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일본,중국의 정원

 1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
 2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2
 3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3
 4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4
 5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5
 6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6
 7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7
 8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8
 9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9
 10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0
 11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1
 12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2
 13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3
 14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4
 15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5
 16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6
 17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7
 18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8
 19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19
 20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일본,중국의 정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정원이란 】
【 한국의 정원 】
1. 정원의 역사
2. 전통 정원의 배후 사상
3. 정원의 구성요소
4. 정원의 특징
5. 사례








【 일본의 정원 】
1. 정원의 발상
2. 정원의 사상적 배경
3. 정원의 구성요소
4. 시대의식에 따른 일본 정원의 역사
5. 일본의 정원 유형
A. 지센식 정원
B. 가레산스이식정원
C. 로지식정원
< 참고자료 : 경관을 조화시키는 차경>
【 중국의 정원 】
1. 중국정원의 역사
2. 중국정원의 구성요소
3. 중국정원의 기능
4. 중국 정원의 특징





5. 중국의 4대 정원




6. 중국 정원의 특징적 건축물


【 프랑스의 정원 】
1. 정원의 역사
2. 정원의 기능
3. 정원의 특징
4. 사례
< A.베르사유 궁 >
< B. 빌렁드리 궁 >
< C. 튜이러리 정원 >
< D. 아끌리마따시옹 공원 >
< E. 퐁텐블로 궁전 >
< F. 보르비콩트 성 >
【 글을 마치며 】
본문내용
【 정원이란 】

정원이란 단어는 일본인들이 19세기 후반에 만들어낸 것이라고 한다. 문헌상으로는 1873년 일본에서 출판된 『정원기(庭園記)』라는 책에 처음 언급되고 있고, 그 후 1919년 도쿄대학교 공대 건축학과에 정원학 강좌가 개설되면서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원을 가리킬 때, 과거에는 주로 중국의 용어인 원림(園林), 임천(林泉), 정원(庭院)등으로 불렀고, 일제 강점기에 일본 학문이 전래되면서 본격적으로 정원(庭園)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럼, 정원이란 어떤 것일까? 사전적 의미에서 정원은 “미관이나 위락 또는 실용을 목적으로, 주로 주거 주위에 수목을 심든가, 또는 이 밖에 특별히 조경이 된 토지” 또는 단순한 “집안의 뜰” 로 풀이하고 있다.
한자를 살펴보면 정원을 의미하는 한자 정(庭)은 영어권의 court에 상응하는 단어로서, 처음에는 지붕이 없는 뜰이었다가 나중에 지붕을 씌워 廷이 庭이 되었다고 한다. 즉, 중국에서는 건물 앞의 평탄한 땅인 뜰을 의미하고, 더 정확하게는 울타리로 둘러싸인 건물 앞의 빈 땅을 의미한다. 또 한자 원(園)은 테두리 짓는 글자의 몸인 큰 입구가 일정한 공간을 의미하는 행위 내지 지칭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울타리로 둘러진 토지에 초목을 재배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는 서구의 garden, hortus의 고어와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繩張り(나와바리)란 말로 영역 혹은 생활환경이라는 의미를 나타내지만 동 ․ 식물, 어류 등을 채취할 수 있는 생활 활동 영역의 범위까지 확대 해석하기도 한다.
좁은 의미에서 정원은 건물과 울타리 사이의 공간에 지나지 않는데, 서구어인 garden(영국), garten(독일), jardin(프랑스), giardino(이탈리아)등에서 공통적인 어소(語素)인 ‘gher'도 마찬가지 이다. 정원을 뜻하는 garden은 헤브라이어의 gan과 oden 또는 eden의 합성어인데, gan은 울타리 또는 둘러싸는 공간이나 둘러싸는 행위를 의미하며, oden은 즐거움이나 기쁨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양적 의미에서 본다면 정원은 일정하게 구획된 빈 땅에 약간의 초화류나 유실수를 심고 채원을 만들어 여유 있는 삶을 살고자 하는 서민들의 바람에서 출발한 장소라고 말할 수 있다. 서구적인 의미에서는 대개 주택의 외보 공간을 실용적 ․ 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자연에 대한 피난처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주거인데, 정원은 외부자연과 접하는 데 있어서 거주와 관련된 기능을 보완하고 나아가 대자연의 적절하지 못한 요소 ․ 요인의 침입에 대해서 완충 ․ 배제하면서 좀 더 풍요로움을 제공하고 외부 자연에 대한 필터 역학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원은 생산력의 증대와 더불어 소유의 개념으로 인식됨과 동시에 여러 사람의 눈을 의식한 관상적인 것으로 확대되면서 시각적 ․ 디자인적으로 점차 세련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정원은 주거문화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서구 그대화의 초기 산업도시는 그 주요 도시가 공장이나 산업시설에 의해 점거되어 매연과 악취가 만연하고 햇빛이 비치지 않는 비위생적이고 가난한 노동자의 주택밀집지가 잡다하게 형성되는 양상을 보이는 곳이 많았다. 당시 공원은 이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일시적이나마 피난처를 제공하고, 넓고 자연성이 풍부한 공간에서 태양과 녹음, 신선한 공기에 접촉하는 기회를 보장하고 나아가 도시 전체로서 그 미관과 경관을 증진, 공한성의 확보, 방재 ․ 안전성의 유지에 공헌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공간이었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유럽에서는 왕후와 귀족의 대정원이나 수렵원 등의 공간이 적절한 조건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왕실의 사적 정원이 전용되어 많은 이들에게 소중한 안락의 장소로 제공되었다. 영국의 버컨헤드 파크(Birkenhead Park), 켄징턴 가든(Kensington Garden)이 대표적인 예이다.
간략하게 살펴본 정원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본고에서는 각 나라의 정원들을 살펴보는 작업을 이루어나갈 것이다. 우선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의 정원을 살펴봄으로서, 동아시아의 정원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들과 정원의 구성들을 고찰한 뒤, 각각의 사례를 사진과 함께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후에, 유럽의 정원으로서 프랑스의 것을 다루어보도록 하겠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