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

 1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1
 2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2
 3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3
 4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4
 5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5
 6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6
 7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7
 8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8
 9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9
 10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10
 11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11
 12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작가론] 황진이 작가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가. 들어가며
나. 생애
1. 출생
(1) 출생배경
(2) 생존연대
2. 기녀의 삶을 선택
(1) 시대적 배경
(2) 기녀로서의 삶
3. 죽음
다. 황진이의 문학과 문학적 특징
1. 기녀문학의 특징
(1) 기녀문학의 특수성과 성격
2. 황진이 문학의 특징
(1) 시의 주제
(2) 황진이 문학의 수사적 특징
라. 마무리하며

본문내용
가. 들어가며
작가 황진이는 남한의 작가 전경린, 김탁화, 최인호 그리고 북한 작가 홍석중에 의해 남과 북 모두에서 소설화된 인물이며 최근에는 영화, 드라마 등 각종 매체를 통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황진이는 생몰연대 미상의 조선 중종 때 명기(名妓)이다. 개성 출신으로 본명은 진(眞) 일명 진랑(秦朗)이며 기명은 명월(明月)이다. 그에 대한 직접 사료는 없고 다만 간접 사료로 , 등의 야사에서 각양각생으로 전해지며 지나치게 신비화시킨 흔적이 보여 허실을 가리기 어렵다. 사대부 중심, 남성중심의 조선 사회에서 여성이며 기생이었던 황진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는 것이 오히려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작가 황진이 연구는 전해지는 이야기를 취합하여 진행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갖지만 이 또한 한정된 텍스트 내에서 작가 황진이를 알아가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나. 황진이의 생애
1. 출생
(1) 출생배경
황진이의 출생에 대한 기록은 『소호당문집(韶護堂文集)』, 『송도기이(松都記異)』,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 등에 전해진다. 이 문헌들에 나타나는 황진이의 출생 배경은 황진사의 서녀라는 설과 맹녀의 딸이라는 설로 나뉜다.
1) 황진사의 서녀로 묘사 : 『송도기이(松都記異)』, 『중경지(中京誌)』, 『소호담문집(韶護堂文集)』
황진이의 어머니는 현금으로 자색이 매우 고왔다. 나이 18세에 병부교 아래에서 빨래를 하고 있을 때, 단정하게 옷을 화려하게 차려 입은 한 남자가 현금을 주시하면서 때론 웃기도 하고 때론 손가락으로 가리키기도 하여 현금의 마음이 몹시 떨렸는데 갑자기 보이지 않더니 해가 지고 빨래터의 아낙네들이 거의 사라지자 다시 나타나서는 노래를 부른 뒤에 물을 요구하였다. 현금이 표주박에 물을 떠서 주니 반쯤 마시고는 되돌려 주며 현금더러 마셔 보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술이었기 문에 현금은 이것이 매우 놀랍고 이상하였다. 이러한 인연으로 강음하여 드디어 진이를 낳게 되었다. - 『송도기이(松都記異)』
진이의 어머니는 진현금으로 병부교 아래에서 빨래를 하고 있는데 한 소년이 희롱한 뒤에 가버렸다. 그 소년은 저녁에 다시 와서 물을 청하기에 현금이 물을 떠서 주니 물이 술로 변하였다. 이에 인연을 맺게 되어 진이를 낳았는데 해산 때 이상한 향 내음이 3일 동안 가시지를 않았으니 이는 바로 선녀라. 어찌 황이란 성이 있겠는가? - 『중경지(中京誌)』
2) 맹녀의 자식으로 묘사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열려실기술(燃藜室記述)』
황진이는 개성에 사는 한 맹녀의 딸로 성격은 남자처럼 활달하였고 거문고를 잘 탔으며 노래도 잘 불렀다. -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

이상 두 계열의 문헌들은 황진이 사후에 나온 문헌들로, 확실한 사실이기보다는 추측에 기초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전자인 『송도기이(松都記異)』는 저자 이덕동이 개성 유수로 있을 때 잠시 병화를 만나 황진이 어머니의 가까운 친족인 진수복이라는 아전의 집에 피신해 있으면서 진수복의 아버지인 진리에게서 들은 것을 쓴 것이라고 전하고, 이에 반해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의 황진이에 대한 기록은 정실(情實)을 개입시킬 만한 특별한 이유가 없으므로 보다 공정한 입장에서 서술됐을 것으로 보인다.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은 황진이를 "맹인지자"가 아닌 "맹녀지자"라고 기록하고 있어 특히나 모계를 부각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양분된 설을 종합해 볼 때, 황진이의 아버지는 양반임이 분명하며 어머니는 서민 이하의 신분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1] 홍석중(2004), 『황진이』, 78~228쪽, 대훈닷컴.
[2] 강전섭 편(1986), 『황진이 연구』, 1~301쪽, 창학사.
[3] 김용숙(1990), 『조선조 여류문학 연구』, 401~500쪽, 혜진서관.
[4] 구상(1994), 『황진이』, 11~114쪽, 백산출판사.
[5] 김달진(1989), 『한국 한시 3 여류시편』, 민음사.
[6] 이덕형(1995,), 『송도기이(松都記異)』, 311~514쪽, 삼성출판사.
[7] 김이재(1990), 『중경지(中京俧)』, 220~278쪽, 한국문화사.
[8] 허균(1990),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 100~114쪽, 한국문화사.
[9] 유몽인(1997), 『어우야담(於于野譚)』, 341~375쪽, 한국문화사.
[10] 이혜순 외(1999), 『한국 고전 여성작가 연구』, 태학사.
[11] 조평환, 박혜숙 저, 『조선시대 여성시인 연구』, 한국 학술정보㈜.
논문 자료:
[1] 김원동(1998), 「황진이 시문학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2] 김흥년(2000), 「황진이 시문학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3] 박영완(1995), 「황진이 문학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4] 박영신(1982), 「황진이 문학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5] 유지화(2004), 「유성이 논/ 황진이 논」, 국민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6] 김주수, 「黃眞伊 한시와 시조의 비교연구 - 수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7] 노인숙, 「황진이 한시 연구」.
[8] 안지영, 「기녀시조의 시조사적 의미」.
[9] 김명희, 「기녀 문학의 특질」, 동국대학교 강사.
[10] 박애경, 「'소수자 문학'으로서의 기녀문학妓女文學」.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