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안전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한 아동안전관리 관련 프로그램(활동계획안)을 작성하고 교육계획안이 현장 적용 시 기대효과

 1  아동안전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한 아동안전관리 관련 프로그램(활동계획안)을 작성하고 교육계획안이 현장 적용 시 기대효과-1
 2  아동안전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한 아동안전관리 관련 프로그램(활동계획안)을 작성하고 교육계획안이 현장 적용 시 기대효과-2
 3  아동안전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한 아동안전관리 관련 프로그램(활동계획안)을 작성하고 교육계획안이 현장 적용 시 기대효과-3
 4  아동안전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한 아동안전관리 관련 프로그램(활동계획안)을 작성하고 교육계획안이 현장 적용 시 기대효과-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아동안전관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 분석을 통한 아동안전관리 관련 프로그램(활동계획안)을 작성하고 교육계획안이 현장 적용 시 기대효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만5세 영유아 안전관리교육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분석)
Ⅱ 본론
1. 만5세 교통안전관리교육의 필요성
2. 만5세 교통안전교육계획안
Ⅲ 결론(안전관리교육계획안의 기대 효과 및 시사점)
1. 안전관리교육계획안의 기대 효과
2. 안전관리교육계획안의 시사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만5세 영유아 안전관리교육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분석)
여성부에 따르면, 보육시설에서 실시하고 있는 안전관리교육의 내용과 횟수를 살펴보면 먼저 교통안전훈련을 실시한다는 비율이 82.6%, 모의소방훈련 73.7%, 기타교육이 66.9%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나, 어떤 종류의 안전교육도 실시하지 않는다는 비율도 12.0%나 되었다. 시설유형분류로는 교통안전훈련의 경우 기타법인시설이 94.4%로 가장 높고, 대부분 80~90%정도의 분포였으나 가정(놀이방)시설은 66.2%에 불과했다. 모의소방훈련은 직장시설이 95.5%로 가장 높았고, 기타교육의 비율은 국ㆍ공립시설이 91.8%로 가장 높았다. 가장(놀이방)시설은 소방훈련, 기타 모두에서 가장 낮은 비율이었고, 특히 안전관리교육을 전혀 실시하지 않는다는 비율이 26.3%나 되어 가정(놀이방)시설의 안전교육이 제대로 실시되고 있지 않는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다. 지역별로는 교통안전훈련은 대도시에서, 소방훈련과 기타교육은 읍면지역에서 가장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소도시는 세 가지 안전교육 모두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만5세의 안전관리교육실시 주기를 조사한 결과 73.3%가 상황에 근거하여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정기적으로 안전관리교육을 실시하는 비율은 13.3%로 낮았다. 이 점은 영유아 안전관리교육의 목적인 바른 습관과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교육활동을 계획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계획적이지 못한 안전관리교육을 실시한다는 부분에서 문제로 지적될 수 있으며 계획성 있는 안전관리교육의 실시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또한 만5세 안전관리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해 고려하는 점으로는 일상생활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안전사고 위주로
.
.
Ⅱ 본론
1. 만5세 교통안전관리교육의 필요성
만5세는 민첩성이 증가하여 사고 발생률은 낮으나 놀이시설을 이용하다가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고 모험적인 놀이를 즐기기 때문에 사고가 나면 상해가 심각하다. 따라서 스포츠안전, 화재안전, 교통안전규칙을 구체적으로 교육해야 하는 시기이다. 특히 만5세 유아의 발달특성과 안전사고실태에서 본 것처럼 만5세는 신체적 발달에 있어서 다른 시기보다 변화의 속도나 정도가 급격히 일어나는 시기로써 사회적으로 적합한 행동을 배울 필요가 더욱 더 높은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는 안전에 관한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유아 스스로가 차량 등 주변의 위험으로부터
참고문헌
- 이미화, “보육시설 실태조사 보고”, 여성부, 2005
- 교육과학기술부ㆍ보건복지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2012
- 김경희, “영아유 보육시설의 안전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동국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