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

 1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1
 2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2
 3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3
 4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4
 5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5
 6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6
 7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7
 8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8
 9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9
 10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10
 11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11
 12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12
 13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시간표현 문법 연구-시제, 상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제에 대한 정의

2. 기준시점
1) 발화시 2) 인식시(기준시) 3) 사건시

3. 절대시제와 상대시제

4. 시제를 바라보는 관점들.
4.1) 과거, 현재, 미래 (삼분법) 4.2) 과거와 비과거 (이분법) 4.3) 과거와 현재 (이분법)

5. 시간부사

6. 시제를 표현하는 선어말어미
6.1) ‘-겠-’
6.2) '-겠-'과 '-을 것이'
6.3) ‘-었-’
6.4) ‘-었었-’
6.5) ‘-더-’ (회상선어말어미)
6.5.1) ‘-더-’의 제약 ①
6.5.2) ‘-더-’의 제약 ②

7. 상(相, aspect) - 진행상, 완료상, 예정상, 양태(樣態, modality)

8. 결론: 시제에 관해서 계속되는 논란거리들.
8.1) 시제 3분법에 대한 비판
8.2) 국어의 시제 개념이 필요 없다는 견해 : 남기심(1972)
8.3) 시제와 상을 같이 보는 견해에 대한 비판 : 김차균(1980)
본문내용
1. 시제에 대한 정의

◉최현배(1937): ‘때매김이란 것은 움직씨를 쓸 적에 때를 매겨서 쓰는 법을 이름이니라.’
◉김민수(1961): 일반적으로 동작, 상태에 있어서 시간관계를 나타내는 형태상 문법범주의 하나이다.
◉남기심(1975): 어형상 시간적 대립관계를 나타내는 문법범주
◉고영근.남기심(1985):시제란 발화시를 중심으로 앞뒤의 시간을 제한하는 문법범주
◉학교문법(1996:89): 말하는 이가 발화시를 기준으로 사건시의 앞뒤를 제한하는 문법기능을 시제라 함.
인간은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시간 속에서 존재하며, 시간 또한 인간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존재한다. 인간은 시간을 흐름으로 인식한다. 시간 안에서 인식된 사태는 언중의 필요에 따라 말이나 글로 표현되는데 그러한 표현 중에서 사태의 시간 위치에 관한 인식이 그 말의 문법 요소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 시제이다. 시제를 다루고 있는 연구에서 그 정의를 정밀하게 하기 위해 표현만 바꾸었을 뿐, 시제가 사태의 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라는 것에는 모두 동의하고 있다.

참고문헌
고영근ㆍ 구본관(2008),『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김용경(1994), 『국어의 때매김법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김차균(1993), 『우리말 시제와 상의 연구』, 태학사
김현식(1990),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나찬연(2007), 『국어문법의 이해』, 제이앤씨
남기심(1985), 『국어문법의 시제문제에 관한 연구』, 탑 출판사
남기심(2001), 『현대국어통사론』, 태학사
이남순(1998), 『시제․상․서법』, 월인
이재성(2001), 『한국어의 시제와 상』, 국학자료원
우인혜 (1991) ‘우리말 시제/상 표현과 시간 부사’, 한국언어문화학회
신언호 (2006), '한국어 현재 시제의 다의적 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홍종선 (1991), ‘국어의 시간어 연구-시간부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