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

 1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
 2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2
 3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3
 4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4
 5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5
 6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6
 7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7
 8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8
 9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9
 10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0
 11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1
 12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2
 13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3
 14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4
 15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5
 16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6
 17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7
 18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8
 19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19
 20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중 FTA의 경제 영향(영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Introduction
II. Steel Industry
III. Automobile Industry
IV. Textile IndustryV. Chemical Product Industry
VI. Agricultural Industry
VI. Conclusion
VII. References
본문내용
I. Introduction

As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interconnected, free trade is rapidly becoming the standard norm on international economics. Korea and China are no exceptions to this trend and are in the early stage of negotiating a free trade agreement (FTA). So why is Korea pursuing to establish free trade with China? From 2004, China has replaced the United States as Korea’s number one trade partner. For China’s part, Korea is the fourth-largest trading partner which has importance on the Chinese economy as well. In 2004, the trade volume culminated to $79.3 billion, and according to the Board of Trade of China, Korean firms have an investment of $6.2 billion in China in this year. Likewise, as both countries’ reliance on each other is saliently increasing, a Korea-China FTA has significant importance and heavy economic effect.
In this paper, we aim to assess the economic impacts of a Korea-China FTA on Korea. To this end, we analyze five primary sectors that are deem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both countries: steel, automobiles, chemical products, textiles, and agriculture. We conduct a literature review of these respective sectors (primarily statistics supplied by KIEP and SERI), lay out both the impact of exports and imports, and also point out relevant issues to these sectors.
참고문헌
1. 이홍식外(2005) Effects of a Korea-China FTA and Policy Implications (I), KIEP

2. 김성철(2010), 한중FTA 추진 현황과 시사점, 한국수출입은행

3. 박번순外 (2011), 한중FTA의의와 주요 쟁점, 삼성경제연구소

4. 임정빈(2011), 한중 FTA 농업부문 대응전략(프레젠테이션),무역협회

5. 양평섭外(2007), 한중 교역 특성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6. 이근영(2009), 한국의 FTA 추진 정책과 한중 FTA에 대한 시사점, 한국컴퓨터정보학회

7. 국제무역연구원 www.kita.net(무역통계⋅중국경제DB)

8. 외교통상부 www.mofat.go.kr

9. 대한상공회의소 www.korcham.net

1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www.kiep.go.kr

11. World Trade Organization www.wto.org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