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

 1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1
 2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2
 3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3
 4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4
 5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5
 6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6
 7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7
 8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8
 9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9
 10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10
 11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11
 12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12
 13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고려 후기 수선 결사와 백련 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結社의 시대적 배경(무신정권-원 간섭기)
2. 지눌
3. 白蓮結社
4. 結社의 思想史的 意義

본문내용
1. 結社의 시대적 배경(무신정권-원 간섭기)
敎宗에 속하는 華嚴宗과 法相宗, 그리고 禪宗에 속하는 天台宗과 曹溪宗 등 대표적인 종파 모두가 각기 큰 변화를 겪으면서 불교계의 전면적인 개편으로 전개되었다. 華嚴宗과 法相宗은 武人權力과 抗爭하는 과정에서 점차 그 교단의 세력이 약화되었다. 華嚴宗은 義天 직계의 법손인 興王寺의 寥一, 靈通寺의 覺訓 등에서 均如의 계통인 開泰寺의 守其·天其 등으로 法系가 교체되면서 華嚴學의 내용이나 성격이 바뀌어 義天에게 비판받았던 均如의 華嚴學이 재평가되고 있었다. 天台宗에서도 義天 직계의 德素 등에서 白蓮社의 了世로 法系가 바뀌면서 禪과 구분되어 法華의 實踐信仰이 강조되고 있었다. 禪宗 교단은 義天의 天台宗 創立으로 인하여 크게 타격을 받고 한 때 위축되었으나 睿宗代 이후 중앙불교계에 다시 대두하면서 天台宗과 구분되어 曹溪宗으로 칭하여지고 있었다. 曹溪宗은 迦智山派가 慧照國師-坦然-淵湛으로 이어지면서 禪宗系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迦智山派는 큰 타격을 받았고 대신 修禪社의 知訥 계통이 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