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1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
 2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2
 3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3
 4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4
 5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5
 6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6
 7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7
 8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8
 9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9
 10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0
 11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1
 12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2
 13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3
 14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4
 15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5
 16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6
 17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7
 18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8
 19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19
 20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 지구적 차원의 미중 에너지 경쟁 -중동,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미국과 중국의 에너지안보 전략

III. 각 지역에서 전개되는 미중 에너지 경쟁
1. 중동
1.1 중동지역의 특수성
1.2. 중동을 둘러싼 미-중의 전략과 갈등
1.3. 이란제재와 미-중 에너지갈등
1.4. 향후전망

2. 중앙아시아
2.1.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중앙아시아 자원의 정치경제적 특징
2.2. 미국의 전략
2.3. 중국의 전략
2.4. 중앙아시아 에너지의 정치경제: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2.5. 향후 전망

3.아프리카
3.1.미중 에너지 경쟁에서의 아프리카 지역의 의미
3.2. 미중 간의 아프리카에서의 에너지 안보 전략 대결 양상
1)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2) 아프리카에 대한 미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 및 중국과의 전략 상의 갈등 양상
3.3.미중 간의 아프리카에서의 에너지 경쟁 사례
3.4. 향후전망

4. 중남미
4.1.중남미의 지역적 특징
4.2.미중 간 에너지 안보 전략 대결 양상
1) 미국의 전략
2) 중국의 전략
4.3.미중 간의 중남미 지역에 에너지 경쟁 사례
4.4. 향후전망

IV. 결론
1. 잠재된 갈등
2. 대체에너지 부문에서의 미중협력 가능성
2.1. 미국과 중국의 대체에너지 부문 관련 정책의 추이
2.2. 최근 대체에너지 부문에서의 협력 방향
3. 한국에 주는 시사점
본문내용
I. 서론

21세기에 들어 ‘에너지안보(energy security)’는 국제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주요 의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과거에는 안보의 개념이 주로 군사적 측면에서 다루어졌으나 최근에는 국제안보 환경이 그 어떤 시기보다 다양한 도전요인에 직면함에 따라 정치, 경제 등 보다 다양한 영역에서 안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경제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국가이익의 부각은 국제안보의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문제는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안보’는 에너지 수급의 안정적 확보뿐만 아니라 에너지 자원의 공급과 관련된 정치, 경제, 외교 및 군사적 요소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에너지 자원은 안보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기보다 선진국들이 신생독립국가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새로운 형태의 식민주의적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두 차례에 걸친 석유 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 및 공급 측면에서 에너지안보의 개념이 제시되었으며, 이후 에너지 자원은 국가안보와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아울러 자원 보유국들의 에너지 자원의 무기화가 현실화 되면서 에너지는 국가안보에 있어서 더 이상 부차적인 문제가 아닌 핵심 이슈가 되었다. 이제 에너지안보 문제는 국가안보 및 국제관계의 전반적인 맥락 속에서 존재하게 된 것이다.
오늘날 에너지를 둘러싼 세계 질서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중국과 인도를 비롯한 신흥 개발도상국들이 중요한 ‘자원 소비자’로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이처럼 새로운 도전자의 출현은 전 세계의 에너지 자원을 둘러싼 경쟁의 양상을 바꾸어 놓았다. 중국은 2000년대에 들어 에너지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2009년에는 중국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이 세계 최대 소비국인 미국을 능가하였다. 국제에너지기구는 비록 경제발전을 위한 다른 자원이 개발될 수 있다고 하더라고 중국과 인도는 향후 25년 동안 전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분의 거의 절반의 차지하게 될 것이며, 이들 국가의 에너지 소비량 증가는 세계 에너지 문제에 큰 압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중국은 오늘날 세계 최대의 에너지 소비국이다. 현재 미국은 세계 최대의 원유수입국이며 중국은 미국과 일본에 이어 세 번째의 원유수입국이다. 미국과 중국은 자국이 생산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원유를 소비하고 있으며,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미국과 중국이 안정적인 공급을 추구하는 에너지 자원, 특히 원유의 매장량이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근에는 원유 공급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피크오일(peak oil)’을 둘러싼 논란과 더불어, 찰스 도란(Charles Doran)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이른바 ‘이지오일(easy oil)’의 시대가 끝났다고 보고 국제사회가 향후 심각한 에너지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산유국들은 원유의 생산과 공급을 무기화하면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반면 에너지 수입국들은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에 외교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계 최대의 에너지 소비국인 미국과 중국의 에너지 자원 확보를 둘러싼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국문자료]
마이클 클레어. 2008. 이춘근 역. 『21세기 국제자원 쟁탈전: 에너지의 새로운 지정학』, 서울: 한국해양전략연구소.

박병광. 2012. “중국의 에너지안보정책과 중미관계.” 『EAI 중국연구패널 보고서』 1,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pp.1-21.

차창훈. 2008. “중국의 에너지 외교정책과 국제정치적 함의.” 『21세기정치학회보』 18(2), pp.285-311.

『KBS 글로벌 진단 ‘에너지 패권전쟁’』. 2011년 11월 22일 방송. http://news.kbs.co.kr/tvnews/ssam/2011/11/2392556.html (검색일: 2012년 3월 25일).

이지용, 「중국의 대(對)이란-시리아 정책의 정치경제적 배경과 시사점」, 『주요국제문제분석』 2012-08, 외교안보연구원, 2012.

인남식, 「최근 이란 경제제재 강화 관련 호르무즈 해협 긴장의 함의와 쟁점」, 『주요국제문제분석』 2012-03, 외교안보연구원, 2012.

