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신앙과 민간속신

 1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
 2  풍수신앙과 민간속신-2
 3  풍수신앙과 민간속신-3
 4  풍수신앙과 민간속신-4
 5  풍수신앙과 민간속신-5
 6  풍수신앙과 민간속신-6
 7  풍수신앙과 민간속신-7
 8  풍수신앙과 민간속신-8
 9  풍수신앙과 민간속신-9
 10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0
 11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1
 12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2
 13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3
 14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4
 15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5
 16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6
 17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7
 18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8
 19  풍수신앙과 민간속신-19
 20  풍수신앙과 민간속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풍수신앙과 민간속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풍수신앙
1. 풍수 사상의 개요
2. 풍수 사상의 역사
3. 민속신앙 속에 수용된 풍수사상
4. 비보 및 진압풍수의 예
Ⅱ. 민간속신
1. 속신의 정의
2. 금기와 민속
3. 점과 민속
4. 성기신앙
5.도깨비의 허상과 실상

본문내용
Ⅰ. 풍수신앙
1. 풍수 사상의 개요
1) 풍수 사상은 무엇인가
풍수 사상은 우리 민족의 기층적 사상 체계를 이루어 온 수많은 사상들 중의 하나로 신라 이후 우리 민족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관념이다. 땅속에 흘러 다니는 생기(生氣)에 감응 받음으로서 흉(凶)한 일을 피하고 복(福)을 받을 수 있는 진혈(眞穴)을 찾는 것이다.
모든 천지의 생기가 땅을 통해서 인간의 행복과 불행과 관련하여 활동을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땅에는 천지 만물을 생성하는 원리로서의 기(氣)가 있어서 지맥을 통해 인간의 길흉화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지중(地中)에 있는 생기(生氣)가 바람을 타면 흩어지고 물에 닿으면 멈추게 되기 때문에 바람을 막고 물을 얻는다는 뜻의 장풍득수(藏風得水)라는 말에서 풍수의 어원을 찾을 수 있다. 풍수에서 물과 바람을 중시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물이 인간에게 가장 귀중한 물질이고 생존 그 자체인 것처럼 자연계에 있어서도 물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 바람은 생물의 생활 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산을 등지고 물을 앞에 끼는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주거지 선정의 기본 요건으로 삼았는데, 이는 사람에게 좋은 것은 물론이고 들판의 곡식도 잘 자라기 때문이다.
풍수는 도읍이나 군현(郡縣), 혹은 마을 등 취락풍수에 있어서는 양기풍수라는 용어를 쓰고, 개인의 주택에 있어서는 양택풍수라는 말을 쓰며, 산소의 자리잡기 등 묘지풍수에 있어서는 음택풍수라는 개념을 씀으로써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그러나 양기·양택과 음택의 풍수 술법은 본질에 있어서는 같다.
참고문헌
논문
신선애,「韓國 民間信仰에 나타난 性的 造形物의 宗敎的 象徵性과 造形性에 관한 硏究」, 조선대학교, 2001.
이경순,「한국의 풍수지리가 민속 문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생기복덕을 위한 풍수지리와 장묘문화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2011.
임재해,「민속신앙에서 발견되는 한국인의 자연관과 현대적 변용」,『민속학연구』제 6집, 국립민속박물관, 1999.

단행본
김동욱 외,『한국민속학』, 새문사, 1998.
김두규,『우리 풍수 이야기』, 북하우스, 2003.
대한민국풍수지리연합회,『풍수지리학(입문. 1)』, 대왕사, 2011.
이능화,『조선무속고』, 창비, 2008
차태규,『한국풍수학개론』, 연문출판사, 2000.
최영주,『신한국 풍수』, 동학사, 1992.
최윤식 외,『한국 민속학 개론』, 민속원, 1998.
최창조,『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