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1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
 2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2
 3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3
 4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4
 5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5
 6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6
 7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7
 8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8
 9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9
 10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0
 11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1
 12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2
 13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3
 14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4
 15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5
 16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생명윤리학] 유전자재조합생물체(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1. GMO의 개념
2. GMO의 역사
II. 본론
1. GMO의 의의
2. 관련법규
3. 우리나라의 법규
III. 논의
1. GMO의 주요 논점
2. 찬성
3. 반대
4. 의무론적 관점
5. 공리주의적 관점
IV. 결론
본문내용
2. GMO 식품의 의의
인류의 농사와 축산의 역사는 종자와 가축의 개량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다음해에 뿌릴 씨앗으로는 올해 재배한 작물의 종자 중 실한 것만을 골라서 저장해 사용하는 방식이라던가, 가축은 새끼를 많이 낳는 것을 씨암탉이나 종돈 등으로 사용하는 방식 등으로 실상 인류가 원하는 유전자만을 골라내 온 것이다. GMO는 이러한 것에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을 도입한 것이나 다름 없다.
지금까지의 종자개량과 GMO가 다른 점은, 종자개량은 이종간 교배를 통하여 우성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데 그쳤으나(적어도 식물과 식물 사이), GMO는 아예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조작함으로써 자연계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식물에 박테리아 유전자를 주입한다던가) 성질변화를 가능케 한다는 점이다.
과거의 종자 개량은 밥맛이 좋지만 병충해에 약한 벼, 병충해에는 강하지만 쌀 수확량은 떨어지는 벼, 수확량은 높지만 품질이 떨어지는 벼 등을 밥맛이 좋고, 병충해에 강하며, 수확량도 많은 벼가 나올 때까지 몇 년이고 교배를 반복하는 방식이었다. 드물게 한 두 해 만에 뛰어난 신품종이 나오기도 했지만 십 년이 넘도록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밥맛이 좋게 하는 유전자, 병충해에 강한 유전자, 수확량이 높아지는 유전자가 모두 한꺼번에 모여야 하며 결정적으로 세대가 반복되어도 유용한 형질을 잃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유전자재조합기술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품종개량 기술의 하나로서, 현대 유전공학의 힘을 이용하여 우연에 의존하던 품종 개량을 의도적으로 이끌어낸 것이다. 단시간 내에 의도적인 개량이 가능하고, 변화를 신속하게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에 종자 개량 기술의 흐름은 GMO 개발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
3. GMO 현황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유전자조작 식물은 2002년 말 16개국에서 유채, 옥수수, 감자 등 15작물 68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처음에는 미국, 캐나다 등의 선진국에서 개발, 재배되었으나 지금은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의 나라에서도 유전자 조작 작물을 키우고 있으며 2007년 이전 10년간 세계 재배면적은 50배 이상 늘어난 상황이고, 경작 면적 증가율도 해마다 10%를 웃돌고 있다. 2004년도 GM작물 재배면적은 8,100만ha로 2003년에 비해 15%증가하였으며 재배 원년이라 할 수 있는 1996년에 비하면 약 47배 정도 증가한 셈이다.
2008년 2월 GMO에 관해 연례 보고서를 출간하는 ‘농업생명공학 응용을 위한 국제서비스’에서 2007년 GMO 현황을 발표한 바에 의하면, 23개의 국가에서 GMO를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총 GMO 재배면적은 1억1430만 헥타르로 전 세계 경작지 15억 헥타르의 8%를 차지하고 있다. GMO의 수입 역시 2008년의 수요에 비해 충족되지 못한 공급에 의한 곡물가 급등으로 인해 수입을 금기시하던 국가 및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