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

 1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
 2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2
 3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3
 4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4
 5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5
 6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6
 7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7
 8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8
 9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9
 10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0
 11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1
 12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2
 13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3
 14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4
 15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5
 16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6
 17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7
 18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8
 19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19
 20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사회계열
  • 2012.05.17
  • 30페이지 / hwp
  • 4,000원
  • 12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저출산에 대한 논의와 관점

Ⅲ. 저출산의 원인 및 실태분석
1. 저출산의 원인
2. 저출산의 실태 및 대책

Ⅳ. 외국의 저출산 현황 및 대응정책분석
1. 스웨덴
2. 프랑스
3. 일본
4. 시사점

Ⅴ. 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계청이 2011년 5월에 발표한󰡐2011년 잠정 합계출산율 1.06명󰡑은 유엔이 추산하는 전 세계 200여개 국가 출산율 중 최하위 수준이다. 출산율 1.06명은 한 사회가 현재의 인구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인구대체율 2.1명에 크게 미치지 못하며, OECD 국가들의 평균 출산율인 1.6명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더욱이 한국은 2010년에 1.09명을 기록함으로써 이미 심각한 저출산 문제에 직면하여 다양한 출산 지원정책이 도입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계속 하락하고 있어 그 심각함이 더해가고 있다.
오늘날의 저출산 문제는 고용 불안정, 주택마련의 어려움, 치솟는 교육비 등으로 생계부양을 요구받는 남성들의 혼인과 출산 지연에도 상당한 책임이 있으며, 향후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보육정책의 미흡은 현실적으로 남성들의 참여를 어렵게 하고 있으며, 여성이나 남성이 모두 자녀양육자이자 임금노동자이기를 어렵게 한다.
그러나 저출산이 유독󰡐여성󰡑의 문제로 부각되는 것에 대하여 본 연구는 가족과 사회의 가부장적 질서가 여성에게 더 불리하게 작용한다고 보고, 결혼의 지연이나 출산의 기피현상을 젠더적 관점에서 지적하고자 하였다. 맞벌이가 불가피하고 출산과 양육의 책임이 일차적으로 여성에게 전가된 상황에서 직장, 육아, 가사의 이중 삼중의 부담을 지게 되는 여성들은 결혼 및 출산을 거부하거나 미루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그 중에서도 최근에 결혼하였거나 또는 미혼상태의 여성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궁극적으로 저출산 문제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다.
참고문헌
강경숙 ․ 변미희 ․ 정은미. 2005.󰡒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저출산 요인분석.󰡓『한국가족복지학』제10권 3호, 한국가족복지학회.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6a.「2005 경기가족여성통계」. 2006b.「지방자치도저출산 해소를 위한 정책토론회」자료집.
지방자치도․ 지방자치도교육청. 2006.「지방자치도2006년도 저출산 ․ 고령사회시행계획」.
지방자치도복지건강국. 2006, 2007년「저출산 대책 토론회 자료」.
경남발전연구원. 2004.「경남의 출산 장려 방안」.
경상북도여성정책개발원. 2005.「저출산시대의 정책패러다임의 전환과제」.
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2005.「저출산의 젠더분석과 정책대안 연구」.
고양여성민우회. 2006, 저출산의 원인 파악 및 출산정책에 관한 욕구 조사를 통해 본「저출산 여성주의 해법 찾기」 토론회.
공선영. 2006.󰡒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보건과 사회과학』제19집, 119~149.
관계부처합동. 2006a.「제1차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0.
광명시. 2006. 제11회 여성주간 기념 컨퍼런스 자료집「소리없는 전쟁, 저출산」.
국회예산결산특별위원회, 2004.「󰡐저출산-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정책적 대응방안」.
김수연, 2003. 「저출산 시대에 대비한 인구복지정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승권 외. 2003.󰡒저출산의 원인과 안정화 대책.󰡓『보건복지포럼』제86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남윤인순. 2004.󰡒정부의 저출산 대책 평가 및 제언.󰡓「성평등 가족정책 마련을 위한 연속토론회2-가족정책의 새로운 틀짜기를 제안한다」. 한국여성단체연합.
노동부. 2004.「근로시간 유연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여성정책위원회. 2005.「성인지적 관점에서의 대전시 인구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류연규. 2005.「복지국가의 탈가족화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배은경. 2006.󰡒저출산 대응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출산지원정책과 여성의 재생산권」. 한국여성학회.
박숙자. 2003.󰡒저출산 현상의 원인과 대책 방향.󰡓『동덕여성연구』제8호.
박옥주 외. 2003.󰡒평등한 일, 출산, 양육.󰡓2003 국제포럼「삶의 패러다임을 바꾸자」. 한국여성민우회.
박정선. 1998.󰡒영국, 미국, 독일의 아동보육정책의 형성과 발달 현황.󰡓『연세사회복지연구』Vol.5.
박혜경 외. 2004.「인천시민의 가족실태 및 가족가치관 조사」. 인천발전연구원.
보건복지부. 2006.「2006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시책 사례집」.
보건복지부․서울대 국제대학원. 2005.「외국 저출산 대응정책 효과성 분석 및 우리나라 도입방안 연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저출산의 영향과 대응방안에 관한 토론회」.
부산발전연구원. 2005.「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대응한 부산시 정책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5, 저출산시대의 가족정책지원 토론회「저출산 ․ 고령화: 전망과 대응」.
서울특별시․(재)서울여성. 2006. 제16회 서울여성 포럼「한국적 출산율 제고방안」.
서울특별시지방공무원교육원. 2005.「2005년도 제14회 문제해결사례 우수논문집-적정인력자원 유지를 위한 저출산 대책마련」.
서지원. 2006.󰡒가족복지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저출산 정책의 방향.󰡓􀀠한국가족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문.
손승영. 2006.󰡒한국사회 저출산에 대한 여성주의적 논의.󰡓한국가족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문.
충청남도여성정책개발원. 2005.「저출산 해소 방안에 관한 연구」.
통계청(각년도).「경제활동인구연보」.
(각년도).「국제통계연감」.
(각년도).「인구동태통계연보」.
한국노동연구원. 2005.「일 ․ 가족 양립체계의 선진국 동향과 정책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05.「저출산 관련 정책평가 및 입법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인구전환기의 한국사회 가치관 및 가족변화와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보건복지부. 2004,「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인구정책 모니터링과 정책개발」.
한국여성개발원. 2006.「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2006~2010)과 여성」. 제33차 여성정책포럼.
한국여성단체연합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5.「저출산과 가족정책, 새로운 출구를 찾자!」.
한국여성학회.󰡐여성의 몸󰡑집중포럼Ⅲ「출산지원정책과 여성의 재생산권」. 한국여성학회.
황정미. 2005.󰡒󰡐저출산󰡑과 한국 모성의 젠더정치.󰡓「세계화 시대, 한국여성주의의 발전과 과제」. 광복60년 기념 제7차 종합학술대회 한국여성학회 보고서, 한국여성학회 ․ 광복6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Amato, P. R., 1988. Parental divorce and attitudes toward marriage and family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0: 453~461.
Arnold, F., R. A. Bulatao, C. Buripakdi, B. J. Chung, J. T. Fawcett, T. Iritani, S.
J. Lee, & T. S. Wu. 1975. The Value of Children: A Cross-National Study,
Introduction & Comparative Analysis, Vol.1.
Buissink, J. D., 1971.󰡒Regional Differences in the Netherlands in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Population Studies, Vol.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