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

 1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
 2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2
 3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3
 4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4
 5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5
 6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6
 7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7
 8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8
 9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9
 10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0
 11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1
 12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2
 13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3
 14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4
 15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5
 16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6
 17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탈식민주의 교육과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탈식민주의 담론과 『제국들의 되받아쓰기』
제 1 장 탈식민주의 글쓰기의 기술적 모델의 변천과정
제 2 장 언어의 교체 : 탈식민지적 글쓰기의 텍스트 전략 제 3 장 텍스트 다시 쓰기 : 탈식민지적 글쓰기의 해방
제 4 장 교차로에 서 있는 이론 : 토착이론과 탈식민주의 책읽기
제 5 장 이론 바꾸기 : 탈식민주의적 글쓰기와 문학이론

★탈식민주의의 관점
1. 하얀 마스크를 쓴 검은 피부 :프란츠 파농
2. 오리엔탈리즘: 사이드
☞문화와 제국주의의 관계
☞탈식민주의의 관점
☞저항 문화
☞오리엔탈리즘의 의미
3. 스피박
☞탈식민 담론
4. 호미바바: 정체성과 잡종성

★탈식민주의 교육과정의 목표
★탈식민주의 교육과정의 필요성
★나아가야 할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론

식민지가 정치적 독립을 이룬 것은 20세기 들어서였다. 그들은 여전히 식민주의적 경험에 의해 형성된 삶을 살아가고 있다. 동시에 다국적 경제 세력에 의해 식민화가 다시 자행되는 이른바 신식민화가 진행되고 있는데서 문제는 심각해진다. 다시 말해 식민사라는 역사적 단계는 사라졌다 하더라도 아메바처럼 체형을 바꾸는 변화무쌍한 제국주의가 시간이 흐를수록 보이지 않는 모습으로 더욱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식민주의는 정치, 경제적 영역뿐만 아니라 오늘날 사람들의 인식의 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는 이러한 식민주의의 영향을 바로 분석함으로써 탈식민화를 도모하는 문화비평론이다. 사이드, 스피박, 바바, 애쉬크로프트, 타핀, 무어-길버트, 패리, 아마드, 모헨티, 파농 등의 이론가들에 의해서 구성된 탈식민주의는 단순한 문학이론이 아니고 인종문제, 계급문제, 지역감정문제, 성별문제, 빈부문제, 파벌문제 등 모든 권력투쟁과 차별의 문제까지도 통찰하고 대안을 제시하려는 문화비평론이다. 탈식민주의는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등 식민지 지배를 받은 경험이 있는 제3세계의 민족, 유색인종이나 소수인종을 중심으로 인종억압이나 식민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통해 과거 피식민지의 역사나 문학을 재조명해 보는 이론이다. 무엇보다도 정치적 독립 이후에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문화적 정신적 무의식적 예속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탈식민주의 비평방식이 요청된다. 탈식민주의는 식민지 시대로부터 독립 이후까지를 포괄하는 통칭적 개념으로 사용하는데, 비단 식민지시대 뿐만 아니라 독립을 한 후에도 계속 남아 파괴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식민지의 잔재를 탐색해서, 그것들의 정체를 밝혀내고 그것들에 대항하자는 인식에 근거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탈식민주의는 식민지 시대 그 자체보다도 오히려 그 이후의 정신적 식민주의 시대의 불가시적 억압구조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된다. 김성곤,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시대의 문학」, 위 글, pp.13-4.

과거에는 포스트콜로니얼이라는 명칭을 식민지 시대와 식민지 이후 시대의 구분하기 위해 쓴 적도 있다. 그러나 이제는 포스트트콜로니얼이라는 명칭을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해서 독립을 쟁취한 후인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국주의적 과정의 피해를 본 모든 문화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빌 애쉬크로프트(Bill Ashcroft)는 “ ‘포스트콜로니얼’이라는 용어는 식민주의 시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제국주의적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모든 문화를 포괄하는 통칭적 개념으로 사용된다” 빌 애쉬크로프트 외, 이석호 역, 『포스트 콜로니얼 문학이론』(민음사, 1996), p.12.
고 정의했다. 결국 탈식민주의는 형식적인 독립과 해방의 이면에서 우리의 의식구조를 더욱 근원적으로 틀 지워온 가시적 또는 불가시적 식민담론을 비판하고 그것들의 정체를 밝혀냄으로써 그것들에 저항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한번 형성된 식민담론은 쉽사리 없어지지 않고, 영토에 대한 침입처럼 눈에 보이는 직접적인 지배보다 더욱 무섭고 교묘한 문화적 지배기제가 되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에드워드 사이드, 박홍규 역. 오리엔탈리즘. 서울: 교보문고, 1991.
조혜정.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읽기와 삶읽기 권1~3. 서울: 또하나의 문화, 1992~1994.
이 경 순 현대문학이론의 이해 전남대학교문학이론과비평독회 1998년
탈식민주의 저항에서유희로 바트 무어-길버트 지음ㆍ한길사 2001년 이영도
http://hankooki.co.kr/entertain/book/
http://www.jygo.net
http://web.edunet4u.net/Users/FICTION/
http://www.psi.pusa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