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

 1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
 2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2
 3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3
 4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4
 5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5
 6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6
 7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7
 8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8
 9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9
 10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0
 11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1
 12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2
 13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3
 14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4
 15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5
 16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6
 17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7
 18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8
 19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19
 20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윤흥길 `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작품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작가 윤흥길의 생애
2.윤흥길 작품 세계
3.연작 전체 소개
4.「아홉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작품 분석
5.참고문헌
본문내용
작품세계
1) 소재별 분류


(1) 분단 현실의 치유와 극복 의지

윤흥길은 6 ․ 25 한국전쟁과 분단으로 인한 상처, 그 치유를 그리는 일련의 분단소설을 많이 발표함.

그의 분단소설의 소설적 모색이 지니는 의미??
1. 역사와 긴밀하게 연관 있는
자아의 내면탐색이라는 의미

2. 자신의 성장기를 근원적으로
되돌아본다는 의미

- 그의 분단소설들??
충격적 경험과 상처 객관화 + 간접적 제시
= 치유를 위한 노력

- 윤흥길이 6.25를 체험한 시기??
전쟁 중, 동생과 외삼촌을 잃고, 좌-우익의 충돌 등 이데올로기 문제와 연관된 여러 사건을 겪음.
분단과 전쟁 문제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시각!
작가의 이런 경험이 소설 속에 고스란히 담기게 됨!
잃어버린 삶과 인간성 상실, 분단 아픔 극복, 치유 의지와 해결의 희망적 전망 제시.

대표작
「황혼의 집」(1970), 「장마」(1973), 「양」(1974), 「무지개는 언제 뜨는가」(1979), 「무제」(1978)

(2)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

1970년대 근대화와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민주의 갈등과 개인과 집단 간 갈등 대두.

가난= 밝고 희망찬 얼굴을 한, 사회의 어두운 단면
개인=집단 이데올로기에 억압, 속박된 나약한 소시민

윤흥길은 1970년대 후반에 사회적 구조의 모순을 날카롭게 파악,
도시 외곽으로 밀려난 도시 하층민의 일상에 초점.

이렇게, 산업화 시대의 모순 속에서 한 인물의 자기 정체성 확립의 과정을 조명하는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의 연작은,
나약하고 정직한 한 소시민이 지식인으로서의
허위적 자의식을 극복하고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정을 일련의 객관적인 사건들을 통해순차적으로 형상화.

대표작
엄동(1975),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직선과 곡선, 날개 또는 수갑, 창백한 중년(1977)


1) 황혼의 집 (1970, 문학과 지성사)
한국 중편 문학의 백미인 「장마」 등을 통해 우리의 내면을 갉아먹고 있는 현실의 정체를 파악하여 오늘의 삶에 대한 인식을 가장 핵심적인 데서 가능케 한 작가의 첫 창작집.

2) 장마(1973, 민음사)
아이의 눈으로 바라본 이데올로기의 비극한국적 리얼리즘의 적자(嫡子) 윤흥길이 써내려 간 분단문학의 걸작[장마]가 강렬하게 호소해 오는 것은 토착적인 한(恨)이다. 그 토착적인 한은 책에서 묘사되는 한국인의 근원적 정서뿐 아니라, 그것이 6.25 또는 분단의 현실적 비극에서 솟아나고 있다는 그 역사성에 의해 높이 평가된다.

3) 양(1974, 민음사)
‘나’의 가족은 아버지, 어머니, 두 살 밑 윤석, 여동생 성자, 막내 윤봉이로 이루어져 있다. 윤봉이는 현재 홍역을 앓고 있지만 변변하게 약을 쓰지 못하고 있다. 병은 점점 악화되고 있고 아버지를 제외한 모든 식구들은 윤봉이가 죽어버리길 소망하는데 윤봉이의 병세가 점점 심해지니 다행스러운 일이다.
전쟁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과 이념의 대립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고, 가족을 지켜야 했던 어른들이 저질렀던 이기적인 행동과 위선의 기억들이 전쟁이 끝난 후에도 치유되지 않는 상처 남김.

작가는, 전쟁을 다룬 작품을 통해 비극의 원인이 국가에 있을 때, 아무도 그 불행을 피해갈 수 없음을 보여준다. 그래서 전쟁을 겪지 않은 세대들도 전쟁이 얼마나 삶을 황폐하게 하고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남기는지 알게 한다. 그리고 살아남은 자의 고통과 슬픔의 근원을 이해하게 한다.
참고문헌

-김정광, 「윤흥길의 작품세계와 그 교육적 고찰」, 부산외국어대학교, 2005.

-김송은, 「윤흥길 소설 연구」, 연세대학교, 2000.

-박주현,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연작 연구, 상명대 대학원, 2001.

-김세원, 「윤흥길 연작소설의 서사구조 연구」, 명지대학교, 2003.

-김승희 ․ 윤흥길, 「대담-토속의 핏줄에서 찾는 화음의 세계」, 『문학사상』, 1979.

-「현대문학의 이해-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상명대국어교육과, 2012.

-윤흥길, 「완장」, 현대문학, 2002.

-윤흥길, 「기억속의 들꽃」, 다림, 2005.

-윤흥길, 「장마」, 동아출판사, 199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