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

 1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1
 2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2
 3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3
 4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4
 5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5
 6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6
 7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7
 8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8
 9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9
 10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10
 11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11
 12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12
 13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13
 14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14
 15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대구시 -두류공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주제선정 이유
2. 이론적 배경
1) 르페브르의 시각에서 본 도시공원
2) 발터 벤야민의 시각에서 본 도시이론

Ⅱ. 본론
1. 두류공원 소개
1) 지리적 위치
2) 역사
3) 주요시설
4) 특징
2. 두류공원의 기능
1) 두류공원의 순기능
2) 두류공원의 역기능
3. 설문조사
1) 목적 및 설문 내용
2) 결과분석
4. 해외 도시공원과의 비교

Ⅲ. 결론
1. 두류공원의 미래
2. 시사점
3. 평가

Ⅳ.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1. 주제선정 이유
대도시 내부에서는 교통·주택난·환경파괴와 같은 생활환경문제와 도시범죄 등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장소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런 대도시의 문제들이 사회와 문화를 변화시키며 심지어 인간의 정신건강까지도 파괴할 것이라고 Paul Ehrlich와 H.M.Fund는 말하고 있다. 복잡한 도로, 철도, 전신주, 자동차의 움직임, 소음, 폐수와 공기오염 등 도시화에 따른 악영향으로 도시거주자들은 더욱 더 자연을 갈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도시 속에 자연을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발생한 두류공원의 다양한 기능분석을 통하여 도심 속의 공원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그리고 더 개선해야할 문제는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한다.

2. 이론적 배경
1) 르페브르의 시각에서 본 도시공원
① 재생산을 둘러싼 공간의 조직화 : 맑스주의 전통을 잇는 학자들은 후기 자본주의에서 인간의 삶은 노동과정뿐만 아니라 재생산 과정, 즉 물신화되고 상품화된 일상생활로부터도 소외된다고 본다. 하지만 르페브르는 관찰을 통해 일상생활의 이면에는 소외를 극복하는 ‘자발적인 순간’들이 있음을 발견했다. 억눌린 저항에너지가 폭발하는 ‘축제’ 등이 바로 그러한 순간들이다. 그는 일생생활에서의 창조적이고 자발적인 재생산이야말로 자본주의적 일상성을 폭로하고 비판하며 변화시킴으로써 탈 소외를 가능하게 하는 근거라고 생각했다. 즉 일상은 기술적 합리주의와 자본주의에 의해 조작되고 통제되기도 하지만, 자발적인 재생산에 의해 변화되기도 한다. 그는 이와 같이 지배와 저항이 공존하는 확고한 실체로서 일상생활에 대한 비판이야말로 거대구조와 지배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출발점이 된다고 믿었다. 억압적 관계를 재생산하는 수동적 장으로 치부되었던 일생생활에서 거꾸로 사회변혁의 능동적인 힘을 찾아낸 것이다.
☞ 일, 공부 등의 생산 활동에 지친 도시인들은 그것에게 받은 스트레스,억압을 풀기위해 다양한 자발적 활동 즉 문화를 즐기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원에서 행해지는 휴식 활동, 문화 활동 등은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② 자본축적의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과정에서 도시가 상품으로 전환 : 그는 지중해 연안이 산업화된 휴양공간으로 탈바꿈하는 현상을 당대의 생산양식의 변화와 연결시킨다. 역설적이게도 지중해 연안은 여가 혹은 비노동의 공간이 됨으로써 노동의 사회적 분업의 일부가 되고, 이러한 공간적 실천으로 인해 지중해 연안의 재현 공간은 공간 재현에 종속되어 간다. “태양이 작렬하는 곳에 펼쳐지는 여가도시를 향한 향수가 과도하게 산업화된 지역에 사는 도시인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결국 모순이 두드러진다. 도시인들은 공간의 질을 되찾고 싶어하는 것이다.”
` 시간이 지나 가속화되었던 성장이 서서히 종국을 향해 치닫게 되면, 이 나라는 문화적 소비를 위한 공간의 쓰임새, 즉 문화 그 자체, 관광과 여가, 전도양양한 관광과 여가 산업등의 용도를 발견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들 나라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서 전성기 때 파괴해버렸던 것들을 복원한다. 파괴를 주도하던 사업이 아직 미완성 상태라면, 복원보다 재정비를 하고 난 다음 옛것을 모방하고 베껴서 새것을 만들어낸다.
☞ 도시화 산업화가 종국을 향하게 되면, 관광, 여가 등의 용도를 다시 발견하게 된다. 결국 인간생활은 생산양식과 돈으로만 설명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느 정도 돈을 번다면 가족과 여행을 간다거나, 혼자만의 시간을 원하거나 등 자연친화적인 활동을 갈구하게 된다. 산업화 과정이 자연·나무를 파괴하는 과정이라면 탈산업화 과정은 자연·나무를 다시 복원하는 즉 공원의 형태로 재창조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대구의 경우는 위의 지중해처럼 완벽한 여가도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공원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누구를 위한 공간/자연인가?. 홍덕화. 한국환경사회학회,환경사회학연구 ECO 15(2) 2011.12
현대사회를 진단한다. 우베 쉬만크, 우테 폴크만. 2011.
2012 도시사회학 임운택 교수님 강의자료
대구시 공원녹지에 대한 시민 만족도의 경시적 변화 분석 엄붕훈 ( Boong Hoon Eom ) , 한성미 ( Sung Mi Han ) 한국조경학회,한국조경학회지. 2011.
대구광역시 홈페이지 재정현황(예산참여)
중대신문 사설 박소영 / 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박사 2008.05.09
자본주의도시와 근대성 마이크 새비지, 알랜와드 지음. 김왕배, 박세훈 옮김 1996 한울
공간의 생산. 앙리 르페브르 저, 양영란 역 2011.04.30 에코리브르
허기남 2002. 도시공원이용자의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조선대 산업대학원 석사논문
대구광역시 두류공원 관리사무소
김보예 2006. 공원의 문화예술프로그램 연구. 추계예술대 석사학위
2012 대구시 업무계획
김승환 2003. 도시공원 활성화룰 위한 개선방안 연구. 대진대 석사학위논문
2012-07-09 영남일보. 누가 보건말건...공원의 낯뜨거운 밤
2012-10-25 경북일보, 대구 두류공원 우수 농산물 직거래장터
2012-11-09 영남일보. 대구시 내년도 예산안 사상 첫 6조원대
2007-02-13 노컷뉴스 '돗자리 아지매' 호객행위…흔들리는 '황혼의 性'성매매 여성, 박카스 권하며 호객행위
http://www.harbourfrontcentre.com/images/who/2012/Sitemap_lg.gif
http://blog.naver.com/msmrmm?Redirect=Log&logNo=500352906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