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1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1
 2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2
 3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3
 4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4
 5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5
 6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6
 7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7
 8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8
 9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9
 10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10
 11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 자유의지론과 결정론

2.본론

1.개념정의
1)자유의지론
2)결정론
3)양립가능론
2.자유의지론을 바라보는 세 가지 시선
1)도덕법칙과 자유의지
2)성경 속의 자유의지
3)과학의 발전과 자유의지

3.결론 - 자유의지론은 옹호될 수 있는가?

본문내용
서론 - 자유의지론과 결정론

인간을 동물과 구별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예술 행위, 언어를 사용한 대화, 사고와 사유……. 다양한 주장들이 논란거리가 된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자유의지이다. 한 개인이 행동, 또는 생각을 할 자유. 인간이 이 자유의지를 전적으로 가지는지, 부분적으로 가지는지,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하는지에 대해 아직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자유의지에 관한 문제는 종교적, 윤리적, 과학적 함의를 품는다. 종교 영역에서 자유의지를 주장하는 것은 전지전능한 신조차 인간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윤리 영역에서 자유의지는 행위에 책임을 지우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과학 영역에서 자유의지를 인정하는 것은 물리적 인과 관계가 인간의 행위와 정신을 전적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이 된다.
이 보고서를 통해 자유의지론과 결정론, 그에 대한 양립가능론 등을 알아보고 자유의지는 과연 옹호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본론

1. 개념정의

1) 자유의지론

우리가 “나는 내 삶을 결정할 수 있다”라고 말할 때 여기에는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있다는 점이 전제되어 있다. 자유의지는 합리적인 결정의 주체가 다양한 대안 가운데 하나의 행동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유의지가 있다는 것은 우리는 아이스크림을 먹을지 먹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맛의 아이스크림 가운데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자유의지는 책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가 자유의지에 따라 행동할 때 어떠한 책임이 뒤따르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자유의지에 따라 큰 소리로 노래를 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어떤 장소냐에 따라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따라서 “내 삶을 결정할 수 있다”라는 말에는 자유의지와 그에 따른 책임까지 포함되어 있다.
사람들은 종종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라는 말을 하곤 한다. 그런 말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말은 자신의 행동이 자유의지와 무관하다는 주장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행동의 책임이 자신에게 있지 않음을 주장하는 말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을 넘어뜨려 다치게 한 사람이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라고 주장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갑자기 자신에게 차가 달려 왔고, 그것을 피하려고 다른 사람을 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경우 넘어뜨린 사람의 책임은 면제되거나 최소한 많이 줄어들 수 있겠다. 따라서 행동의 책임을 물을 때 자유의지에 따른 행동인지를 가리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결정론자들의 주장은 윤리적 교육과 도덕적 선택 내지는 행위 간에는 버너를 가열하는 것과 버너 위의 주전자가 끓는 것 사이에 성립하는 것과 같은 엄밀하고도 필연적인 인과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적인 사건 사이에 성립하는 인과 관계와 인간의 행위들 간의 관계는 그 성격상 상당한 차이가 있다. 물리학에서의 인과 작용은 필연적인 법칙과 결부된 것이기 때문에 엄밀하고도 필연적인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인간의 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에서는 물리학에서와 같은 필연적인 법칙과 결부된 엄밀한 인과 작용이 적용되지는 않는다. 역사학에서 역사가는 어떤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설명하고자 할 때 그 사건과 필연적으로 결부되는 사례를 찾지 않는다. 모든 역사적 사건은 일반법칙으로는 완전하게 설명할 수 없는 일회적인 성격을 지닌다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사회학에서의 인과관계도 이와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사회학에서 일반적으로 기능적 설명이 통용된다. 사회학자는 특정한 사회제도가 왜 유지되는지를 그 제도의 기능을 들어 설명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처럼 우리는 인간의 행위라든가 역사적 사건내지는 사회적 제도 등은 그것들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과 적어도 필연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다는 것을 보았다. 따라서 윤리적인 교육이나 도덕적 처벌이 왜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서 결정론자들이 필연적인 인과 관계에 입각해서 제시하고 있는 설명은 반드시 타당하다고 말할 수 없다. 인간 행위의 경우에는 그것의 원인인 것이 주어진다고 해도 그 행위가 반드시 따라 나온다고는 말할 수 없다. 바로 여기에 자유의지가 끼어들 여지가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유의지론자들은 결정론자들이 말하는 원인 이외에 문제의 행위가 꼭 따라 나오도록 하는데 필요한 것이 바로 자유의지의 발동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 철학의 이해 ] – 철학교재 편찬위원회
[ 자유의지와 결정론 ] - 게리왓슨
브레인월드 > 뇌과학/뇌의학 > 자유의지에 대한 믿음과 도덕심의 관계
[칸트 철학에의 초대] - 한자경
브레인월드 > 뇌과학/뇌의학 > ‘나’의 의지인가 ‘뇌’의 명령인가
[ 형이상학 ] – 테일러
[ 결정론과 자유의지론 ] - 예영수 (논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