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

 1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1
 2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2
 3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3
 4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4
 5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5
 6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6
 7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7
 8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8
 9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9
 10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10
 11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11
 12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12
 13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13
 14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대외관계사] 북벌론과 조선중화주의(비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북벌론 출현의 시대적 배경
1. 정치적 배경
2. 사상적 배경

Ⅲ. 북벌론의 전개과정
1. 효종의 등장과 국내정책
2. 북벌론의 군비와 재정
3. 송시열의 북벌론

Ⅳ. 북벌론의 좌절과 조선 중화주의
1. 효종의 죽음
2. 중화주의의 성립배경과 전개과정

Ⅴ. 나가며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병자호란 직후 북벌론은 대청관계에 주체적으로 대처한다는 명분으로 왕의 주도하에 전개되었는데 대표적인 경우는 효종대였다. 당시 효종이 북벌론을 국책으로 적극 추진한 이유는 인조반정에 의한 왕위계승에 정통성 결여라는 문제가 야기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왕위계승의 정통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한 것이 북벌론이었고 이를 명분으로 하여 왕권강화를 위해 추진된 것이었다. 당시 신료들도 효종의 북벌론 공론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데 그 저의는 대청외교노선의 실패에 대한 책임회피와 自黨의 정치적 입지 강화에 있었다. 효종조 북벌론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경향은 민족자존 및 주체성 그리고 자강책이었다고 긍정하는 견해와 집권층의 권력유지라는 정치적 목적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는 비판적 견해가 있다. 이와 같이 17세기의 북벌론은 당시 청에 대한 대응책으로만 규정하는 대외적 문제에 비중을 두는 경향이 컸다. 그러나 효종조 북벌론의 근본목적은 청에 대한 복수설치(復讐雪恥) 복수하여 치욕을 씻는다.
혹은 민족 주체성의 발로에만 있는 것이라기보다 왕권과 신권이 각기 정치적 입지강화를 위한 대립관계에서 취해진 정치수단으로 제기되고 추진되었다는 점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제문은 북벌론의 공론화 배경이 대내적 정치상황에 근본을 두고 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또한 북벌론의 사상적 배경으로 작용했던 중화주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Ⅱ. 북벌론 출현의 시대적 배경

1. 정치적 배경

1) 병자호란 이후의 정치상황

17세기에 중국은 명․청의 왕조 교체가 있었고 일본 역시 정권의 교체가 이뤄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의 지배층이 당면했던 문제점은 성리학적 대의명분론에 입각하여 정치기반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집권층 내부의 갈등이 왕위계승의 정통성 문제로 표면화되었는데 특히 대외문제와 결부시켜 왕위계승의 문제 제기가 심각했던 인조반정과 호란을 전후한 시기의 척화파 ․ 주화파의 대립이 가장 좋은 예다.
인조와 서인정권은 반정의 정당성을 구체적으로 입증해야 했다. 왕위계승의 정통성에서 야기되는 문제들이 인조정권의 존립마저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인조의 왕위 계승은 10여년 간의 논란 끝에 원종(定遠君) 추숭전례(追崇典禮)로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원종을 추숭하여 종법적인 부자관계를 유지하고 ‘선조
참고문헌
< 저 서 >

이영춘. 『淸溪史學 2』(129-16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청계사학회. 198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 사상연구』 일지사. 1998.
이이화. 『조선후기의 정치사상과 사회변동』 한길사. 1994.

< 논 문 >

심민식.『효종조 북벌론의 성립과정에 대한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오항녕.『조선 효종대 정국변동과 그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사학과). 1991.
김세영.『조선 효종조 북벌론 연구』 백산학보 제 51호(121-153). 1998.
정옥자.『정조대 대명의리론의 정리작업』 한국학보 제 69집 일지사. 1992.
우인수.『17세기 산림의 세력 기반과 정치적 기능』 경북대 대학원. 1993.
이경찬.『조선 효종조의 북벌운동』 청계사학 제 5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김준석.『17세기 정통주자학파의 정치사회론 ; 송시열의 세도정치론과 부세제도리정책』
동방학지 67 (87-196).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0.
조중업.『북벌과 춘추대의』 백제연구 10. 충남대백제문화연구소. 197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