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

 1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
 2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2
 3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3
 4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4
 5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5
 6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6
 7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7
 8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8
 9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9
 10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0
 11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1
 12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2
 13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3
 14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4
 15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5
 16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6
 17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7
 18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8
 19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의상학] 섬유, 패션 산업의 한국적 소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한국의 고유한 특성

1. 한복의 뿌리를 찾아서 - 고구려의 전통 복식

2. 미적 측면
-곡선의 미
- 전통 색

3. 정신적 측면
- 한복의 재단, 봉제 방법에서의 인체친화성, 자연친화성, 그리고 경제성
- 사신도와 음양오행설에서 보여지는 조화 정신
- 고구려 조상들의 상무정신에서 보여지는 자주성
- 유교적 정신

---------------------------------------------------------

Ⅲ. 세계에 알리기 위한 방안 (한국적인 소재를 통하여)
-보자기
-전통 소재 활용
-전통 매듭
-장인 정신의 브랜드 이미지화
-오방색
 
Ⅳ. 비판점
1. 오리엔탈리즘의 왜곡
2. 지나친 상업주의

Ⅴ. 맺음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요즈음 들어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의 문화가 그 어느 때 보다 전파력을 가지고 전 세계에서 공유되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K-POP 스타들의 의상이나, 한국 디자이너들의 컬렉션 등을 살펴보면 한국적인 복식보다는 서구 복식 문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은 것이 많다. 과연 이것들을 진정한 ‘한국의 것’이라고 이름지을 수 있을까? ‘우리 것’ 이라고 이름 붙여 세계에 내 놓을 만한, 한국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하고 전통적인 개성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우리는 섬유, 패션에 대해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학생들로서 섬유/패션 산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한국만의 고유한 특성을 알아보고, 그것의 홍보 방법에 대해 연구해 보기로 하였다. 또 보다 포괄적인 연구의 진행을 위한 초석으로, 한국 전통 복식의 뿌리를 찾아 사학적 측면, 미적 측면, 정신적 측면의 세 가지 방향에서 한국 고유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찾아 낸 특성들이 세계화되기 위해서는 어떤 강점들이 부각되고 어떤 단점들이 개선되어야 할지 고찰함과 동시에 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비판점도 함께 꼬집어보았다. 그리고 우리는 평소에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학문적인 접근 또한 시도해 보았다.


Ⅱ. 한국의 고유한 특성
1. 한복의 뿌리를 찾아서 - 고구려의 전통 복식
한국의 전통복식은 한복으로 대표되며, 이는 고구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후에 삼국시대, 조선시대까지 거치면서 우리나라 특유의 환경과 문화에 맞게 개량되고 변형되었다. 현재 한복의 모양은 고려 원 간섭기에서 조선으로 넘어오는 시기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한국은 역사적으로 전란과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로 인해 왕실과 관리들의 복식의 경우에는 중국의 제도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하지만 평상시에 입는 편복이나 서민 복식의 경우에는 삼국 시대 이래 전통 양식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삼국 시대로부터 내려오는 우리 전통 양식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의 전통적인 뿌리를 제대로 알 수 있는 방법이라 보았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정신세계를 지닌 고구려의 의복을 살펴보는 것은 뿌리 중의 뿌리를 찾는 일이라 생각하였다. 따라서 앞으로는 세계를 향해 드러낼 수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정신세계와, 현대 한국인들의 정서와 가장 맞아떨어질 수 있는 고구려의 복식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복식의 고유한 특성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홍나영, 신혜성, 최지희(2004.4.20) 『아시아 전통 복식』, p.11
신혜성, , 민속원, 2009.
제신님의 블로그, , 2011, http://blog.naver.com/kaliiar/150112225558.
병국(2004.6.25), 『다시 보는 고구려인: 그 삶과 정신』, 한국 학술 정보
남수님의 게시물, , http://cafe.naver.com/woodworker/37373.
디자이너J님의 게시물, , 2011, http://mrchsoo.blog.me/130114643370.
오방색. 네이버 지식백과, 20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0369.
물의 계곡님의 게시물, , 2011, http://www.codedream.net/blog/?no=78.
김혜림(2010.2.11), 『국민 일보』, 「인체 순환까지 배려한 '직선, 평면 재단'의 미학... 한복 속에 감춰진 과학 이야기」
http://blog.naver.com/v1s1onor?Redirect=Log&logNo=110007624015
김선현(2011.9.18), 『마음으로 동양화 읽기』, 이담북스
사강님의 게시물, , 2007, http://blog.naver.com/sotkfkd0213?Redirect=Log&logNo=20035128521.
무뢰한님의 게시글, , 2007, http://audia4man.blog.me/100042808164.
자유평론사, 『歷史的 으로 본 救國精神 , 高口麗 의 尙武精神 과 新羅 의 花郞精神 을 中心 으로』, 1980, pp.122-132.
오아시스님의 게시글, , 2011,
http://blog.naver.com/chicbabe/memo/145553057.
정진건(2009.4.20), 『매일 경제』, 「보자기 아티스트 이효재, 보자기로 세계의 감성을 싸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