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

 1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
 2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2
 3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3
 4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4
 5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5
 6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6
 7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7
 8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8
 9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9
 10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0
 11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1
 12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2
 13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3
 14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4
 15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5
 16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6
 17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7
 18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8
 19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19
 20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도자의 대인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세종의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분석

-에서 세종과 주변 인물간의 관계·갈등 구조 분석
: 인간관계의 분류

-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특징
: 언어적 대인 기술, 비언어적 대인 기술

- 세종의 인물 스타일,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 A,B,C형 성격 장애 / 세종의 인물.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2.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의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분석
-에서 주변 인물간의 관계·갈등 구조 분석
: 인간관계의 분류

-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특징
: 언어적 대인 기술, 비언어적 대인 기술

- 인물 스타일,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 A,B,C형 성격 장애 / 인물·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세종과의 비교


3.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분석

- 에서 주변 인물간의 관계·갈등 구조 분석
: 인간관계의 분류

-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특징
: 언어적 대인 기술, 비언어적 대인 기술

- 인물 스타일,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 A,B,C형 성격 장애 /인물·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세종과의 비교


4. 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분석

- 에서 주변 인물간의 관계·갈등 구조 분석
: 인간관계의 분류

-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특징
: 언어적 대인 기술, 비언어적 대인 기술

- 인물 스타일,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 A,B,C형 성격 장애 /인물·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세종과의 비교

본문내용
1. 세종의 대인커뮤니케이션 스타일 분석

- 에서 세종과 주변 인물간의 관계·갈등 구조 분석
: 인간관계의 분류



동기란? 특정한 목표를 향해 행동하게 하는 내면적 원동력이다. 즉, 사고과정의 개입 없이 일어나는 것이 ‘동기’이다. 이때 대인관계를 지향하게 하고 사회적 행동을 유발하는 동기적인 요인을 대인동기라 한다. 대인 동기는 사회적 원동력이다.

동기의 기능(p.111)에 따르면 동기의 기능은 세 가지 이다. 첫째, 동기는 목표지 향적 행동을 유발한다. 둘째, 동기는 목표 지향적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추진력, 즉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동기는 목표 지향적 행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뿌리 깊은 나무‘ 의 세종 이도는 한글 창제와 반포에 있어서 많은 내·외적 갈등을 겪는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관계를 맺고자 하는 사회적 동기를 가지는데, 이도의 목표는 백성들에게 쉬운 글자를 깨우치게 하여 직접 소통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 있어서도 이도는 계속해서 ‘토론하고’, ‘논쟁하기’를 바라며 강조한다. 하지만 백성들은 의지가 없으며 꿈도 희망도 없어 이도는 계속해서 좌절한다. 그 이유는 우리가 배운 ‘Maslow'의 동기발달의 위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동기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발달하는 경향이 있다. 즉, 아랫단계의 동기가 충족되지 않으면 위 단계로 발달할 수 없다는 이론이다. 동기 위계는 아래부터 생리적 동기, 안전 동기, 애정 동기, 존중 동기, 자기실현동기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임금이도의 동기는 생리, 안전, 애정, 존중은 모두 충족됨은 물론 자기실현동기로까지 나아간다. 관계적 동기를 충족하기 위해 계속해서 소통을 원하고 자신의 조선을 굳건히 하기 위해(자아실현) 백성과의 소통을 원한다. 그러나 백성의 동기는 다르다. 그들은 먹고살기 바쁘며, 위정자의 배를 채워주기 위해 아침부터 밤까지 일만 하고, 세금을 내지 못하면 자신의 안위는 물론 자식들의 안전까지 위협당하는 상황이다. 생리적 욕구만 충족되었을 뿐, 안전 이상의 동기로 발달할 수 있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 때문에 극중 ‘강채윤’은 임금에게 “하고 싶은 게 생긴 소이를 보고 신기했다.”고 말하면서 “글을 알게 되면 모두들 하고 싶은 것이 생긴다고 생각하니 나도 꿈이 생겼다.”고 말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