윤서영, 「주요국의 최근 대이란 제재 동향 및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Vol.6 No.1,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윤서영, 「주요국의 재이란 제재조치가 이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전망 및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Vol.4 No.40,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윤서영, 「미국의 ‘포괄적 이란제재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지역경제포커스』 Vol.4 No.36,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박철형, 윤서영, 「경제제재하 이란의 대외경제동향과 이란·중국관계의 발전」, 『지역경제포커스』 Vol.3 No.54,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9.

박복영, 「이란을 둘러싼 국제저치경제관계와 시사점」, 『오늘의 세계경제』 Vol.8 No.2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조성권, 장노순, 「미국-이란의 핵 갈등과 미국의 에너지 안보」, 『국가전략』 제14권 1호, 2008.

이장규 외, 『카스피해 에너지 전쟁』, 서울: 올림, 2006.
이성규, 「에너지 경제연구」, “카스피해 에너지 자원확보를 둘러싼 미러중간 마찰”, 에너지경제연구원. 2005.

전가림. 2008. “중국의 대 아프리카 에너지외교 전략.” 『동서연구』제 20권 제 2호.

황규득. 외교안보연구원. 2008. “중국과 미국의 대아프리카 에너지안보 전략과 향후 전망.” 『주요국제문제분석』

“中 다시 ‘흑묘백묘’… 阿자원 무차별 사냥.” 세계일보 (2012년 1월 29일) http://www.segye.com/Articles/NEWS/INTERNATIONAL/Article.asp?aid=20120129002577&subctg1=&subctg2 (접속일: 2012년 5월 30일)

금재관, ‘오바마 정부의 대 중국전략과 정책에 대한 전망’, 現代中國硏究(The Journal of modern China studies) Vol.11 No.1 [2009]. 현대중국학회(The Korea Academic Associ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Studies).

윤경호. ‘미국 에너지정책의 변천과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관한 연구’. 지역발전연구(Vol.8 No.1 [2008] ). 한국지역발전학회. pp.151-179.

이현석, ‘중국 그린에너지 기업의 경영전략에 관한 연구 : BYD, Goldwind S&T, Suntech 사례를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 전문경영학과(경원) .2011. 8.

조우양, ‘중국의 에너지 정책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 중·미 에너지 전략의 갈등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 국제관계학과 .2011. 8.

최창범, 김종대. ‘중국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성장과 한국기업에게 주는 시사점’.
전자무역연구( Vol.9 No.4 [2011]).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pp.105-118.


[영문자료]

Buzan, Barry and Lene Hensen. 2009.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pbell, Kurt M. and Jonathon Price. 2008. The Global Politics of Energy. Washington DC: The Aspen Institute.

CIA World Factbook. (검색일: 2012년 5월 12일).

Doran, Charles F. 2008. “Life After Easy Oil.” The American Interest, July/August 2008, pp.43-51.

Leverett, Flynt and Jeffrey Bader. 2006. “Managing China-US Energy Competition in the Middle East,” The Washington Quarterly, Winter 2005-06, pp.187-201.

National Energy Policy Development Group(NEPDG). 2001. National Energy Policy, Washington DC: NEPDG. http://www.wtrg.com/EnergyReport/National-Energy-Policy.pdf (검색일: 2012년 6월 10일).

The White House, “Energy, Climate Change and Our Environment,” www.whitehouse.gov/energy (검색일: 2012년 6월 9일).

Yergin, Daniel. 1993. The Prize: The Epic Quest for Oil, Money and Power. New York: Simon & Schuster.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2.


Andrei P. Tygankov, Russia’s Foreign Policy: Change and Continuity in National Identity (Lanham: Rowman & Littlefield, 2006).

J.E. Spero and J.A. Hart,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7th ed., 2010), Ch. 9, Oil and Politics


Tomgram: Michael Klare, A New Cold War in Asia? http://www.tomdispatch.com/archive/175476/michael_klare_a_new_cold_war_in_asia(접속일: 2012년 6월 4일)

Michael T. Klare, Blood and Oil, 2004.

Pak K. Lee, "China's Quest for Oil Security: Oil (Wars) in the Pipeline?" The Pacific Review, Vol. 18, No.2 (June 2005), pp.271-265.

Younkyoo Kim, The Emerging US-China-Russia Strategic Triangle in Central Asia: Still Defying Great Power Expectations?, 2012. p. 8-9.

http://www.ajnews.co.kr/ajnews/view.jsp?newsId=20111125000276 (접속일: 2012년 6월 11일)

http://www.ft.com/intl/cms/s/0/bfd54e98-afc3-11e1-a025-00144feabdc0.html#axzz1yOtNAG1K (접속일: 2012년 6월 11일)

Austin, Angelica. Danila Bochkarev, Willem van der Geest. 2008. Energy Interests and Alliances: China, America and Africa. East West Institute.

Zhao, Hong. “China’s Oil Venture in Africa.” EastAsia. 24. 4.

“China and Nigeria agree oil deal.” BBC News (April 26. 2006) http://news.bbc.co.uk/2/hi/business/4946708.stm (접속일: 2012년 5월 30일)

Alvarez, Johannes and James Fiorito. "Venezuelan Oil Unifying Latin America." Ethics of Development in a Global Environment. Stanford University: 2005.

Barshefsky, Charlene and James T. Hill. "U.S.-Latin America Relations:A New Direction For a New Reality." Independent Task Force Report. No. 60. Pg. 3

Peter Cornelius and Jonothan Story. "China and Global Energy Markets." Orbis, vol. 51, no. 1 (2007): 6

Pham, J. Peter. 2010. "China's Strategic Penetration of Latin America: What It Means for U.S. Interests.." National Committee on American Foreign Policy Interests. vol. 32 pg. 363

"Latin America: A Blind Spot in US Energy Secu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