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

 1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
 2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2
 3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3
 4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4
 5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5
 6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6
 7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7
 8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8
 9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9
 10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0
 11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1
 12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2
 13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3
 14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4
 15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5
 16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6
 17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7
 18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8
 19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19
 20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바리데기`와 `당금애기`의 무가적 특징과 비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여신의 고난 극복 이야기

3. 무가 세계관과 불교

4. 주술과 오락성

5. 와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와 는 그 채록 수가 가장 많은 무가들이다. 때문에 이 두 무가를 통해, 무가 전반의 특성 역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두 작품 모두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이본이 많으나, 공통된 서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는 금년에 결혼하면 7공주를 낳을 것이라는 무당의 말을 무시하고 당년에 결혼한 왕이, 딸 일곱을 낳자 화가 나 일곱 번째 딸을 버리고, 그 벌로 병을 얻는다. 이 병을 고치기 위해 버려진 딸 바리데기가 약수를 구하여 가, 갖은 고생을 하고 돌아와 죽은 부모를 살리고 그 공으로 오구신의 신격을 얻는다. 는 부모님의 간절한 소원 속에 태어나 애지중지 자란 당금 애기가, 부모님이 없는 사이 찾아온 중(시중)의 아기를 임신하게 되어 집에서 쫓겨나게 된다. 버려진 당금애기는 세 쌍둥이를 낳았고, 세 쌍둥이는 아버지를 찾아가 저승을 지키는 삼불승이 되고, 당금애기는 아이를 10달 동안 뱃속에서 키워주고 낳도록 도와주며, 백일이 지날 때까지 마마홍역이 들지 않게 보살펴주는 삼신할머니가 된다. 는 ‘당고마기’, ‘단금애기’ 등으로도 불려지고, 는 ‘비리데기’, ‘베리데기’ 등으로도 불리지만 여기서는 가장 일반적인 ‘당금애기’와 ‘바리데기’로 칭하기로 한다.
현재까지 채록된 는 60여 편이라는 숫자로 한국 서사무가 중에서는 가장 많은 숫자라 할 수 있다. 와 더불어 전국적인 전승을 보이고 있는 는 50편 정도가 채록되었는데, 여타 서사무가가 10~20편정도 채록된 것과 비교하면 그 전승이 활발함을 알 수 있다. 가 서울에서는 채록되지 않는 반면에 는 서울에서 전승되고 있으며 필사본도 많은 편이다. 반면 는 제주도에서는 채록되지 않았고 는 제주도에까지 전승되고 있으며 필사본이 그렇게 많지 않다. 특히 서울지역까지 가 채록되지 않았다는 것은 서울지역의 무속이 상당 수 조사`보고된 것을 감안하면 특이한 점이다.
참고문헌
강진원, 『(알기 쉬운)역의 원리』, 정신세계사, 2003.
김준기·김진영·홍태한, 『한국무가총서 당금애기 전집1』, 민속원, 1999.
김진영·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1』, 민속원, 1997.
이경엽, 『무가문학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1998.

김영숙,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 제31집』, 국어문학회, 1996
김영진, 「무무의 불교적 영향에 대한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한국스포츠리서치』16-4, 2005.
김태곤, 「무속과 불교의 습합」, 민속학회, 『무속신앙』, 1986.
박현국, 「바리데기(시왕풀이) 무가 고찰」, 『민족문학총론-굿거리5』, 우리마당 터, 1998 (2004).
서경희, 「무속신화 속의 여성 - 「 제석본풀이 」 를 중심으로」, 『온지논총』, 온지학회, 2000.
오세정, 「무속신화의 희생양과 희생제의 -「 바리데기신화 」와 「 제석본풀이 」 를 중심으로 -」,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회, 2001
염원희, 「무속신화의 여신 수난과 신 직능의 상관성 연구」,『한국무속학, 제20집』, 2010
오세정, 「한국 신화의 타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한국문학이론과 비평』51, 2011.
이민희, 「서사무가 에 나타난 욕망의 의미와 바리데기 신화의 현재성 -김복순 본 를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국문학회, 2007
임지숙, 「무가의 전환구조와 그 세계관」, 『민족문학총론-굿거리5』, 우리마당 터, 1987 (2004).
천혜숙, 「神話로 본 女系神聖의 樣相과 變貌」, 『비교민속학, 제17집』, 비교민속학회, 19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