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

 1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
 2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2
 3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3
 4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4
 5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5
 6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6
 7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7
 8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8
 9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9
 10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0
 11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1
 12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2
 13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3
 14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4
 15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5
 16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6
 17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7
 18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8
 19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19
 20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산 정약용 실학과 문학, 생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실학의 개괄적 특징

가. 사회적인 배경
나. 실학의 형성시기와 특성
다. 한국실학사상
마. 실학파
1) 경세치용학파
2) 이용후생학파
라. 다산 실학의 개괄적 특징

3. 실학파 문학과 다산 정약용
가. 실학파 문인의 사상적 지향
나. 현실주의적 문예관과
주체적 미의식

4. 정약용의 생애와 문학
가. 유년기
1) 출생과 재능
2) 성호학파와의 만남과 천주교 신앙

나. 사환기
1) 정조와 함께한 실학적 실천
2) 민에 대한 관심
다. 유배기
1) 유배 과정
2) 민중의 삶
3) 제자들을 가르치며
4) 가족을 생각하며
5) 유·불교 학문적 개방성
6) 저술 활동
라. 노년기
1) 노화와 죽음에 대한 인식과 회한
2) 다음 세상을 기다리며

5. 마치며
가. 정약용 문학의 의의와 영향
나. 정약용의 문제와 한계점
1) 정약용 등 유교적 애민주의자들의 민중관
2) 정약용의 조선시 선언과 관한 문제
3) 엘리트주의
본문내용









1. 들어가며

다산(多産) 정약용(丁若鏞)은 18세기 실학사상을 집대성한 한국 최대의 실학자이자 개혁가이다. 실학자로서 그의 사상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개혁과 개방을 통해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주장한 인물이라 평가할 수 있다. 그가 한국 최대의 실학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은, 자기 시대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혁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동안 그의 학술, 사상, 문학 등의 각 방면에서 광범위하고 왕성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이는 우리 사회의 일반적인 교양으로까지 확산되어 향유되고 있다. 이에 본문에서는 작가로서의 정약용을 논하는 데 있어 그의 생애에서 실학 정신이 어떻게 발전되고 표현되었는가에 집중해서 탐구하도록 하겠다.


2. 실학의 개괄적 특징


가. 사회적인 배경

조선조의 지도이념으로 채택된 주자학은 퇴계와 율곡의 융성기를 지나 학파의 분화 속에 학설이 다양화되고 이론이 정밀화 측면에서 발전되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학파의 분열과 대립이 객관적 합리성을 잃고 사변적 내지 관념적 체계에 사로잡히게 됨으로써 현실사회와 유리되어 폐쇄적이고 권위주의적인 공론(空論)만을 일삼는 폐단에 빠져 있었다. 특히 임진 · 병자의 양란 이후 사회 · 경제적 질서가 붕괴되는 상황 속에서도 개국이래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채택된 주자학은 피폐된 사회를 바로잡기는커녕 오히려 죄없는 백성들을 산 속으로 내몰고 있었다.

나. 실학의 형성시기와 특성

실학은 사회적 혼란기에 통치 이념으로서의 제 구실을 하지 못하는 주자학에 대한 반발과 때마침 중국을 통하여 유입된 서학 및 청대 실학의 영향에 의하여 당시의 학풍이 소홀히 하였던 사회의 현실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추구하고자하는 새로운 기풍에 의해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혈연 · 사제 · 교우 관계를 통해 형성된 실학은 그 형성시기와 학문적 특성에 따라 다음의 3기로 구분해볼 수 있다.

첫째 실학의 제 1기인 18세기 전반의 성호학파(經世致用學派), 제 2기인 18세기 후반의 북학파(이용후생학파), 그리고 제 3기는 19세기 전반의 실사구시학파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를 소개한 책으로 유명한 을 쓴 이광(李光 1563-1628), 성리학에서 실학으로의 전환점에 서 있는 을 저술한 유형원(柳馨遠), 탈주자학적 경학해석에 물꼬를 텄던 서계 박세당(朴世堂) 등이 활약했던 17세기는 서로 다른 학문적 관심과 배경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학파의 맹아기라 할 수 있다.


18세기에는 17세기에 싹텄던 실학적 문제의식과 사상적 요소들이 정리되어 실학파의 학파적 성립을 보게 된다. 성호 이익을 중심(大宗)으로 하고 권철신 · 이가환 · 안정복 등이 주축이 되어 제도개혁론을 주장하는 18세기 전반의 성호학파와 청나라의 문화와 청에 들어와 있는 서양의 선진 과학기술을 적극 받아들이자는 담헌 홍대용(1731-1791) · 연암 박지원 · 초정 박제가(1750-?) 등이 중심이 된 북학파가 바로 그것이다. 권력에서 소외된 기호(畿湖) 남인(南人) 중심의 성호학파가 유형원을 계승하면서 토지 및 행정기구 등 사회제도의 개선에 치중한다는 측면에서 일명 '경세치용학파 經世致用學派'라 지칭하고, 지배계층인 노론계열의 북학파가 상공업의 유통과 일반기술의 발전 등 물질문화의 발달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용후생학파 利用厚生學派'라 지칭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도서:
금장태, 『다산평전: 백성을 사랑한 지성』, 도서출판 지식과교양, 2011.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 『한국고전문학작가론』, 도서출판 소명, 1998.
송재소, 『정약용의 사상과 문학』, 개간사상, 1992.

논문:
강련희 외 9인, 「다산 정약용의 실학사상에 대한 전반적 고찰」, 『우리는 생각한다』 No.10, 이 화여자대학교 철학과 학생회 홍보부, 1990.
김남석, 「다산 정약용의 문학정신」, 『水原大文化』 Vol.1, 수원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1985.
김봉남, 「茶山 時에 함축된 內面意識의 변모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김용태, 「"차산학전(茶山學團)" 시문학의 실학적 성격에 대하여」, 『한국실학연구』 Vol.14, 한국 실학학회, 2007.
김희숙. 「다산 정약용의 정치사회개혁사상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한국사회 학회, 2009.
박무영, 「정약용의 초기(사환기仕宦期) 산문에 대하여」, 『다산학』 Vol.6, 다산학술문화재단, 2005.
_____, 「정약용 시문학의 연구 : 사유방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백민정, 「정약용 철학의 형성과 체계에 관한 연구 : 주자학과 서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박흥신, 「정약용의 인간관」, 『儒敎思想硏究』, 한국유교학회, 1994.
한예원, 「조선 실학시대 군신간의 학문 활동 -『시경강의』를 통해 본 정조와 정약용의 경우」, 『南冥學硏究』 Vol.16,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0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