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

 1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
 2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2
 3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3
 4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4
 5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5
 6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6
 7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7
 8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8
 9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9
 10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0
 11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1
 12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2
 13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3
 14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4
 15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5
 16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6
 17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7
 18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8
 19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19
 20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교육론] 김승옥의 `무진기행` 바람직한 교수학습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 문학 교육이란 무엇인가
Ⅱ. ‘문학 교육’ 선행 작업으로서의 분석
2-1. 작가 : 김승옥
2-1-1.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2-2. 분석 작품 : 『무진기행』
2-2-1. 배경 분석
2-2-2. 인물 분석
2-2-3.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Ⅲ. 문학 교육의 실제적 분석
3-1. 작품 수록 교과서 : 본문 외 수록 교과서 중심
3-2. 문학교육의 실제 : 본문 수록 교과서인「(주)두산 고등학교 문학(상)」 중심
Ⅳ. 현장에서의 교육 현황 분석
4-1. 현대소설 지도의 실태
4-2. 「무진기행」지도의 사례
Ⅴ. 나오는 말 :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 문학 교육이란 무엇인가
마음의 살이 아픈자는 시를 쓰고
마음의 뼈가 아픈자는 산문을 쓴다고 누가 그랬던가!
그러나 산다는 일은 마음의 살과 뼈 모두가 아프고 쓰라린 것이리라.
- 윤대녕의 『옛날 영화를 보러갔다』중에서 -

이 문구는 새내기 시절 주로 사용했던 메일의 서명을 장식하던 글이다. 시와 산문이라는 문학의 갈래에 대해 그 무엇보다 매력적인 정의를 제공했던 이 글에 이어 ‘때론 이 문구가 위로가 됩니다. 아직 산다는 것보다, 시를 쓰는 것이 힘들게 느껴지는 때가 많아서 일까요?’라는 말을 덧붙여 서명을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것은 한명의 독자인 ‘나’에게 있어 문학이 던지는 매력이었고 삶을 그려나가는데 문학이 하나의 초석이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그것의 교육적 고찰을 하기에 앞서서 이러한 사적인 일화를 꺼내는 것은 그에 앞서 ‘문학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문학 교육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흔히 문학 교육이라 하면 교실에서의 수업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사실 ‘문학을 이해하고 표현하면서 사고하는 활동 과정’을 문학 교육이라 할 때 그것은 이미 어렸을 때부터 경험해 온 것임을 알 수 있다. 위의 일화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문학적 체험은 개인에게 창작의 욕구를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또 삶의 문제와 연관지어 다양한 사고의 길을 열어주기도 한다. 그렇게 본다면 삶과 닮은꼴인 문학은 결국 인간의 문제이고 교육 역시 인간의 성장에 관계되는 것이기에, 우리는 여기서 문학 교육이 무엇인가라는 답을 구할 방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 교육은 본질적으로 문학의 문제일 것이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간의 문제이고, 또한 언어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교육의 문제일 수 있다. 이렇게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성격을 가진 문학 교육은 자연발생적이고 무계획적이며 산발적인 뿐 아니라 의도적이고 계획적이며 집약적이고 강제적인 이 중요한 위상을 차지한다. 우리는 여기서 하는 물음 역시 후자에 초점을 두고 교실에서 사용할 교과서의 근거라 할 수 있는 7차 교육과정을 비판적 안목으로 살펴봄으로서 답을 구성해 보는 과정도 필요하다.

분석할 작품은 김승옥의 「무진기행」이란 현대소설로 이는 국민 공통 교육과정(초1-고1의 10년간)의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제재는 아니다. 6차에서는 중학교 2학년 1학기 교과서에 실려 있기도 했으나 7차 국어 교과서에선 제외된 작품으로 고교 2, 3학년의 학생 선택 중심 교육과정인 문학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가시적인 사실만 보면 국어 교과서가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에 맞추어 ‘국민 기본 공통 교육 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의 구성으로 개정 총론’이 지향하는 수준별 교육 과정 운영에 적합하게 하기 위한 개정임.
되면서, 작품「무진기행」은 보다 심화된 수준의 교육 활동을 위한 제재로 재구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 교육의 개념에 대한 정립은 이러한 「무진기행」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그 교육적 활용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가능하리라 본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우선 작가 김승옥과 작품 「무진기행」에 대해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고 작가론과 작품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이러한 과정 역시 문학 교육적 측면으로 귀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실제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스스로의 분석 과정 없이 지도서 위주로 수업을 하는 사례가 많고, 그것이 결국 지리한 수업 현
참고문헌
참고논문
허관무 석사학위논문, 「김승옥의 무진기행 연구 -서사 단위와 코드 분석을 중심으로 -」, 동국대 교육대학원, 2001
박은화 석사학위논문, 「중등학교 현대소설 교육의 현황과 지도방안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동국대 교육대학원, 2003
한귀은 부산대 강사, 「문학교과서의 해석과 활용에 관계하는 변인들」

참고문헌
김승옥, 『김승옥 소설전집1』, 문학동네, 1995

교육인적자원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997
우한용 외, 『문학(상) 교과서』,(주)두산, 2002
홍신선 외, 『문학(상) 교과서』, (주)천재교육, 2002
김창원 외, 『문학(상) 교과서』, 민중서림, 2002
한철우 외, 『문학(상) 교과서』, 문원각, 2003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중등국어과1․2급 정교사 자격연수(Ⅰ)』,2003.7-8.
서울특별시교육청, 『제7차 교육과정의 이해』, 2000.12

우한용, 『문학교육과 문화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12
그 외 몇몇 문헌 자료 및 인터넷 자료