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

 1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
 2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2
 3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3
 4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4
 5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5
 6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6
 7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7
 8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8
 9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9
 10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0
 11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1
 12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2
 13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3
 14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4
 15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5
 16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6
 17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7
 18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8
 19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19
 20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사] 30년대 시의 전개과정과 특징 -김영랑, 백석, 정지용, 윤동주, 이육사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Ⅰ. 서론



Ⅱ. 개인과 민족의 발견 – 한국어의 훈련과 그 의미



Ⅲ. 30년대 주요시인들

1. 모더니즘 – 정지용

2. 순수서정시 – 김영랑

3. 이야기시 – 백석

4. 암흑기의 저항시 – 윤동주, 이육사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Ⅵ. 부록

본문내용
Ⅵ. 부록

*정지용
1)생애
정지용은 1905년 음력 5월 15일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면 하계리에서 아버지 정태국과 어머니 정미하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친 정태국은 한약에 대한 지식을 익혀 고향에서 한약상을 경영하여 처음에는 비교적 넉넉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이 때 그 부친이 소실을 두어 정지용의 이복여동생 계용과 화용을 얻는다. 어느 해 여름 갑자기 큰 홍수가 나서 집과 재산을 모두 잃어버리고 가세가 급격히 기울어졌다. 정지용은 9세 때인 1910년 4월 6일 옥천공립보통학교(현재 죽향초등학교)에 입학하였다. 4년 과정을 마치고 1914년 3월 25일 졸업한다. 학교를 다니던 도중 12세 때 충북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에 사는 송재숙과 결혼하였다. 정지용의 부친이 정지용 처가의 친척인 송지헌의 농장에서 소작을 하고 정지용이 휘문고보를 다녔을 때 부친이 마름의 위치에 올랐다는데, 이 때 일단 곤궁한 생활에서 벗어났다고 볼 수 있다. 정지용은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갖고 있었다. 자신의 아버지가 한창 꿈을 갖고 공부할 나이에 결혼을 시켰고, 경제적으로도 어려운 형편인데 소실을 거느리고 잘 알지 못하는 농사일로 집안일을 등한시했기 때문이라고 짐작한다. 그 증거로 「넷니야기 구절」, 「대단치 않은 이야기」, 「三人」을 들 수 있다.
정지용은 1914년 옥천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듬해 14세 때에 서울로 올라와 처가의 친척인 송지헌의 집에 기숙하면서 3년간 학문을 수학한다. 그리고 1918년 4월 2일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정지용은 입학 3개월후부터 교내 장학금을 받았으며 이 장학금은 졸업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의 학업 성적 역시 5년간 계속 우수한 점수를 보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고 12월에 정지용은 소설 「三人」을 발표하였다. 휘문에서 2년간 생활하면서 친구도 사귀고 견문도 넓히면서 자신의 가정에 대해 거리를 두고 서술할 수 있는 자리에 서게 된 것이다 휘문고등보통학교가 4년제에서 1922년 학제개편으로 5년제가 되면서 2월에 4학년으로 졸업한 정지용은 5학년으로 진급한다. 이 해에 정지용은 문우회의 학예부장직을 맡으면서 『휘문』창간호의 편집위원이 되었다. 이 해 3월 마포 하류 현석리에서 정지용은 풍랑몽을 썼다. 이는 『요람』지에서 보인 작품이나 1927년 7월 『조선지광』을 통해서 지면에 발표되었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