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1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1
 2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2
 3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3
 4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4
 5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5
 6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6
 7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7
 8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8
 9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9
 10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10
 11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11
 12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12
 13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소설]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채봉감별곡」의 등장인물 및 줄거리
2.2 「채봉감별곡」의 시대적 배경 및 특징
2.2.1 근대 전환기에 나타난 새로운 고소설
2.2.2 「채봉감별곡」을 통해 보는 조선시대 매관매직의 행태
2.2.3 「채봉감별곡」을 통해 보는 조선 후기 소설과 가사 양식의 결합

3. 토의과정 및 질의응답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채봉감별곡」은 조선 후기에 등장한 애정소설로, 남녀의 지순한 사랑에 대해 이야기 한다. 또한 매관매직이 공공연하게 횡행하던 조선 말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설정하여 부패 관리의 고발 및 물질만능주의 세태를 비판하는 주제의식도 담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채봉감별곡」의 주제의식에 대하여 시대적 배경과 특징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채봉감별곡」의 등장인물 및 줄거리
등장인물
김채봉: 이지적이고 부유한 집안의 무남독녀로서 장필성과의 혼약을 지키고자 부모의 명을 거역한다. 자신이 한번 결정한 배우자에 대한 일편단심과 더불어 주어진 운명을 혼자의 힘으로 극복하여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키려는 강한 의지의 소유자이다.
장필성: 한미해진 사대부 집안의 출신으로 호탕하고 준수한 인물로 나온다. 채봉에게 첫 눈에 반해 부부가 되기를 간청하며, 채봉이 기생이 된 후에도 변치 않는 사랑을 보인다.
김 진사: 채봉의 아버지, 딸을 팔아 벼슬을 하려다가 도둑떼를 만나 전 재산과 채봉을 잃음으로써 허 판서의 사옥에 갇히는 수난을 당한다.
이 부인: 매우 현실적인 인물로서 사랑하는 딸의 적당한 배필을 구했으면서도 권세와 실리 라는 현실적인 유혹에 눈을 돌린다.
이보국: 평양감사, 채봉의 능력을 알아보고 채봉을 기적에서 꺼내주며, 장필성과 채봉이 다시 만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권순긍, 『채봉감별곡 : 달빛아래 맺은 약속 변치 않아라』, 나라말, 2005.
권순긍, 「근대의 충격과 고소설의 대응 -개,신작 고소설에 투영된 "남녀관계"의 소설사적 고찰-」, 『고소설연구』 18, 한국고소설학회, 2004.
심치열, 「근대 전환기 여성담론 ; 구활자본 애정소설 〈약산동대(藥山東臺)〉의 서사적 측면에서 본 변모 양상 -〈춘향전〉의 전승적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8,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이이화, 한국사 이야기 17 (조선의 문을 두드리는 세계 열강), 한길사, 2003.
조윤형, 채봉감별곡 (바람에 실려 온 사랑 가을날 노래가 되어), 나라말, 2012.
신병주,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돌배게, 2005.
미상(신영길 역), 한양가 519년 (조선왕조 519년을 읊은 가사문학), 서예문인화, 2008.
박정춘, 가사가 삽입된 소설의 연구 : 부용의 상사곡·청년회심곡·채봉감별곡의 비교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권, 지식산업사, 2011.
황윤실, 《채봉감별곡》 연구, 한국언어문화, Vol.12,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