사(都團練使)가 파견되었으나, 1018년(현종 9) 이 지역 모두가 다시 안동부의 속읍이 되었다. 1143년(인종 21) 강주가 순안현(順安縣)이 되어 현령이 파견되자 흥주도 이에 예속되었는데, 순안현은 1259년(고종 46) 김인준(金仁俊)의 공으로 인해 지영주사(知榮州事)로 승격되었다.
흥주와 기주는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었다. 흥주는 충렬왕 때 흥녕현(興寧縣), 충숙왕 때 지흥주사(知興州事), 충목왕 때 순흥부(順興府)로 승격되었다. 기주는 감무가 폐지되고 다시 안동부에 속했으나, 1390년(공양왕 2) 감무가 설치되면서 안동부의 속읍인 은풍현(殷豊縣)을 속
참고문헌
奉化北枝里의 磨崖佛像(鄭永鎬, 考古美術 29, 1962), 韓國彫刻史(文明大, 悅話堂,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