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

 1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1
 2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2
 3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3
 4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4
 5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5
 6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6
 7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7
 8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8
 9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과 언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와 예술,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과 설화,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전통혼례,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 한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성

Ⅲ.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언어

Ⅳ.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민족문화
1. 민족 문화의 개념
2. 우리 민족 문화의 기초
3. 민족 문화의 성장과 발전

Ⅴ.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예술

Ⅵ.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문학

Ⅶ.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설화

Ⅷ.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전통혼례

Ⅸ. 우리민족(한국민족, 한민족)의 한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주지하다시피 복희는 배달국 태우의한웅(太虞儀桓雄)의 막내아들로서 동이족이다. 복희가 동이족이라는 사실은 부사년(傅斯年) 등 중국학자들도 인정한다. 신농(神農)씨는 소전(少典)의 아들이다. 소전은 고시(高矢)씨의 방계(傍系) 후손이다. 고시씨는 농경을 맡은 단군왕검의 직속 신하이다. 그러므로 신농씨 역시 동이족인 것이다. 오늘날 강(姜)씨의 시조이기도 하다. 황제 헌원 역시 소전(少典)의 별파로서 동이족이다. 그래서 󰡔초사:楚詞󰡕에 “황제는 백민태생(白民胎生)이고·····원래 동이족이라”고 하였다.
삼황 다음 유학은 누구에 의해서 전승되었는가? 󰡔중용󰡕을 보면 “중니(仲尼:孔子의 字)는 요순(堯舜)의 도를 조술하고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의 법도를 헌장으로 하였다”고 했다. 또한 유학의 계통을 당(唐)나라 시대의 한자(韓子)는 󰡔맹자집주󰡕 서설에서 “요(堯)임금은 인의(仁義)의 도(道)를 순(舜)임금에게 전하고, 순임금은 이것을 하(夏)나라의 우(禹)임금에게 전하고, 우임금은 이것을 은(殷)나라의 탕(湯)임금에게 전하고, 탕임금은 이것을 주(周)나라의 문(文)․무(武)․주공(周公)에게 전하고, 문․무․주공은 공자에게 전하고, 공자는 맹가(맹자)에게 전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이를 보면 복희․신농․황제 다음, 중국문화와 유학은 요임금과 순임금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다. 이들은 어느 민족에 속하는가? 󰡔사기󰡕에 의하면 요임금은 황제 헌원의 5세손으로 동이족이다. 요임금이 동이족이란 것은 안호상과 최동 등 여러 학자들이 여러 전거를 들면서 주장한다. 또한, 󰡔맹자󰡕를 보면 순임금의 출생지․거주지․사망지가 모두 동이지방임을 밝히면서 순임금도 동이족임을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사계의 모든 학자들이 공인한다.
유학을 집대성한 공자는 어느 민족에 속하는가? 공자는 은(殷) 왕실과 송(宋) 왕실의 후손이다. 은왕실과 송왕실은 동이계이다. 그러므로 공자 역시 동이계이다.
이상과 같이 중국문화와 유학을 개창한 개조가 모두 동이족이다. 여기에서 우리민족은 동아문화의 개창자라는 사실이 더욱 분명히 드러났다고 할 수 있고, 공맹의 유교는 우리민족의 신선도에서 갈려나간 신선도의 지류라는 사실이 제2차로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ⅰ. 박정학(2009), 한민족의 형성과 얼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ⅱ. 박형익(2009), 한민족 언어 정보화의 성과와 전망, 국립국어원
ⅲ. 신경득(1996), 한민족문학' 연구 현황과 전망, 한국비평문학회
ⅳ. 유종열 외 1명(1983), 한민족과 그 예술, 탐구당
ⅴ. 이광규(1999), 한민족공동체(KC)와 민족문화, 해외한민족연구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