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

 1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
 2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2
 3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3
 4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4
 5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5
 6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6
 7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7
 8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8
 9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9
 10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0
 11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1
 12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2
 13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3
 14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4
 15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5
 16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6
 17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7
 18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8
 19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치사] 동아시아 세력균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전쟁과 동아시아 세력균형 변화
1) 정전협정과 삼각체제 형성
2) 남방 삼각체제와 북방 삼각체제

2. 베트남 전쟁과 동아시아 세력균형 변화
1) 동아시아냉전과 베트남 전쟁
2) 제네바협정

3. 제네바협정 이후 세력균형 변화
1) 중소관계
2) 미중관계
3) 한미일관계-한미갈등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세계 2차 세계대전 후 유럽에서는 미소 두 강대국을 중심으로 하는 냉전체제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의 공산화라는 변수가 작용하면서 냉전체제가 유럽의 냉전질서 보다 훨씬 복잡한 형태로 진행되었다. 특히 동아시아의 냉전 질서는 두 차례의 전쟁, 국공내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확고해졌다. 한국전쟁 이후 동아시아에는 북한-중국-소련의 북방삼각체제와 남한-미국-일본의 남방 삼각체제가 대립구도를 이루며 냉전질서가 고착화되었다. 그러나 이 두 삼각체제는 베트남 전쟁과 제네바 회담 이후 중국의 부상과 이런 중국을 경계하는 미국의 강경한 정책의 진행, 그리고 중소분쟁과 한미갈등 등의 진영 내 균열을 보이면서 다시 한 번 변화를 맞이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두 제한전쟁(한국전쟁․베트남 1차 전쟁), 제네바 회담과 동아시아 냉전질서 형성 및 변화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냉전질서의 복잡성을 이해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한국 전쟁과 동아시아 세력균형 변화
1) 정전협정과 삼각체제 형성
 제한전쟁으로서의 한국전쟁
제한전(Limited War)이란 한정된 정치목적에 합치되도록, 전쟁지역·전쟁수단·사용무기·병력·전쟁규모 등에 어떠한 제한을 가하면서 수행하는 무력전을 말한다. 전면전쟁은 인류의 멸망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같은 무제한전쟁(전면전쟁)을 억지하기 위한 대비 개념으로서 지역·수단·목적 등을 제한하는, ‘제한전쟁’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한국전쟁은 전쟁 무기, 교전 지역, 참여 국가 등에 제한을 둔 제한전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미국은 전쟁 발발 직후부터 전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한국전쟁을 제한전으로 치루기 위한 전략을 펼쳤다. 즉, 원폭의 사용을 금지하고, 전쟁이 중국 영토로 확전되는 것을 반대하였으며, 소련이 전쟁이 직접 개입하는 것을 피하고자 했다. 이는 원폭 사용과 중국으로의 전쟁 확전을 주장한 맥아더를 트루먼이 해임한 것에서도 잘 알 수 있다. 트루먼은 한국전쟁을 단순히 ‘한반도 전쟁’이나 ‘동북아시아 전쟁’이라 여기지 않았고, 제3차 세계대전으로 나아갈 수 있는 ‘소련의 국지전’이라 생각했다. 따라서 미국 수뇌부는 전쟁 발발 직후 일주일 동안 1, 2차 블레어하우스 회의, 1, 2차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백악관회의 등을 거쳐 한국전쟁의 기본개념을 ‘제한전’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맥아더는 장개석과 이승만의 북진론을 기반으로 반공전선을 동북아 지역 전체로 확대하고자 했다. 결국 이러한 대립은 맥아더의 사임으로 일단락되었다.
참고문헌

강나영, 「한국전쟁과 중미관계의 변화: 미국의 중국이미지를 중심으로」,고려대학교 동아시아교육연구단, 2004.
김보영, 「정전회담 쟁점과 정전협정」,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통권 63호, 2003.
김정배, 「베트남전쟁과 사회주의진영, 그리고 냉전체제」,부산경남사학회, 역사와 경계, 2010.
김정배, 「베트남전쟁과 미국, 그리고 냉전체제」,역사와 경제, 2011.
김연철, 「1954년 제네바 회담과 동북아 냉전질서」,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아세아연구 통권 143호, 2011.
나종일,「제네바 정치회담에 관한 연구」, 연구논문 시리즈 88-06. 서울: 일해연구소. 1988.
도진순, 「한국전쟁의 기본개념으로서 제한전의 성립과 분화」,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제125호, 2004.
박영실, 「정전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對북한 지원과 철수」,한국학중앙연구원, 정신문화연구 제29권 제4호 (통권 105호),2006,
이기완, 「동맹정치의 변화와 동맹관계 – 한미미일 동맹을 중심으로」,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국방연구(안보문제연구소), 2010.
이미경, 「1950-60년대 북한,중국,소련 삼각관계의 형성과 균열」,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타, 중소연구 ,2003.
이종석,「한국전쟁과 북한-중국 관계 (II)」,한국전략문제연구소, 통권 제16호, 1999.
안윤모, 「미국의 대외정책과 반공문제(1933-1060): 루즈벨트, 트루먼, 아이젠하워의 소련 인식을 중심으로」,서울여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16, 2007.
조성훈, 「왜 이승만은 휴전협정에 반대했을까?」, 내일을 여는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 제21호, 2005.
최희식, 「이승만정부 시기의 한일관계 : 한미일 냉전전략의 불협화음과 한일관계의 정체」, 한국세계지역학회 세계지역연구논총, 2009,
한국역사연구회 현대사분과,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 – 사실로부터 총체적 인식으로」, 휴머니스트 출판, 2010.
홍용표,「1952년 제네바 회의와 한국 전쟁의 정치적 종결 모색」,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8집 1호. 2006.
Jacobson, Harold. 「American Foreign Policy」, (New York: Random house, 1960)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