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

 1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
 2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2
 3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3
 4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4
 5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5
 6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6
 7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7
 8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8
 9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9
 10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0
 11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1
 12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2
 13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3
 14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4
 15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5
 16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6
 17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7
 18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8
 19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19
 20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시가의 작품 해석과 현대적 변용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3. 시조


Ⅱ. 본론

1. 에로스적인 시조

1) 기녀와 사대부의 사랑
2) 사설시조에서의 통속성
3) 작자미상의 불승 등장 시조


2 . 플라토닉적인 시조

1) 남녀 간의 사랑
2) 가족에 대한 사랑의 노래
3) 우정에 대한 노래


Ⅳ. 결론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연구 목적

고전시가에서 시조장르의 위치는 확고하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꽃을 피운 시조는 우리가 알고 있는 고전시가의 가장 대표적인 장르이다. 3장 6구 45자 내외. 이것이 우리가 기억하는 시조 장르의 대부분이다. 그만큼 시조는 한국인들에게 친숙하지만 또 따로 떼어내서 보자면 연구할 부분이 많은 장르이다. 또한, ‘사랑’이라는 키워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소위 먹혀드는 소재이자 주제이다. 그러므로 시조에도 사랑에 대한 노래를 많이 했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사랑이 주는 기쁨을 시조에서 어떻게 표현해내고 있으며 이와 비슷한 흐름으로 현대의 노래에서는 사랑의 기쁨을 어떻게 보여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로써 과거와 현재를 꿰뚫는 ‘사랑의 기쁨’ 키워드의 양상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2. 연구 방법

시조는 워낙 연구가 많이 된 학문이기 때문에 각종 논문·도서를 통해서 ‘사랑’을 표현한 시조의 자료를 얻고자 한다. 현대적 변용으로 쓰일 가요들은 인터넷 가요 홈페이지를 통해서 음원을 얻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시조의 정의와 기능 및 특징을 알아본 후 기쁨을 주는 사랑을 각 에로스(Eros)적 사랑과 플라토닉(Platonic)적 사랑으로 나누어 분석해보겠다. 그리고 각 사랑의 노래가 현대적으로 변용된 모습과 비교해 본 후 결론을 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도서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북스힐, 2002.
고정희, 『한국 고전시가의 서정시적 탐구』, 월인, 2009.
김대행, 『시조 유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6.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전통과 계승』,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나정순, 『한국 고전시가 문학의 분석과 탐색』, 역락, 2002.
성낙은, 『고시조 산책』, 국학자료원, 1996.
심재완, 『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전재강, 『시조문학의 이념과 풍류』, 2008.
한춘섭, 『한국시조큰사전』, 을지출판공사, 1985.

논문

김상진, 「시조에 나타난 사랑의 정의와 그 형상」, 『詩調學論叢』제 31호, 한국시조학회, 2009.
김성희, 「기녀시조에 나타난 페미니즘 고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김연주, 「기녀시조 연구 : 이별의 양상과 주체적 자아인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김태은, 「사설시조에 나타난 애정관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김학성, 「시조의 정체성과 현대적 계승」, 『詩調學論叢』제 17호, 한국시조학회, 2001.
나정순,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변용을 통해 본 시조」, 『詩調學論叢』제 24호, 한국시조학회, 2006.
박순, 「기녀시조의 문학적 특성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7.
안지영, 「기녀시조의 시조사적 의미」, 『詩調學論叢』제 17호, 한국시조학회, 2001.
이수곤, 「사설시조의 통속문학적 성격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5.
윤민주, 「기녀시조 시어의 특성 연구」, 서당개학교 교육대학원, 2007.
윤영숙, 「고시조에 나타난 남녀 애정 표현 양상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6.
윤용원, 「랩과 사설시조의 비교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정미주, 「사대부시조와 기녀시조의 대비를 통한 시조 교수, 학습 활동의 실제」, 부산외국어대학교, 2008.
최철호, 「기녀시조에 나타난 한(恨)의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하경숙, 「妓女詩調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양상」, 선문대학교 대학원,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