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

 1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
 2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2
 3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3
 4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4
 5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5
 6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6
 7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7
 8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8
 9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9
 10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0
 11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1
 12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2
 13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3
 14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4
 15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5
 16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6
 17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7
 18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학의 정체성과 종교적 역할에 대하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서론
1. 유학의 정의
2. 종교의 정의
3. 학문의 정의
Ⅲ. 본론
1. 유학의 시대적인 흐름
2. 유학은 종교이다?
3. 유학은 학문이다?
Ⅳ. 결론 : 유학은 종교적 역할을 수행한 학문이다.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한 국가나 민족 공동체의 이념은 그 구성원들의 삶의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알게 모르게 우리의 사유 방식과 행동 방식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그 이념 혹은 사상을 아는 것은 우리 스스로의 정체성을 지각하는 데에 한 발자국 더 다가가도록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이란 국가의 국민으로서, 한민족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살아가는 우리들의 과거와 현재를 지배해온 대표적인 사상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긴 망설임 없이 ‘유교문화’ 혹은 ‘유학’이라고 대답 할 것이다.
유학과 유학자에 대한 다양한 이해의 관점이 있다. 우리에게 유학은 전근대성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쓰이기도 하고, 우리의 전통사상과 고유문화 및 동양의 정신을 대표하는 개념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만큼 포괄적인 개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오해와 편견을 가지기도 쉽다. 유학에 대한 명칭은 시대별 특징을 구별해서 원시유학, 한당유학, 송명리학 등으로 부르기도 하고, 중요 주제나 문제를 중심으로 훈고학, 고증학, 성리학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이 글에서 철학, 문화, 역사, 경학의 관점에서 유학을 고찰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매우 방대한 작업이다. 유학은 오랫동안 우리사회의 윤리, 도덕적인 가치의 기준으로써 문화의 중심축이며, 구성원들의 사유체계형성의 근원이었다. 그러나 유학은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사회적인 변화에 능동적 대처를 못하였다. 그 결과 유학은 자기 정체성 상실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전통문화로서의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유학의 당면과제는 대중과의 보편적 소통을 위해 능동적인 사회적 역할의 수행하고, 유학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우리는 유학의 정체성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유학이란 무엇이고 이 것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떤 과정을 겪고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보며 그러한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유학은 종교인가 학문인가의 논쟁에 대해 깊이 탐구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사 교과서
김재홍, 「주역(周易)의 종교성(宗敎性)에 관한 소고(小考)」, 동양철학연구회, 2011
손흥철, 「현대인을 위한 유학의 재발견」,『우리는 유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율곡학회, 2007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춘관통고(春官通考)』
김상준, 「예의 기원과 유교적 안티노미」,『유교의 예치이념과 조선』,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2007
이욱, 『조선시대 국가재난과 의례』, 창비, 2009
한형주,『조선초기국가제례연구』,일조각,2002
정병석,「공교운동(孔敎運動)에 보이는 교화적(敎化的) 종교관(宗敎觀): 강유위(康有爲)와 이승희(李承熙)의 신성(神性)에 대한 덕성(德性)의 우위문제(優位問題)를 중심으로」,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손흥철, 「현대인을 위한 유학의 재발견」,『우리는 유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율곡학회,2007
「유학은 학문이다」 국제퇴계학회
전병술, 「유교의 종교성 연구」 『양명학의 신비적 체험을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회, 2006
이상옥, 「유교종교론 논쟁 및 의미」,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2010
임계유, 「유교는 종교인가1.2」 ,지식과 교양
김영기, 「학문이란 무엇인가」, 경북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9
김승혜, 「한국 유교의 종교학적 이해와 서술을 위한 제안 」, 한국국학진흥원, 2003
「유교와 사회과학의 만남2」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 ,2001
강중기, 「현대 중국의 유교 논쟁」 한국동양철학회,2011
최영진, 「유교란 무엇인가」
한형조,「 한국철학, 그 학문적 성립은 가능한가?」 『 주희의 中和의 형이상학을 통해 본 조선조유학의 패러다임 연구(1)』, 청계사학회, 1993
이형균, 「유교 사회의 사회합리화와 유교윤리의 역할」『 베버의 사회합리화 분석도구로 동아시아의 사회발전 재조명』,한국사회학회, 2000
이철승, 「최근 한국 학계의 유교 연구 동향과 유교 윤리의 현실적 의미」,한국유교학회, 2007
이철승, 「현대 사회의 문제와 유가사상의 현실적 의의 」,『개인과 사회의 관계 윤리를 중심으로』, 한국유교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