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

 1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1
 2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2
 3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3
 4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4
 5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5
 6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6
 7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7
 8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8
 9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9
 10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10
 11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11
 12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12
 13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외교] 북한의 이중경제구조와 선군정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이중경제구조의 오늘과 내일

1. 시장화의 역사적 전개과정

2. 이중경제구조의 특징

3. 시장화 촉진 억제 요인

4. 이중경제구조의 미래


Ⅱ. 선군정치의 오늘과 내일

1. 북한을 보는 창, 선군정치

2. 선군정치의 역할

3. 김정은 후계체체와 선군정치

4. 선군정치의 미래 : 지속&변화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이중경제구조의 오늘과 내일

1. 시장화의 역사적 전개과정

북한의 시장은 무에서 유를 창조해 낸 것이 아니라, 기존 합법 존재 농민시장이 1990년대 경제위기 대규모 암시장이 창궐한 것 이다. 경제위기 속에서 고난의 행군기간이 지나면서 국가배급제 사실상 붕괴되었고 이것이 암시장 창궐의 가장 큰 이유가 되었다.
초기에는 단순히 개인의 차원에서의 시장 참여가 이뤄졌으나, 공급자와 소비자의 순환 속에서 생계유지가 가능해 지면서, 기업차원 또는 소속 구성원 차원 시장참여 확대되었다.
이러한 시장화에 대해 북한정부는 통제와 묵인의 반복의 입장을 보였는데 이는 국가 배급제의 마비로 인한 주민들의 식량 및 생필품의 심각한 부족 상태를 완화시킬 수 있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인식했기 때문이고 결과적으로는 암시장의 확산을 대체로 묵인하였다.

1998년 김정일 정부가 출범 하면서 경제적 위기로 인한 내부 혼란, 특히 암시장 창궐에 따른 경제 사회적 질서의 동요를 수습하고 체제 및 제도 정비에 나서기 시작했다.
대내적으로는 실리주의 사회주의를 대외적으로는 외부세계와의 적극개선을 앞세웠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7.1 경제관리개선조치가 등장한 것이다. 7.1조치는 여러 내용와 의미를 담고 있는데 여기에는 기존에 진행되던 아래로 부터의 시장화를 공식제도 내에 일부 수용한 시장경제 메커니즘의 부분적 도입도 포함 되어있다.
먼저, 기업의 실적으로 평가하는 지표로서 번 수입 지표를 도입, 이를 통해 기업에 대해 계획외 생산과 유통을 허용, 사실상 기업에게 시장 경제 활동을 용인했고 아울러 사회주의 물자교류시장을 도입, 최초로 생산재시장을 공식 허용하여, 기업들이 시장을 통해 원자재 조달 가능하게 시장화가 전개 되었다. 2003년 3월에는 종합시장을 신규도입하여, 기존의 농민시장을 시장으로 명칭을 바꾸고, 종전의 암시장을 합법화 해주는 형태로 소비재 시장을 공식허용해 나갔다. 또한, 국영상점 일부 시장전환 하고 자금력 있는 개인을 소규모 업체를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허용 하면서 시장화를 전개해 나갔다.
이렇게 시장이 합법화 되면서 시장 참여자들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시장에 상품공급자와 공급량이 증대 되면서 시장의 규모 또한 증대 되었다. 상인계층이 형성되고, 한걸음 더 나아가 도매상과 소매상등 상인층의 분화 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시장의 합법화로 신용과 금융의 필요성이 증대 되먼서 금융시장이 탄생 되었고 이는 생산재 시장 소비재 시장과 의 연계성이 확보되면서 상호 연계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서로를 확대해 나가게 되었다.
참고문헌
- 총련 기관지 조선신보 보도
- 북한의 딜레마와 미래 - 박재규 지음
- Naver NEWS
- 북한연구자료 통일연구원 발행 북한의 이해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