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

 1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
 2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2
 3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3
 4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4
 5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5
 6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6
 7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7
 8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8
 9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9
 10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김동리 `무녀도`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단원설정의 적절성
1. 대단원의 학습 목표, 단원선정 및 구성의 방향
2. 중단원 및 소단원 설정의 취지, 학습목표, 학습 내용
3. 학습 평가상 유의점 및 평가 방법
▶ 「무녀도」가 교과서 대단원 및 소단원에 적합한가?
II. 교과서, 지도서 및 참고서에서의 「무녀도」 지도 방법
1. 줄거리
2. 작품해제
3. 학습활동
III. 「무녀도」의 지도상의 문제점 및 대안
1. 교과서에서 제시한 무녀도 학습주안점의 문제
2. 교과서에 수록된 본문 내용(지문선택)의 적절성의 문제
3. 등장인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의 문제
4. 작품 구성의 문제
5. 무녀도 그림의 삽화
6. 다양한 매체의 「무녀도」활용
7. 대체작품 < 김동리 작품의 토속성 >
IV. 결론
본문내용
◎ 들어가며...
김동리의 「무녀도」를 문학교육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천재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과 같은 사항을 중심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18종 문학교과서 중에서 총 5개 문학교과서에 실려 있다. (지학사, 천재, 한교, 태성, 청문각)
대단원의 학습목표와 작품선정의 적절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단원, 중단원의 학습목표 및 구성 및 설정의 이유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생각한다. 천재교과서 중심으로 지도서와 참고서의 내용을 참고하여 기존의 교수방법을 확인하여 보고, 이의 문제점 및 대안, 대체작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I. 단원설정의 적절성

1. 문학 문화의 특질과 인접 영역(대단원)
1) 대단원의 학습 목표
① 문학은 특정 시대의 사회적․문화적 산물임을 이해할 수 있다.
문학이 특정 시대의 문화적 산물임과 동시에 통시적인 가치와 문제들을 드러내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음을 깨닫게 한다.
② 문학의 형성과 소통에 작용하는 여러 관습들을 적용하여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문학은 여타의 예술 장르와는 다르게 삶의 과정에서 느끼는 정서들이나 거기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언어라는 재료를 통해 형상화한다.
③ 문학과 인접한 영역들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할 수 있다.
문학을 비롯한 음악, 미술, 무용, 영화 등의 예술 문화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삶의 모습이나 사고, 가 치관 등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서로 공통된다.
④ 다양한 매체에 의해 이루어진 문학 작품의 수용 현실에 대해 자기 나름의 견해를 지닐 수 있다.
과학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문학 작품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창작 ․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2) 대단원 설정의 이유
문학이 국어 문화의 일부라는 점을 이해하고, 창작과 수용 당대의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며 수용 ․ 창작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설정되었다. 한국 문학을 통해 한국인들의 삶을 이해하는 것에서 그칠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의 특질이라 할 수 있는 고유한 미의식이라든지,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전통과 관습을 고려하여 문화적 맥락에서의 작품 수용과 창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