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

 1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
 2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2
 3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3
 4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4
 5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5
 6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6
 7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7
 8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8
 9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9
 10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0
 11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1
 12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2
 13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3
 14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4
 15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5
 16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6
 17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7
 18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8
 19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19
 20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학개론] 조사와 의존명사 띄어쓰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띄어쓰기의 필요성

2. 띄어쓰기 규정의 변천사

3. 현행 「한글 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정에 대한 전반적 검토

4. 띄어쓰기의 실제(조사와 의존명사를 중심으로)
1) 자립성과 의존성
2) 조사의 띄어쓰기
3)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4) 혼란스러운 조사와 의존명사의 띄어쓰기의 예
5) 단위성 의존명사의 문제
5) 띄어쓰기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법화와 띄어쓰기 교육

5. 띄어쓰기 규정에 대한 남북한 어문 규범의 차이(의존명사를 중심
으로)

6. ‘띄어쓰기’에 관한 국어 지식의 적용: 창의적 학습 지도안의 예시
본문내용
1. 띄어쓰기의 필요성

띄어쓰기 규정은 맞춤법에서 7항 정도밖에(2항, 41-46 항) 안되지만 실제로는 문젯거리가 꽤 많은 가장 골치 아픈 분야이다. 심지어 띄어쓰기가 확실히 정립이 되면 국어학 연구는 끝난 것이라는 주장까지 있을 정도이다. 이는 다시 말해 국어의 문법 연구가 각 분야별로 거의 마무리 되어야 확신이 선다는 얘기와 같다. 그렇지만 우리는 국어의 문법 연구가 완성될 때까지 기다릴 여유가 없다. 우리는 하루도 빠짐없이 늘 글을 써야 하고 또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띄어쓰기는 문장의 뜻을 정확히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곧 읽기의 효율성을 위해서 꼭 필요한 규범인 것이다. 극단적인 보기이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를 보자.

아기다리 고기다리던 개강이다. 우리 함께 모이자.-어느 대자보에서
부엌에 서울대 - 덩달이 시리즈

물론 위 글은 “아, 기다리고 기다리던 개강이다, 부엌에서 울대”를 장난스레 일부러 띄어쓰기를 변형시킨 것이지만 띄어쓰기의 중요성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글이다. 이와 같은 극단적인 보기로 아래와 같은 문장들이 보고되고 있다. 띄어쓰기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는 의미에서 다시 한 번 보도록 하자.

(1) ㄱ. 한별이가 방에 들어 갔다
ㄴ. 한별이 가방에 들어 갔다.

(2) ㄱ. 윤성형 외과
ㄴ. 윤 성형외과

물론 위와 같은 경우는 금방 잘못된 것임을 알아차릴 수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아래와 같이 띄어쓸 때와 안 쓸 때의 의미가 모두 성립할 수 있는 것은 큰 문제가 된다.

(3) ㄱ. 은별이는 큰 집으로 들어 갔다.
ㄴ. 은별이는 큰집으로 들어 갔다.

곧 (3ㄱ)은 “큰”이 관형어로 “집”을 꾸며 주는 것이므로 실제 겉 모양이 큰 집에 들어 갔다는 것이고 (3ㄴ)에서 “큰집”은 합성어로 큰 아버지 댁으로 들어갔다는 뜻이 된다. 다시 말해 “큰 집”은 두 단어요 “큰집”은 한 단어인 것이다.
띄어쓰기의 중요성은 흔히 인식하는 바이지만 실제 글쓰기에서 정확하게 띄어쓰기는 그리 간단하지도 쉽지도 않다. 특히 의미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는 더욱 혼동되기도 한다. 문제는 띄어쓰기의 기준이 무엇이냐이며 기준이 설정되었다 하더라도 그 원칙 적용이 일관성있게 되느냐이다.
한글 표기의 띄어쓰기 문제는 한글 맞춤법 영역에서 비중 있게 다루어 왔다. 이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이 총 7개장 중에 제7장에서 띄어쓰기를 다루고, ‘한글 맞춤법’(1988)도 총 6개장 중에 제5장에서 이것을 다루는 데서도 드러난다.
이처럼 중요하게 다루어진 이유는 대중들의 띄어쓰기 실태가 매우 혼란스러워 띄어쓰기를 가장 어려워 하기 때문이다. 띄어쓰기 혼란의 실태 조사로 조문제(1976), 박홍길(1980)의 조사가 있다.
이익섭(1992:390-396)에서도 이러한 한글 띄어쓰기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누구나 자신의
참고문헌
국어사전: 우리말 큰사전(1991), 한글 학회 => 약호
국어대사전(1991), 금성출판사 => 약호
국어대사전(1995), 민중서림 => 약호
고영근 편(1989), 북한의 말과 글, 북한의 인식 7, 을유문화사
김봉모(1993), 국어정서법,세종출판사
김성환(1986), 띄어쓰기 원칙과 실제, 논문집 21, 대구교육대
김희보(1980), 한글 바로 띄어쓰기, 종로서적
남기심,고영근(1993),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문교부(1964), 교정편람
(1979), 한글 맞춤법 개정 시안
(1988), 한글맞춤법, 국어어문규정집,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민현식(1999),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1994ㄷ),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에 대하여(1), 남촌 박갑수 교수 화갑 논총,태학사
(1994ㄹ), 한글 맞춤법의 문제점에 대하여(2), 한국학연구3,숙명여대 한국학연구소
(1994ㅁ), 국어 띄어쓰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 4,숙명여대 한국학연구소
박홍길(1980),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띄어쓰기 현실,한글 168,한글학회
시정곤(1989), 남북한 띄어쓰기 규정의 비교,북한의 어학혁명,북한언어연구회,도서출판 백의
신창순(1992), 국어 정서법 연구,집문당
안병희·이희승(1989,고친판1994), 한글 맞춤법 강의,신구문화사
안주호(2003), 국어교육을 위한 문법 탐구, 한국문화사
왕문용,민현식(1993), 국어 문법론의 이해,개문사
이은정(1989), 한글맞춤법에 따른 붙여쓰기/띄어쓰기 용례집, 백산출판사
이익섭(1992), 국어 표기법 연구,서울대 출판부
이희승(1959), 한글맞춤법통일안 강의,신구문화사
조영희(1988), 새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의 이론과 실제, 전주:신아출판사
한글학회(1980),한글 맞춤법, 한글학회
허재영(2001), 문법화와 띄어쓰기 교육 -중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